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8:33:14

국제방송교류재단

파일:문화체육관광부 흰색 MI.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 파일:국제방송교류재단 로고.svg 국제방송교류재단
國際放送交流財團
Korea International Broadcasting Foundation
}}}
The World On arirang
설립 1996년 4월 10일 ([age(1996-04-10)]주년)
개국 TV 1997년 2월 3일
라디오 2003년 9월 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51
(서초동 1467-80, 아리랑타워)
채널 TV 파일:Arirang TV 로고.svg
라디오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대표자 김태정
주무 기관 문화체육관광부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직원 수 226명(2024년 1분기 기준)
자회사 아리랑TV미디어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주요 사업4. 역대 경영진
4.1. 사장4.2. 경영본부장4.3. 방송본부장
5. 슬로건6. Arirang TV7. Arirang Radio8. 자회사9. 노동조합 현황

[clearfix]

1. 개요

파일:아리랑건물.jpg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Arirang TV 사옥

외국어(영어)로 한국 문화 홍보를 주로 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기타공공기관으로, Arirang TVArirang Radio를 운영하고 있다.

2. 역사

1996년 2월 공보처는 김영삼 당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해외위성방송 '코리아채널' 개국을 추진토록 했고, 4월에는 민법 제32조에 따라 '국제방송교류재단'이 세워진 후 1997년 2월 3일 국내 최초의 해외위성방송 채널 '아리랑 TV'를 개국했다. 1998년 10월 문화관광부로부터 해외홍보방송 운영주체로 지정받고 12월에는 '영상물수출지원센터'를 열었으며, 1999년 아시아/태평양 권역에 첫 해외방송을 개시했다. 2000년에 통번역센터를 세우고 2001년 자회사 '아리랑TV미디어'를 세웠다.

3. 주요 사업

4. 역대 경영진

4.1. 사장

4.2. 경영본부장

4.3. 방송본부장

5. 슬로건

6. Arirang TV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irang TV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Arirang Radi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irang Radi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자회사

9. 노동조합 현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후 불교방송 사장 역임.[2] 전 KBS 보도본부장.[3] 세계은행 출신. 전 알타캡 및 타임스미디어 회장, 한국외국어대학원 학장.[4] 동아방송 PD 출신. 전 한국교육방송공사 사장,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5] 前 미주 동아일보 편집국장, 정치인 출신.[6]MBC 기자 및 진주MBC 사장[7]SBS 기자, SBS 나이트라인 앵커, 논설위원, 정치인 출신.[8] 前 SBS 기자, 前 SBS 보도제작국장.[9] 1978년 TBC 동양방송 기자로 입사한 이래 1980년 언론통폐합 후 KBS를 거쳐 1991년 SBS, 1995년 YTN 등지를 거쳤고, YTN에서는 경제부장, 문화부장, 편집부국장, 데이터정보실장, 대기자, 해설위원실장 등을 거치며 클로즈업, YTN 라디오 주동원의 뉴스전망대, YTN 칼럼, 주동원의 YTN 생생경제의 진행도 맡았다.[10] 前 국제방송교류재단(아리랑TV) 영상물수출지원센터장[11] 이후 한국교육방송공사 초대 부사장으로 영전.[12] 전 MBC 제작본부장.[13] 이후 KBS 감사 역임.[14]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동명이인이며, KBS 기자 출신으로 부산방송총국장까지 지냈다.[15] MBC 기자 출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