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6:38:29

KT 와이파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T에서 제공하는 가정용 인터넷 공유기에 대한 내용은 KT 와이파이 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홈허브 등 KT에서 제공하거나 했었던 가정용 인터넷 공유기 및 장비에 대한 내용은 KT 홈허브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DBBB6>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DBBB6><tablebgcolor=#2DBBB6><tablealign=center><tablecolor=#373a3c> 파일:KT 로고 단색.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파일:KT 5G 로고.svg 파일:KT LTE 로고.svg 파일:KT 기가 인터넷 로고.svg
파일:KT 기가 와이파이 홈 로고(KT 로고 없음).svg 파일:KT 기가지니 로고(KT 로고 없음).svg 파일:KT 기가 와이파이 로고.svg
파일:KT GENIE TV.png 파일:지니뮤직 로고.svg 파일:KT멤버십 로고.svg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이동통신사 Wi-Fi 서비스'''
파일:T wifi 로고.png 파일:KT 기가 와이파이 로고.svg파일:KT 기가 와이파이 로고 다크모드.svg 파일:U+zone 로고.svg



KT 기가 와이파이
KT GiGA WiFi
파일:KT 기가 와이파이 로고.svg파일:KT 기가 와이파이 로고 다크모드.svg
링크 <colbgcolor=#ffffff,#2d2f34>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특징4. 이용 방법
4.1. KT 고객인 경우
4.1.1. KT용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4.1.2. KT용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
4.2. 한국 스타벅스 매장에 설치한 KT 와이파이4.3. KT 공공 와이파이
4.3.1. 무선 AP 제조사
4.3.1.1. Wi-Fi 6 (KT 10GiGA WiFi) 무선 AP4.3.1.2. Wi-Fi 5 (KT GiGA WiFi) 무선 AP4.3.1.3. Wi-Fi 4 (ollehWiFi) 무선 AP
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T 와이파이 (KT WiFi) 및 KT 기가 와이파이 (KT GiGA WiFi)는 KTWi-Fi 서비스이다.

2. 역사

파일:KT Nespot AP (1).png 파일:KT Netspot AP (2).png
KT의 Wi-Fi 서비스는 국내 통신 3사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KT는 2002년부터 네스팟(Nespot)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Wi-Fi를 서비스하였다. 당시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같은 Wi-Fi를 이용하는 기기가 흔하지 않았고, 심지어 Wi-Fi 기능이 탑재되지 않는 노트북도 많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많지 않았다. 오랫동안 명맥만 유지되고 KT의 Wi-Fi존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지 않았다. Wi-Fi존 이용자가 적으니 수지 타산도 맞지 않았고 언제 서비스가 정지될 지 알 수도 없던 상황이었다.[1]
파일:KT Qook & Show 와이파이 AP (1).png 파일:KT Qook & Show 존 (1).png
그 이후로 KT는 KTF를 통합하였고 KT의 Wi-Fi 브랜드는 네스팟에서 QOOK & SHOW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2009년에 국내 최초로 KT가 iPhone을 정식 판매 함에 따라서 KT는 적자만 나던 Wi-Fi 서비스의 매출을 흑자로 전환시키는 데에 성공하였다. 스마트폰과 와이파이는 반드시 필요한 조합인지라 KT에서 아이폰 3GS를 구매하면 네스팟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이 개시되면서 인기가 없었던 네스팟이 아이폰 3GS의 초기 판매에 큰 몫을 했다.
파일:KT 올레 와이파이 AP (1).png 파일:KT 올레 와이파이 존 (1).png
이 후 유무선 브랜드를 olleh로 통일하면서 와이파이 서비스도 올레 와이파이 (olleh WiFi)로 바뀌었다.

