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0:27:19

CGV 서면


파일:CGV 로고.svg
전국 지점 현황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2px 5px; background:#99999933"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6%"
{{{#!folding [ 서울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경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DRIVE IN 용인크랙사이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인천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강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대전/충청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대구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부산/울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경상 ]
{{{#!wiki style="margin:-5px 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min-width:26%"
{{{#!folding [ 광주/전라/제주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GV 서면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IMAX 로고.svg파일:IMAX 로고 화이트.svg

전국 지점 현황

[ IMAX | LASER ]
||<tablewidth=1000%><tablebgcolor=#0071CF><tablecolor=#000><width=1000> 광교 ||<width=20%><bgcolor=#0071CF> 대구 ||<width=20%><bgcolor=#0071CF> 대전터미널 ||<width=20%> 동탄 ||<width=20%> 센텀시티 ||
순천신대 압구정 영등포 왕십리 용산아이파크몰
울산삼산 인천 일산 천안터미널 천안펜타포트
평택
[ IMAX ]
||<tablewidth=1000%><tablebgcolor=#0071CF><tablecolor=#000><width=1000> 광주터미널 ||<width=20%> 대전 ||<width=20%> 서면 ||<width=20%> 소풍 || 의정부 ||
전주효자 창원더시티 천호 청주(서문) 춘천
판교


파일:4DX 로고 (3).svg파일:4DX 로고 화이트.svg

전국 지점 현황

[ ULTRA 4DX ]
||<tablewidth=1000%><tablebgcolor=#000><tablecolor=#000><width=1000> 광교 ||<width=20%> 광주터미널 ||<width=20%> 대구 ||<width=20%> 동수원 ||<width=20%> 상봉 ||
센텀시티 왕십리 용산아이파크몰 일산 천안터미널




파일:ScreenX_New_logo_black.jpg파일:ScreenX 로고 화이트.svg

전국 지점 현황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CGV 로고.svg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서면 · 서면삼정타워 · 서면상상마당
파일:연제구 CI_White.svg 연제구 아시아드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동래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남구 대연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화명(1)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센텀시티 · 씨네드셰프 센텀시티 · 해운대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하단아트몰링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부산명지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정관
(1) 2024년 12월 31일 폐점
파일:롯데시네마 로고.svg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광복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부산본점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동래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센텀시티 · 프리미엄해운대(장산역)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부산장림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오투(부산대)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부산명지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동부산아울렛(롯데몰)
파일:메가박스 로고.svg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서면대한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부산극장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덕천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해운대(장산)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부산대
파일:사상구 CI_White.svg 사상구 사상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정관
기타 독립영화전용관(예술영화관)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_White.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_White.svg 연제구
파일:수영구 CI_White.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_White.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휴): 휴관중인 영화관 | (폐): 폐점된 영화관 | (공):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영영화관 | (C): CGV로 전환된 영화관 | (M): 메가박스로 전환된 영화관 }}}}}}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N0.1 CULTUREPLEX
CGV 서면
<colbgcolor=#e42313><colcolor=#fff> 영업시간 연중무휴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천로 4, 6층
(전포동, 지오플레이스)
지하철
상영관 12관 2,280석
특별관 {{{#!wiki style="background-color: #2B2A26;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2B2A26" {{{#!wiki style="background-color: #0071CF;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71CF" {{{#!wiki style="background-color: #77777a;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7777a" {{{#!wiki style="background-color: #1D1E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D1E23" {{{#!wiki style="background-color: #ad3652;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d5f79"
부대시설 {{{#!wiki style="background-color: #B8860B;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8860B"
서비스 {{{#!wiki style="background-color: #FF8C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8C00" {{{#!wiki style="background-color: #27334b;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27334b"
홈페이지 CGV 서면
파일:CGV 로고 블랙.svg
N0.1 CULTUREPLEX
아트하우스 서면
영업시간 연중무휴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천로 4, 6층
(전포동, 지오플레이스)
상영관수 2관 142석(ART1, 2관)[1]
특별관 {{{#!wiki style="background-color: #F5F5F5;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큐레이션 {{{#!wiki style="background-color: #da281c;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f" {{{#!wiki style="background-color: #2F3D7F;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2F3D7F"
홈페이지 CGV 아트하우스 서면

1. 개요2. 역사3. 상세
3.1. 로비, 티켓박스, 매점3.2. 상영관 (1관~12관)
3.2.1. 1관 (Laser) \[4DX]3.2.2. 2관 [LCK관]3.2.3. 3관 [BUSINESS]3.2.4. 4관(Laser)3.2.5. 임권택관 [ART1관]3.2.6. 6관(Laser)3.2.7. 7관(Laser)3.2.8. 8관(Laser)3.2.9. 9관(Laser)3.2.10. ART2관 [리클라이너]3.2.11. 11관 \[IMAX]3.2.12. 12관 \[SCREENX]
3.3. 부대시설
4. 교통
4.1. 버스
5. 여담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지오플레이스에 위치하고 있다. 2000년 6월 3일 개관한 CGV 5호점이며 비수도권에 처음 생긴 최초의 CGV로 알려져있다.

