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4:02:30
Ambient 1: Music for Airports의 주요 수상 이력 |
- [ 펼치기 · 접기 ]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 | | 엔야 | 칼 젠킨스 | 마이크 올드필드 | Loreena McKennitt | David Lanz | Watermark | Adiemus: Songs of Sanctuary | The Songs Of Distant Earth | The Book of Secrets | Cristofori's Dream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 | | 야니 | Bill Whelan | Chris Spheeris & Paul Voudouris | Constance Demby | 장미셸 자르 | Live at the Acropolis | Riverdance | Enchantment | Novus Magnificat: Through the Stargate | Oxygene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 | | Suzanne Ciani | 조지 윈스턴 | 이니그마 | 브라이언 이노 | 반젤리스 | Hotel Luna | December | MCMXC a.d. | Ambient 1: Music for Airports | Antarctica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 | | 마이클 헤지스 | 나이트노이즈 | 마이클 나이먼 | 빔 메르텐스 | 빌 더글러스 | Breakfast in the Field | Something of Time | The Piano | Maximing the Audience | Deep Peace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 | | | 스티브 할펀 | 레이 린치 | era | 키타로 | 딥 포레스트 | Spectrum Suite | Deep Breakfast | era | Silk Road I | Deep Forest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 | | | 윌리엄 애커맨 | 스티브 로치 | 시크릿 가든 | 마이클 호페 | 피터 케이터 & 알 카를로스 나카이 | Returning | Dreamtime Return | Songs from a Secret Garden | Solace | Migration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 | | | 윈드햄 힐 레코드 | 테리 올드필드 | 필립 글래스 | 탠저린 드림 | 데이비드 아켄스톤 | A Winter's Solstice | Out of the Depths | Glassworks | Phaedra | In the Wake of the Wind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 | | | 클라나드 | Alasdair Fraser | Aeoliah | 만하임 스트롤러 | 2002 | Landmarks | Dawn Dance | Angel Love | Christmas | Land of Forever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 | | | 폴 혼 | 대니 라이트 | 짐 브릭만 | 사라 브라이트만 |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 Inside The Great Pyramid | Phantasys | By Heart | Eden | Divenire | 출처 | }}}}}}}}} | }}}}}}}}} ||
}}}}}}}}} ||
}}}}}}}}} ||
}}}}}}}}} ||
|
[clearfix]브라이언 이노의 정규 앨범. 앰비언트란 단어가 최초로 사용된 음반이다.
이노는 1976년 독일의 한 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던 중 공항 라운지에서 오랫동안 비행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마음을 달래줄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야겠다는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그는 1978년 '인터뷰' 매거진에서 "좋은 음악 작품을 만들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비행기를 타는 일을 견디기 힘들 만큼 불편한 일이 아닌 즐거운 일로 느끼도록 할 무언가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수록곡들은 실제로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더블린 공항 등 일부 공항들에서 재생되기도 했고, 몇몇 병원에서 환자들을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재생되기도 했다.
3. 트랙 리스트
<rowcolor=#000> # | 곡명 | 작곡 | 길이 |
<colbgcolor=#EEE1AA><colcolor=#000> A면 |
1 | 1/1 | 브라이언 이노 레트 데이비스 로버트 와이어트 | 16:30 |
2 | 2/1 | 브라이언 이노 | 8:20 |
B면 |
3 | 1/2 | 브라이언 이노 | 11:30 |
4 | 2/2 | 6:00 |
영화 '러블리 본즈'의 오프닝 곡으로도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