2010년 중순부터 와이파이 서비스는 KT의 주요 마케팅 상품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Wi-Fi를 따지라는 광고도 나오고 속도를 강조하기도 한다. 다만, 와이파이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3G망의 품질 개선이 더디다는 문제도 있으며 사용자들의 불만도 상당한 상황. 애초에 이동성이 없는 기술인 와이파이는 제한적이고 보조적인 수단일 뿐인데 4G5G가 활성화된 현시점에서 와이파이를 주력 상품으로 밀기에는 메리트가 많이 떨어진다. 다만, 무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부담돼서 종량제 형태로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한 줄기 빛으로 통하고 있다.
파일:KT 올레 기가 와이파이 존 (3).png 파일:KT 와이파이 AP (1).png
파일:KT 올레 기가 와이파이 존 (1).png
2014년, KT는 국내 통신사 3사 중에서 가장 먼저 기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른바 올레 기가 와이파이 (olleh GiGA WiFi).
파일:KT 기가 와이파이 아이콘.png 파일:KT 기가 와이파이 AP (1).png
파일:KT 와이파이 아이콘.png
2016년 후반기부터 KTolleh 브랜드를 버리고 자체 브랜드로 복귀했다. 현재 KT의 와이파이 서비스는 KT 와이파이 (KT WiFi) 또는 KT 기가 와이파이 (KT GiGA WiFi)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시즌에 맞춰 현재는 차세대 Wi-Fi 6 규격으로도 와이파이를 송출하고 있다. 10 기가 와이파이 (10 GiGA WiFi)라는 서비스명으로 스타벅스 매장에서 2018년 8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하고 있다. 링크 속도는 10Gbps.

3. 특징

파일:KT 와이파이 지도.png
2017년 기준으로 전국의 KT 와이파이 존은 약 18만여 곳이 있다. 여기에서 주변의 KT 와이파이 존 지도가 표시된다.

파일:올레 기가 와이파이 존 (1).png
스타벅스, 카페베네 등의 카페세븐일레븐, GS25 등의 편의점, 신한은행 등의 은행, 롯데리아, KFC 등의 패스트푸드점, 전국 주요 철도역과 버스 터미널 등이 서비스 지역이며 명동 일대, 강남역 일대, 홍대입구역상수역 부근의 홍대 거리, 동성로, 심지어 해수욕장 같은 유명 관광지는 길거리마다 와이파이를 뿌려서 걸어다니면서도 쓸 수 있다. 심지어는 KT의 공중전화 부스에도 KT 와이파이 존이 존재한다.
파일:KT 와이파이 AP (지하철) (2).png 파일:KT 와이파이 AP (지하철) (1).png
유선 인터넷을 재송출할 수 없는 지하철 객실과 버스에서는 olleh 와이브로[2], LTE 재송출을 통해 KT 와이파이 존이 운영되고 있다. 한때 T 와이파이가 지하철 객실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에서는 KT 와이파이보다 더 많이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이동통신 3사 모두 전국 도시철도 객실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내버스의 경우 정부에서 세금을 들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로 설치되고 있다.[3] 2010년대 대중교통 와이파이는 와이브로 재송출 방식으로 제공하였는데, LTE가 출시된 후 와이브로 관리와 속도 향상을 포기함에 따라서, 지하철 객실 및 시내버스에 있는 KT 와이파이를 쓴다면 속터지는 인터넷 속도와 극악의 렉을 경험할 수 있었다. 도대체 이걸 쓰라고 만든 건지 고객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었는데, 2017년부터 경쟁사인 LG U+가 LTE 재송출 방식을 통하여 지하철 객실 내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실시하게 되어 와이브로로 제공하는 KT 와이파이와 T 와이파이 품질을 순식간에 압도하였다. 그걸 의식해서인지 2017년 9월부터 전국의 지하철 객실 내에 와이파이 서비스는 LTE 재송출 방식으로 바뀌어 와이브로를 사용했던 과거보다 접속품질과 속도가 대폭 향상됐다. 비첨두시간대의 지상구간에서는 꽤 쾌적하게 쓸 수 있다. 그래도 인해전술에 장사 없다 보니 첨두시간대의 지하구간 망품질은 여전히 쓸 게 못된다. 그리고 와이브로는 2018년 12월 31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4. 이용 방법

한 시간 또는 하루 단위로 사용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한 시간에 1,100원이며 1일 이용권은 3,300원이다. 미성년자가 이용하려면 부모나 성년인 형제자매 등 법정대리인의 동의가 필요하다.

