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9:19:52

180


1. 개요2. 수학적 특징
2.1. 그 외
3. 날짜4. 교통/항공
4.1. 180번 버스4.2. 도로4.3. 항공
5. 문화재6. 장신의 기준7. 기타

1. 개요

179보다 크고 181보다 작은 자연수. 합성수소인수분해하면 22×32×5이다.

2. 수학적 특징

2.1. 그 외

수학에서는 보통 호도법 단위 [math(\pi)] 의 각도를 육십분법 숫자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평행한 각이다. 이를 실생활에서 이용할 때, 주로 현재 상황의 반대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 경기의 흐름이 180도 바뀌었다.[2])

유클리드의 평행선 공준 등 180이라는 숫자는 논증 기하학에서 특히 많이 나온다.

3. 날짜

4. 교통/항공

4.1. 180번 버스

4.2. 도로

4.3. 항공

5. 문화재

6. 장신의 기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80cm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1] 1, 2, 3, 4, 5, 6, 9, 10, 12, 15, 18, 20, 30, 36, 45, 60, 90, 180.[2] 360도 바뀌었다는 말을 쓰는 경우가 있으나, 360도로 돌면 한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오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다.[3] 개헌과 대통령 탄핵은 200석 이상이 필요하다.[4] 더불어민주당과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을 합친 의석수[5] 단, 21대 국회 출범 직후의 의석은 최종 176석이었다. 하지만 범여권 원내정당 및 무소속이 4석을 넘기 때문에 여전히 180석으로 패스트트랙 발의가 가능한 상태다.[6] 흑돌은 181개[7] 국어(45문항), 수학(30문항), 영어(45문항), 한국사(20문항), 탐구(40문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