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3:33:03

2011년 9.15 정전사태


1. 소개2. 정전 지역3. 사태의 여파



1. 소개

2011년 9월 15일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발생한 정전 사건. 과거 십수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도 이러한 정전사태는 없었다. 시대를 역행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었으며, 더군다나 신뢰할 만한 원인도 없고 피해보고도 없어 두고두고 회자될 만한 사건이다. 국가기반시설이 이렇게 간단히 셧다운 된다는 것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이다. 그런데도 내려진 조치는 에너지 절약 캠페인 뿐. 물론 산업체 강제 셧다운도 진행되긴 했었다.

정전이 일어난 지역은 상당히 불규칙적이었다. 같은 구 내에서도 어떤 곳은 정전이 발생했는데 어떤 곳은 정전같은 것이 없었다고 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는 아래에도 나와 있지만 전력거래소에서 주파수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매우 칼같이 전력부하를 끊어버려 벌어진 일이다. 아파트 단지에 변압기가 2개 있으면 1W라도 많이 쓰는 쪽을 날려버렸다.

이는 고장파급방지장치라는 SPS(Special Protection Scheme)이라는 설비를 이용하여 주파수 60hz 기준으로 부하는 순환 차단하여 전 전력계통의 정전을 막았다.

2011년 9월 15일은 기록적인 늦더위를 기록한 날로 서울 최고기온이 31도를 기록하는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상태였다. 이로 인한 지나친 에어컨 사용으로 예비전력량이 떨어졌다는 것이 한국전력공사 측의 공식적인 발표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발전소가 셧다운되어 있던 것이 화근이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082, 1083, 1084 번째 원자력 발전소 정비를 위해 각 한빛 원자력 2호기, 한울 원자력 2호기, 4호기가 정지되어 있었으며[1], #[2] 지식경제부 장관의 제한송전 명령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사실은 서버에서 자동으로 내리는거라 명령 이전에 날렸을 것이다. 폭염으로 전력수요량이 폭증했고, 이를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비를 실시하다 사고까지 발생해서 일어난 복합적인 사태.

단전 실시가 선조치 후보고였는지 선보고 후조치였는지 지식경제부와 전력거래소 사이에서 진실공방이 오가고 있다.#

2011년 9월 18일 지식경제부 장관은 "전력거래소에서 전력공급능력에 관해 허수를 포함[3]시켜 허위보고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2013년 12월 3일 이 일로 징계를 받은 지식경제부 공무원의 징계취소 소송에서 한국전력거래소가 10년 동안 지식경제부와 한국전력공사의 모니터상에 나오는 수치에는 즉시 가동할 수 없는 발전기 용량이 포함돼 있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과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숨겨가면서 운영했다고 밝혀졌다. 그리고 사태가 일어난 9월 15일에는 예비전력이 0kW를 기록하여 블랙아웃 직전까지 몰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즉 이번 사건은 한국전력거래소의 전력정보 은폐로 인한 인재였다고 볼 수 있다.

고장파급방지장치의 구조상 이런 식으로 가동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확실한 것은 특정 지역이 아닌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가릴 것 없이 전국적으로 발생했다는 점이다. 광주, 전남지역 관련 기사

한국전력공사 서대구지사에 따르면, 본래 전력차단은 컴퓨터가 알아서 전기가 많이 들어가는 곳부터 날리는데, 이후 EMS(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작성하는 계획정전 시간표가 지사에 전송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로 인해 EAS로 알람 입력이 들어가지 않았고, 정전예고를 발생하지 못했다.[7]

2. 정전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1년 9.15 정전사태/정전 지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사태의 여파

물론 그런거 상관없이 비상조명 키고 야자를 강행한 학교도 있다

[1] 계획된 정비 및 핵연료 교체작업이다. 이 외에 다른 21개소 발전기가 경정비 일부 화력발전소가 예전부터 고장, 중정비중에 있음, 총 25개소가 정비중임. 기준시점:20110916[2] 하동발전소의 총 출력은 7299MWe. 이 공급량이 한방에 떨어지면 예비율이 바닥을 뚫고 내려간다. 그런데 관계자의 반론이 있다. 당시 하동발전소는 저출력으로 운전중이었다고. 그렇다면 하동발전소의 영향은 미미했을 것이다. 그러나 EMS에서 급작스럽게 하동발전소가 사라지면서 공급기가 없어진 것은 설명이 되지 않는다.[3] 보통 전력거래소에서 말하는 "공급능력"은 전국 발전소 풀가동+개인 소유의 발전기(주로 태양전지나 빌딩의 비상 발전기들)의 on-grid를 가정했을 때의 능력이다. 근데 저렇게 될리가 없잖아?[4] 당시 하동발전소는 평균 출력에 크게 못 미치는 300MW의 출력으로 가동중이었다고 한다.[5] 이 때 재난관리체계에 의해 KBS로 자동으로 송출된 긴급속보가 있으나 종합으로 변경되었으며 모두가 수요예측 실패로 인해 블랫아웃을 예방하기 위해 수동으로 개입한 듯 영웅적인 묘사를 하고 있으나 기상청 옛 블로그 등 일부 저널에서 여전히 발전소 2기가 고장난것에 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다.[6] 지식경제부 장관의 개입이 여기서 있었을 것이다.[7] Tbroad 서대구 지사[8] 자가발전설비를 모든 의료기관에 의무적으로 구비하도록 하면 되지 않나 생각할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보면 대한민국의 전력품질이 워낙 안정적이기 때문에 중복투자로 인해 큰 비효율이 발생한다. 값비싼 자가발전설비를 무조건 설치하도록 하면 그 비용은 결국 환자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내야 될 진료비가 오르게 된다. 자가발전설비는 엄청나게 돈 잡아먹는 괴물이다. 우선 초기비용자체가 비싸고 관리 유지비와 공간도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도 든다. 건물이 지어질 때 지어지면 양반이고, 만약 이미 있는 건물에 자가 발전 설비만 추가한다면 전력시설 매설만 돈이 크게 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