2. 역사

1998년, PSB 부산방송이 영화관 사업에 진출하기로 확정하여 지오플레이스에 PSB씨네16으로 개관할 예정이였다.

1999년 11월, PSB 부산방송은 사업계획을 변경하고 CJ와 협약하여 CGV로 진출하였다.

2000년 6월 3일에 개관하였다.

2024년 2월 15일, 지하에 입점해있던 홈플러스 서면점이 폐점이 되어 4월 1일부로 지하층이 모두 폐쇄되었다. 이로인해 CGV전용 지하5층 주차장도 폐쇄가 되어 지상주차장만 이용이 가능하다.

3. 상세

홈플러스 서면점이 입점해 있었던 지오플레이스 6층에 있으며 정작 소재지는 부전동이 아닌 전포동이다. 황령대로 건너편은 남구 문현동 문현금융단지가 있다. 도시철도범내골역이나 전포역을 이용해야 한다. 서면 중심지에 있는 곳은 쥬디스태화 근처에 있는 CGV 서면삼정타워와 롯데백화점 주변, 구 메가박스 자리에 있는 CGV 서면상상마당이며 이쪽이 서면역과 더 가깝다. 2015년 수원점과 함께 리뉴얼에 들어가 기존 아이맥스관이 리뉴얼되었으며 4DX관이 추가됐다. 더샵 센트럴스타 아파트의 대각선 위치에 있다.

2000년에 오픈 당시 엄청난 관객 동원력을 보였다. 당시에는 영화를 보려면 원도심인 남포동 극장가를 가야했기에 관객들이 여기로 몰려 들었다. 또한 기존 원도심 등의 영화관의 시설 노후화로 인해 불편을 겪었던터라 멀티플렉스로서 최첨단 시설로 중무장한 CGV가 등장하자 초창기에는 주말에 문전로와 황령대로 일대가 마비가 되어 인근 교통체계와 버스노선이 변경될만큼 방문객이 어마어마 했었다. 또한 1903년 부산 최초의 극장 행좌를 시작으로 100년 가까이 부산 영화의 중심지였던 남포동 극장가를 무너트린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롯데백화점 부산본점롯데시네마, NC백화점 서면점(폐점)에 메가박스, 대한 CGV(폐점 → 메가박스 위탁 전환[2]), CGV 서면삼정타워[3], CGV 서면상상마당이 차례로 서면 중심 상권에서 더 가까운 자리로 오픈하면서 관객경쟁이 치열해졌다. 더구나 서면 중심가에서 떨어진 위치를 보완해주던 셔틀버스까지 폐지되면서 매출에 타격을 받게 된다. 분수효과를 주던 홈플러스 서면점마저도 이마트 문현점의 등장으로 매출이 곤두박질 치면서 결국 CGV까지 치명타를 맞게된다.

그 후로 지오플레이스 건물은 사실상 폐허가 된 상태이다. 사실상 폐건물CGV만 남은 상황이다. 외부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 가면 진짜 포스트 아포칼립스가 따로 없다. 입구 맞은 편의 오락실 특유의 조명무서운 분위기에 한몫했다. 한때 가는 길이 무서운 영화관으로 꼽히기도 했다. 내부는 공포체험 그 자체...왜 유령상가가 됐을까? 2023년 기준으로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가면 새로 생긴 밝은 헬스장이 있어서 그렇게 무섭지는 않다. 정말 영화관으로 가는 게 맞는지 아리송한 건 여전하지만...

이로 인해 2018년 경 폐점설이 돌기도 했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고 여전히 운영을 계속 한다. 애초에 아이맥스로 인해 기본 수요가 있고, NC백화점의 폐점으로 백화점 내 메가박스도 같이 폐점되었고, 규모가 작은 메가박스 서면대한을 이용하느니 멀어도 CGV 서면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고, 부산 첫 점포라는 상징성으로 CGV의 부산 제1 플래그십 점포로 밀고 있는 실상이기도 해서 쉽게 폐점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21년, CGV대구가 코로나사태 + 입점한 건물의 수익악화로 사실상 반강제로 문을 닫게 된 선례가 발생해버려 무작정 안심할 수만은 없다. 또한 1층에 KFC도 생각보다 길게 영업 중인데, 근처에 문현금융단지 수요가 있는 듯 하다. 하지만 홈플러스 서면점이 25년 영업끝에 영업부진을 이유로 2024년 2월 15일에 폐점되어 전망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홈플러스 폐점이 재개발로 와전이 되어 소문이 많지만 아직까지 지오플레이스 재개발 사업은 없는 상황이다.