월 단위의 전용 요금제도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자신의 요금제가 KT 와이파이를 제공하지 않는 요금제이거나 다른 통신사인데 KT 와이파이를 이용하고 싶다고 해서 유료로 와이파이 이용권을 구입하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해당 페이지를 보면 알겠지만 KT 와이파이 멀티 상품은 월 13,500원+부가세 10% 너무 비싸다.

olleh 와이브로를 가입하면 KT 와이파이 멀티 요금제를 제공하는데, 10GB 와이브로 무약정 요금제는 부가세 포함 월 11,000원이다. 그러니 KT 에그 공기기를 싸게 구해서[4] 무약정으로 와이브로를 이용하여 덤으로 딸려오는 KT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KT 휴대폰이나 KT 인터넷을 쓴다면 '스윙 결합'(역시 무약정이다)이라고 부가세 포함 월 2,200원을 할인해줘서 부가세 포함 월 8,800원에 쓸 수 있다.

50% 할인 결합인 '스마트플랜 콤비 결합'(이건 2년 약정이다!)을 하거나, LTE 겸용 상품인 '하이브리드 에그'(무약정 요금제가 없고 비싸다!)는 KT 와이파이 멀티를 덤으로 끼워주지 않으니 주의할 것.

참고로 KT의 패밀리박스(가족 구성원들끼리 데이터박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를 통해서 매달마다 무료로 KT와이파이 이용권이 따로 나오는데, 그걸 온라인에서 파는 사람들도 있다. 이쪽이 가격이 저렴한 편이니 (월 2,000-3,000 원) 사서 쓸 수도 있지만, 비보안 형태의 KT 와이파이만 되니 (보안형 와이파이는 접속 불가) 이점은 참조할 것.

2017년 11월을 기준으로 KT 와이파이

위 4개의 SSID로 서비스 중이다. 해당 SSID를 통해 접속하면 KT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4.1. KT 고객인 경우

표준 요금제와 같은 일부 요금제에서는 KT 와이파이를 쓸 수 없었으나, 2017년 8월부터 모든 KT의 모바일 요금제 (선불 요금제 제외)에 가입된 고객이 쓸 수 있게 바뀌었다. KT 홈페이지에 와이파이 관리 메뉴가 있긴 하지만, 이는 별도로 KT 와이파이 요금제에 가입한 사용자에만 해당되며 모바일 요금제에 딸려오는 와이파이 정보는 수정할 수 없다.[6]

노트북 같은 경우, 수동으로 와이파이 프로필 등록을 해 줘야 한다.

4.1.1. KT용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자물쇠 아이콘으로 된 KT 와이파이의 SSID로 접속하면 USIM 인증 (EAP-AKA) 인증을 통해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

간혹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라며 뜬금없이 토스트 메시지가 뜰 때가 있는데, 자물쇠 달린 KT 와이파이 접속에 실패하는 것과 관련 있다. 와이파이 고급 설정에서 '와이파이 설정 초기화'를 하면 둘 다 해결된다고 한다. #해결법

ollehWiFi 시절에 KT용 단말기는 2013년(~젤리빈)산 단말기까진 통신사 커스텀을 통해 EAP-AKA인증(SIM인증)을 내장시켜[7] 접속할 수 있고, 2013년 이후(킷캣~)[8]부터는 제조사 커스텀으로 EAP-AKA인증을 내장해서 자물쇠 달린 KT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 타사(2013년이후)도 마찬가지라 SKT/U+ 단말기에 KT유심을 끼웠을 때도 AKA를 선택해서 보안된 KT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

알뜰폰 요금제에서도 보통 일정 금액 이상의 요금제 사용하거나 요금제에 상관없이 자사 요금제 사용 가입자라면 KT 와이파이를 끼워주는 게 있으니 잘 찾아보자. 생각보다 저렴하다. KT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요금제에 KT 와이파이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9]

4.1.2. KT용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

통신사 커스텀이 없던 외산 단말기나 넥서스 시리즈는 넥서스 5X/넥서스 6P에서야 SIM 인증이 가능해져 그 이전까지는, 즉 넥서스 5까지는 MAC 주소를 114고객센터에서 등록해야만 했다. 당연히 자물쇠 달린 KT 와이파이는 사용 불가. MAC 주소를 등록한 뒤 비보안(자물쇠 없는) KT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

