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3:19:17

36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서른여섯'''{{{#!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SCP 재단의 문서}}}에 대한 내용은 [[SCP-001/Thirty-Six]]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CP-001/Thirty-Six#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CP-001/Thirty-Six#|]]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SCP 재단의 문서: }}}[[SCP-001/Thirty-Six]]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CP-001/Thirty-Six#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CP-001/Thirty-Six#|]]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삼십육()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서른여섯"
thirty-six
·
· (서수)
36
<colbgcolor=#F5F5F5,#2E3033> 종류 정수
,
약수 1\
제곱
· 제곱근
, ±6
, ±
문화권별 숫자 표기
(해당 없음)
{{{#!wiki style="display: none; display: block;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ⅩⅩⅩⅥe; margin: -5px -2px -11px"
<nopad> 로마 숫자
ⅩⅩⅩⅥ
ⅩⅩⅩⅥ
ⅩⅩⅩⅥ
,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ΛϚ΄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그리스 숫자
[ruby(Μ, ruby=)]
ΛϚ΄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٣٦;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동부 아라비아 숫자 ٣٦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갖은자 }}}{{{#!wiki style="display: block; display: none; margin: -5px -2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nopad> 이체자
}}}}}}}}}


1. 개요2. 수학적 특징3. 날짜4. 과학5. 교통
5.1. 36번 시내버스5.2. 도로
6. 스포츠7. 문화재8. 기타


1. 개요

35보다 크고 37보다 작은 자연수다. 합성수로, 소인수분해하면 22×32이다.

2. 수학적 특징

3. 날짜

4. 과학

5. 교통

5.1. 36번 시내버스

5.2. 도로

6. 스포츠

7. 문화재

8. 기타


[1] 현 동구54번.[2] 2019년 11월 15일 개편 때 대체 노선인 14번이 신설되며 폐선되었다.[3] 이승엽은퇴하면서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었다.[4] 다만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팬들에게는 박정권의 등번호라는 인식이 강하다.[5] 이승엽 이전의 홈런왕이었던 한화 장종훈의 등번호 35번보다 하나 많은 숫자다. 장종훈을 넘어서겠다는 의미로 선택했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삼성 입단 후 원하는 등번호였던 27번의 임자가 이미 있어 어쩔 수 없이 36번을 선택했다고 한다. 원래는 이 등번호에 애착이 별로 없었으나 1997년 MVP 수상 후 등번호에 애착이 가기 시작했다 말했다.[6] 프로는 아니지만 야구 예능인 최강야구최강 몬스터즈에서도 초대 감독의 공로와 프로 감독으로 진출함을 축하하며 36번이 영구결번으로 남았다.[7] 두산 시절부터 쭉 36번을 사용해왔는데, 삼성 시절에는 이승엽의 영구결번으로 36번이 지정되어 있어 44번을 달았다. KT로 트레이드 이적 후 2024년 6월 2일까지 40번을 달았다가 2024년 6월 3일부터 다시 36번을 달게 되었다.[8] 손자병법 문서를 보면 나오지만 병법 삼십육계는 손자병법에 있는 내용이 아니다.[9] 쉽게 말해서 항해사와 기관사(항해에 필요한 선박의 기관의 유지보수 및 수리를 담당하는 선원으로, 법적으로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를 양성하는 학교를 나왔다면 졸업 전후로 배에서 근무를 하다가 해군에서 소집통지서가 진해의 기초군사교육단으로 가서 19일 동안 진행되는 기초군사훈련을 받은 후, 나머지 복무기간을 배에서 보내다가 20개월이 지나면 계속 배에 남거나 하선해서 기타 사회복무 형태를 통해 남은 기간을 마치는 제도.(다만 과거에는 28개월 이상 승선해야만 하선이 능했다.) 편입 초기에는 근무지에서 근무하다가 중도에 훈련소를 가는 것은 다른 보충역(사회복무요원은 선복무자만 해당)과 같지만, 이들은 전시에 해군에서 공백 혹은 증원이 필요한 함정 승조원, 전시에 동원할 상선의 사관 등을 수월하게 조달하기 위하여 현역의 복무를 마친 것으로 간주한 이후 보충역이 아닌 예비역으로 관리한다. 당연히 이들은 전시에 해군 쪽에서 소집령을 내리면 해군 이등병으로써 군함 승조원으로 복무하며, 설렁 해군 수병이 되는 걸 피하더라도 정부가 상선을 동원한다면 무조건 거기서 근무해야 한다.[10] 알파벳 26개+숫자 10개 다만 0이 없고 10이 있음.[11] 0~9, A~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