상영관이 총 12관(10관은 리클라이너관이다.)이고, 총 좌석 수는 2,280석으로 많은 편이다.

3.1. 로비, 티켓박스, 매점

3.2. 상영관 (1관~12관)

3.2.1. 1관 (Laser) \[4DX]

1관은 총 132석 이다.

4DX만 지원한다.

부산에서 4DX관 중 CGV 센텀시티점과 CGV 아시아드점보다 구형 버전이다.

3.2.2. 2관 [LCK관]

2관은 총 171석 이다.

CGV 서면의 최초 SCREENX관이었지만, 12관이 SCREENX PLF관으로 리뉴얼되면서 2관이 일반관으로 재전환되었다.

3.2.3. 3관 [BUSINESS]

3관은 총 165석 이다.

3.2.4. 4관(Laser)

4관은 총 237석 이다.

3.2.5. 임권택관 [ART1관]

5관은 총 94석 이다.

3.2.6. 6관(Laser)

6관은 총 166석 이다.
2015년 리뉴얼 당시 ART2관[4]으로 개관했다가 현재는 일반관으로 전환.

3.2.7. 7관(Laser)

7관은 총 166석 이다.
2015년 리뉴얼 당시 ART3관으로 개관했다가 현재는 일반관으로 전환.

3.2.8. 8관(Laser)

8관은 총 166석 이다.

3.2.9. 9관(Laser)

9관은 총 237석 이다.

3.2.10. ART2관 [리클라이너]

10관은 총 48석 이다. 전 석 리클라이너 좌석으로 운영 중이다.
2015년 리뉴얼 당시 PREMIUM관으로 개관했다가 ART2관으로 전환. 이 때문에 좌석이 리클라이너로 그대로 있다. 유일하게 10관만 리클라이너 좌석이다.

3.2.11. 11관 \[IMAX]

11관은 총 358석이며, 스크린의 크기가 SCREENX관인 12관과 비슷하다.

2010년 7월 22일, 세계 최초 IMAX with 4DX[5]으로 개관하였지만,# IMAX관에서 4DX 환경 효과를 구현할 수 없었기 때문에 2016~2017년 사이에 4DX 좌석이 철거되고, 1관을 4DX관으로 리뉴얼한 것으로 보인다.

좌석 배치의 경우, A~K열은 직물좌석, L~O열은 가죽좌석으로 혼합되어 있는데, 과거 IMAX with 4DX관이었을 때, 존재했던 L~M열의 4DX 좌석 40개를 철거하고, 가죽좌석 100개를 설치하였다.

3.2.12. 12관 \[SCREENX]

12관은 총 340석이며, 정면 스크린의 크기가 IMAX관과 비슷하다. 일반관 → IMAX[6] → 일반관 → SCREENX 로 리뉴얼을 거친 역사가 있다.

2022년 6월 11일 CGV 영등포처럼 측면 실버스크린을 도입한 SCREENX PLF 상영관으로 리뉴얼했으며, 일반적인 SCREENX 상영관보다 가격이 조금 비싸다.

스크린의 비율이 플랫(1.85:1)보다 가로가 조금 더 긴 비율인데, 이 때문에, 플랫비 영화 상영 시, 좌우 양끝에 필러박스가 생기며, SCREENX 포맷의 경우, 필러박스의 체감이 커진다.

2022년에 리모델링된 상영관답게 IMAX관 제외 CGV 서면의 다른 상영관과 비교 시 스피커의 품질이 매우 양호한 편이다.

3.3. 부대시설

4. 교통

4.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지오플레이스/성북초등학교/문전교차로(05225·05238·05264·05265·07034·07043) ||
급행
일반
마을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
, 4.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여담


[1] ART1은 임권택관[2] 접근성은 좋으나, 규모가 매우 작아 매출이 낮다.[3] 접근성 좋은 중대형 규모의 극장으로 부산 내 멀티플렉스 중 매출 1위 지점이지만, 위탁 지점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CGV 측에서는 골치 아픈 상황이다.[4] 대신 원래 PREMIUM관이었던 10관으로 이전하였다.[5] 한때, 12관이 IMAX관이었지만, 한 점포 내에 2개 이상의 IMAX관을 두는 경우가 없으며, 11관을 IMAX with 4DX관으로 리뉴얼하면서 12관의 IMAX가 철수되었다.[6] 2006년 6월 30일, 12관이 영남 최초의 IMAX관으로 개관하였지만,# 세계 최초 IMAX with 4DX관 도입하기 위해 11관을 리뉴얼하면서 12관의 IMAX를 철수하였다.[7] 現. 서면대한 MEGABOX[8] 부산 내 멀티플렉스 전체 점포 중에서는 위탁 점포인 CGV 서면삼정타워가 매출 1위이며, CGV 센텀시티는 2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23
, 3.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