KT를 통해 (위탁)유통한 외산 단말기는 이미 MAC주소가 등록되어있어서 개통 즉시 자물쇠 안 달린 KT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해외 직구 등 자급제 단말은 최초 1번은 114에 전화해서 MAC주소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이후에는 홈페이지에서 MAC의 수정이 가능하다.[10] 물론 EAP-AKA를 지원한다면 굳이 안 그래도 된다. 자물쇠 달린 KT 와이파이를 선택해서 인증 유형을 PEAP 대신 AKA를 선택하면 된다. 타사 단말에 KT유심을 끼웠을 때도 동일하니 AKA를 먼저 시도해보자.[11]

아이폰의 경우, iOS 14부터 MAC 주소를 비공개하는 기능이 들어가 있으므로, 비보안 Wi-Fi를 사용하려면 이 기능을 꺼 KT로 하여금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보안 Wi-Fi의 경우, 접속할 때 ID와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한다면, KT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설치해야 한다. KT 홈페이지의 프로파일 설치 링크

4.2. 한국 스타벅스 매장에 설치한 KT 와이파이

파일:KT 와이파이 인증 화면 (스타벅스) (1).png 파일:KT 와이파이 인증 화면 (스타벅스) (5).png
한국 스타벅스 매장에서는 KT 고객이 아니여도 KT_starbucksKT-starbucks라는 SSID로 접속하여 이름, 이메일만 입력하고 인증을 거치면 무료로 제한없이 이용 가능하다. 입력된 정보에 대해서는 검증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KT 전산망에 기록을 남기기 위한 것이므로 스타벅스 매장 내에 와이파이 이용에 문제가 생겨 KT의 기술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아닌 이상에는 이름과 이메일을 정확하게 입력할 필요없다.

파일:KT 와이파이 인증 화면 (스타벅스) (6).png
2017년 11월 28일부터 와이파이 인증 화면이 개편되었다. KT olleh WiFi라는 명칭은 없어지고 KT GiGA WiFi 서비스임을 안내하고 있다. 개인정보를 더이상 요구하지 않으며 약관 동의만 하면 바로 인증이 된다. 또 인증이 완료되면 깨알같이 스타벅스를 방문한 시기의 프로모션 제품의 광고가 나오는 페이지로 넘어가는데 이때부터 안심하고 사용하면 된다.

일부 스타벅스 매장의 경우에는 인증을 거치지 않고도 바로 와이파이 사용이 가능하다.

2018년 7월부로 KT에서 처음으로 스타벅스에 10GiGA WiFi를 상용화했다. 또한, KT_starbucks_Secure SSID도 생겼는데, KT_starbucks_Secure 연결 방법은

EAP 방식: PEAP
단계2: MSCHAPV2
ID: starbucks (소문자)
P/W: starbucks (소문자)

로 설정한 후 연결하면 된다.

4.3. KT 공공 와이파이

파일:KT 프리 와이파이 (1).png
KT 가입자가 아니라도 2017년 중순부터 KT_Free_WiFi를 통해 KT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2023년 하반기 이후로 기존에 설치된 KT 프리 와이파이가 점점 사라지거나 줄어들고 있다.

