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5:42:09

2022년 식용유 대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if 문서명2 != null
, [[프로틴플레이션]]}}}{{{#!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30><tablebgcolor=#030> 파일:생선뼈.png2022년 식량·에너지 위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인문적 요인 <colbgcolor=#ffffff,#1f2023>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 미국-중국 무역 전쟁 · 물류 대란 · 각국의 수출 규제('식량 보호주의' 확산) · 원자재 가격 인상 · 신냉전
자연적 요인 2022년 남아시아 폭염 · 2022년 서유럽 폭염 · 2021년 북아메리카 서부 폭염 · 2022년 아프리카 가뭄 ·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 · 2021년 중국 허난성 폭우 사태 ·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 2020-2021년 대한민국 AI 유행 · 힌남노 · 2023년 1월 유럽 이상 고온 ·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국내 영향 식품 유통 관련 문제 · 윤석열 정부의 지지율 하락세 · 2022년 식용유 대란 · 소확행, 무지출 챌린지가성비 중심의 식품 유행(당당치킨) · 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활동의 축소 · 외식물가 역대 최고치 경신(2022년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 논란) · 스마트팜 · 김장 가구 감소 · 탄소 중립 캠페인 · 2023년 난방비 대란
세계 영향 2022년 페루 시위 · 기준금리 상승세 및 '킹달러' · 엔저 현상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 · 프로틴플레이션 · 5월 이란 시위 · 9월 이란 시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대체 식품, 대체에너지 연구의 증가(GMO, 식용곤충, 신재생에너지)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양극화 · 동아프리카 기근 위기 · 인플레이션 감축법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요르단 시위 · 애그플레이션 · 2022년 아이티 위기
}}}}}}}}} ||
{{{#!wiki style="margin:-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table bgcolor=#000000>2022년 식량 수출 금지 · 규제 국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수출 금지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 밀, 보리, 옥수수, 설탕, 해바라기씨, 원당 등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밀, 귀리, 수수, 육류 등 (금지 해제) | 2022년 7월 22일부터 수출을 다시 허용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 쌀, 밀가루, 보리, 옥수수, 백설탕 등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 콩, 밀, 밀가루, 쌀, 감자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 보리, 옥수수 등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보리, 옥수수 등
수출 금지 국가 파일:헝가리 국기.svg | 모든 곡물 수출 금지
파일:코소보 국기.svg | 밀, 밀가루 등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몰도바 국기.svg | 밀, 옥수수, 설탕
파일:이집트 국기.svg | 식물성 기름, 옥수수 등
파일:모로코 국기.svg | 옥수수 등
파일:가나 국기.svg | 옥수수 등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 밀 등
파일:알제리 국기.svg | 밀, 옥수수 등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 옥수수, 수수
파일:튀니지 국기.svg | 채소, 과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밀, 옥수수, 해바라기씨, 쇠고기 등
파일:오만 국기.svg | 밀, 밀가루
파일:이란 국기.svg | 가지, 토마토, 양파, 감자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곡물, 식물성 기름, 닭고기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 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설탕
파일:인도 국기.svg | 밀, 싸라기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팜유, 피치팜유 (2022년 식용유 대란) | 2022년 5월 23일부터 수출을 다시 허용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 건조 콩
수출품 조항 일부 변경 국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대두유, 콩가루 수출세 2% 인상
파일:인도 국기.svg | 설탕 수출량 1,000t으로 제한, 현미와 정미 수출관세 20% 인상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 매달 360만 마리 닭 수출 통제
}}}}}}}}} ||

1. 개요2. 원인3. 경과
3.1. 2022년

1. 개요

2022년 5월 13일, 식용유 대란을 보도한 YTN의 기사

2019년 연말부터 시작해 장기화된 코로나19 범유행, 이상기후로 인한 세계 주요 농작물 작황이 악화된 것, 2022년 2월 24일부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영향으로 두 나라 농산물 수출이 막힌 것 등등으로 하여 도미노 현상처럼 대두, 해바라기씨, 기름야자, 유채 , 올리브식용유의 원료가 되는 작물 가격이 줄줄이 상승하면서 덩달아 범세계적으로 식용유값이 크게 상승했다.

2. 원인

3. 경과

3.1. 2022년


[1] 다만 현재 국내에서는 인도네시아산보다는 말레이시아산 팜유를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