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7:33:49

919번 지방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방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70bb> 대구 <colcolor=#000,#e5e5e5> 514 옥천 - 김천 - 구미 - 효령 · 902 청도 - 가창 · 908 영천(신녕) - 청송(주왕산) · 909 능성 - 영천(고경) · 919 청도(운문) - 영천(신녕)
경남 907(1011) 의령 - 고령(쌍림) · 1036 합천 - 고령(쌍림) · 1089 산청 - 무주 - 김천(부항) · 1099 거창 - 김천(대덕)
강원 910 봉화 - 삼척
전북 1089 산청 - 무주 - 김천(부항)
울산 921 포항(기북) - 울산
충북 514 옥천 - 김천 - 구미 - 칠곡(가산) · 901 예천(은풍) - 영동 - 김천(구성) · 922 문경(가은) - 괴산 · 927 구미(고아) - 단양(대강) · 935 안동(임동) - 단양
남북 903 성주(가천) - 김천 - 성주(금수) · 905 고령(성산) - 김천(남면) · 911 영덕(지품) - 영양(일월) · 913 성주(수륜) - 구미(무을) · 915 영주 - 봉화(춘양) · 917 영덕(지품) - 울진 · 923 성주(선남) - 문경 · 925 청도(매전) - 영천(도남) · 929 경주(감포) - 포항(동해) · 931 봉화(물야) - 예천(감천) · 933 안동(와룡) - 봉화(소천) · 997 김천(감문) - 상주(화북)
동서 904 영천(고경) - 경주(양남) · 912 상주(낙동) - 청송(현서) · 914 안동(풍산) - 영덕(지품) · 916 김천(아포) - 안동(풍산) · 918 봉화 - 영덕(축산) · 920 청송(진보) - 안동(예안) · 924 문경 - 안동(서후) · 928 안동(북후) - 문경(동로) · 930 의성 - 포항(청하)
시군 945 경주(양남 - 강동)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ab00><tablewidth=350px>
919
지방도 제919호선
Local Highway Route 919

}}}
시점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 매전교삼거리
종점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경상북도계
총 구간 77.5km
경유지 경상북도 청도군, 경산시, 영천시

1. 개요2. 역할3. 도로 상태4. 주요 경유지5. 도로명

1. 개요

지방도 제919호선은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에서 출발해 영천시 신녕면에 도착하는 지방도이다.

청도군운문댐에서 시작하여 경산시를 지나 영천시까지 횡으로 길게 놓여진 도로로, 대구광역시 동쪽에서 대구시 생활권에 있는 자치단체들을 연결하고 있다.

전 구간 완주시에는 1시간 30분 ~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된다.

2. 역할

이 도로는 특히 경산시 주민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25번 국도[1]와 함께 시의 중앙로를 이루고 있으며 대구방면은 물론 경산시의 주요거점인 자인면, 압량읍, 진량읍, 하양읍을 모두 이어주고 있다. 경산시의 대동맥과 같은 중요성을 가진 도로. 이 지방도 위로 수많은 대구시내버스와 경산시내버스가 다니고 있다.

3. 도로 상태

아무래도 대구와 경계를 나눌 수 없는 경산의 중앙을 통과하는 도로다 보니, 경산 일부 구간에선 왕복 8차선의 위엄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경산에서 대구 수성구로 이동하는 유동 인구가 워낙에 많은지라[2] 거의 매일 아침저녁으로 교통체증이 빚어지고 최근에는 대구 지하철 2호선 연장공사로 도로 곳곳을 막아놔서 교통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그러나 영남대역이 개통되면서 상황이 좋아진 편이다.

4. 주요 경유지

경상북도 청도군 구간
운문면 - 운문댐삼거리에서 20번 국도로 부터 분기. 분기되자 마자 연속적인 급커브가 있으니 주의할 것. 이후에도 급커브가 이어진다.
금천면

경상북도 경산시 구간
용성면
자인면 - 자인네거리, 자인교차로에서 69번 지방도와 교차
압량읍 - 925번 지방도 합류 이후[3] 경산버스 차고지 통과 이후 대구한의대학교로 가는 도로가 나오며 시내 진입.
경산시내 - 대구지방법원 경산시법원 통과 후 경산경찰서, 남매공원, 경산시청 등 경산의 각종 공공기관 통과. 경산오거리에서 25번 국도에 합류후 경산네거리에서 분기, 영남대학교 통과
압량읍 - 다시 압량읍이다. 오렌지타운거리 및 압량읍내를 지난다.
진량읍 - 경산I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와 교차 후 진량고등학교 앞에서 69번 지방도와 교차, 또 만났다. 이후 봉회삼거리, 대구대삼거리를 통과하여 하양읍내로 진입
하양읍 - 금락네거리에서 4번 국도와 교차, 동서교차로에서 4번 국도, 69번 지방도와 분기.
와촌면 - 청통와촌IC를 통해 새만금포항고속도로와 교차, 동강리에서 909번 지방도 합류. 이후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IC와 교차.

경상북도 영천시 구간
청통면 - 청통네거리에서 909번 지방도가 분기. 이 후 신녕 방면으로 올라간다.
신녕면 - 28번 국도와는 간접교차하며 부산리 이후로는 상주영천고속도로와 비슷한 선형으로 간다.

5. 도로명

운용로[4]-원효로-경안로-대학로-다문로-공단로-대학로-대경로-한사들길-금송로-치산효령로

[1] 25번 국도는 대구시로 이어져 왕복 10차로 달구벌대로를 형성[2] 경산은 대구와 옆동네인 관계상 교류가 많다.[3] 옛날의 호미곶 일주 도로와 영 관계 없는 도로다. 현재의 호미곶 일주 도로는 929번 지방도다.[4] 고령 운수~성주 용암을 잇는 도로와 도로명이 중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