4.3.1. 무선 AP 제조사

4.3.1.1. Wi-Fi 6 (KT 10GiGA WiFi) 무선 AP
4.3.1.2. Wi-Fi 5 (KT GiGA WiFi) 무선 AP
4.3.1.3. Wi-Fi 4 (ollehWiFi) 무선 AP

5. 여담

6. 관련 문서



[1] 여담으로 민족사관고등학교 기숙사는 최소 2005년부터 네스팟을 도입했다. 강원도 횡성군 오지에 갇힌 학생들을 위한 배려였던 셈.[2] 2018년 12월 31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3] olleh 와이브로는 가입자가 어느정도 있었던 반면, T 와이브로 가입자는 거의 없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T 와이브로에 사용 중인 주파수를 반납하라는 권고가 내려졌다. SK텔레콤에서는 그 동안 와이브로를 구축했던 게 아까웠는지 T 와이브로 브릿지 특별 프로모션 (30GB 월 5,500원) 과 일부 지역 시내버스에 설치하여 가입자를 일시적으로 끌어올렸다는 게 정설. 현재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종료되어 옛 이야기가 되었으며, 대부분의 시내버스에서는 통신사별 와이파이가 철거되고 지자체 주도의 공공 와이파이(PublicWifi)로 대체되었다. 공공와이파이의 경우 지역별, 노선별로 3사가 분담하여 설치한다.[4] 2015년 현재는 안타깝게도 하이브리드 에그를 미는 덕에 와이브로 전용 에그를 기기약정(2년, 요금약정과 별개)만 걸고 할부금 없이 사기엔 이전보다 검색이 많이 필요하다.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하다.[5] 2023년 6월 기준 아직 해당 SSID의 KT 와이파이가 꽤 남아 있는 편이다.[6] 와이파이에 가입되지 않았다고 뜬다.[7] "WiFi 접속" 좀비앱을 말하는 것이다. 루팅해서 삭제하면 와이파이가 안 된다. 다만 삼성 갤럭시 시리즈는 2012년 갤럭시 S III부터 제조사 커스텀을 하고 있다.[8] 킷캣부터는 "KT WiFi 접속" 좀비앱이 탑재되어 있다. 사용 중지가 가능하다. 앞에서 말했지만 삼성 갤럭시 시리즈는 2012년 갤럭시 S III부터 이 방식을 사용해왔다.[9] LG U+ 또한 표준 요금제는 U+zone을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 SK텔레콤은 선불요금제를 포함한 모든 요금제에서 T wifi zone을 제공한다.[10] 번거롭긴 하지만 SK보단 낫다는 점에 위안을 삼자. SK텔레콤은 공식대리점/지점을 찾아가야만 MAC주소 등록/수정이 가능하다. 원래는 KT보다도 간단하게 최초 1번은 전화해야 한다는 조건도 없이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등록이 가능하던 걸 일부러 불편하게 바꿔버린 것.[11] SK텔레콤 T wifi zone 또한 이와 동일하니 참조하면 좋다. 통신사 커스텀 없는 외산 단말기를 쓴다면 'T wifi zone_secure'를 선택한 뒤 PEAP 대신 AKA를 선택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 반면 LG유플러스U+zone은 출시 시기별로 제각각이다. 대략 2014년 이후 단말기부터는 이와 같고, 이전 단말기는 PEAP인증(ID/PWD)을 이용한다.[12] 몇몇 점포는 LGU+의 것을 사용하고있다.[13] 완전한 KT 공식은 아니고, KTLTE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다. AP 는 Wistron Neweb Corporation 에서 제공한다. 다만 802.11a 대역만 지원하기 때문에, 속도는 빠르지 않다. (SSID: PublicWifi@BUS_Free_(노선 번호) / PublicWifi@BUS_Secure_(노선 번호)[14] 서울 시내버스처럼 완전한 KT 공식 WIFI는 아니고 인터넷 제공 업체(ISP)가 KT일뿐이다. 강화군내버스, 급행간선버스, 광역버스 일부분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준공영제 노선 버스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PublicWifi@BUS_Free_노선번호 또는 PublicWifi@BUS_Secure_노선번호 로 접속하면 된다. PublicWifi@BUS_Secure_노선번호 로 접속시 사진처럼 하면 된다 파일:인천시내버스 공공WIFI.jpg[15] 5~7호선 역에는 대부분 설치되어 있지만, 1호선 역은 용산역, 구로역, 수원역, 평택역, 천안역, 아산역 등을 제외하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이 많다. 영등포역 또한 2022년 이후로 기존에 있던 와이파이들이 사라졌다.[16] 학술정보관에는 재학생 전용 와이파이인 HOSEO_WLAN, 스터디룸 와이파이 등만 존재한다.[17] 신림역 내부 및 타임스트림 내부의 KT WIFI들은 175.197.94 대역을 사용한다.[18] 최대속도 4.8Gbps 까지 구현 가능.[19] 부천시 오정보건소에 다보링크 제품이 설치되어있다.[20] 옥룡캠퍼스와 천안캠퍼스는 통신사의 와이파이를 사용하지 않고 학교측에서 자체적으로 구축하였다.[21] 네스팟 시절부터 사용해왔으며 실제로 학교 일부 건물 외벽에 사용하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네스팟 장비를 목격할 수 있다.[22] 단 이 아이디로는 학교 외부의 AP에 접속이 안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