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0:28

M3 하프트랙/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3 하프트랙

1. 개요

M3 하프트랙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현대적인 APC가 등장할 때까지 M2/M3/M5/M9 하프트랙과 파생형인 M16 MGMC는 2차 세계대전에서 많이 생산되어 전후에도 많은 차량들이 계속 사용되었다. 게다가 타국으로 공여된 사례도 많았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파일:White_halftrack_'To_Hell_With_It!'_with_USAW-409826_pic2.jpg
개인 소장 M3 하프트랙
파일:U.S._Army_M3_half-track.jpg
제59회 토랜스 군사 퍼레이드의 미 육군 M3 하프트랙
원조 사용국.

2.1.2. 캐나다 자치령

파일:Canadian_War_Museum_M3_half-track.jpg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2.2. 중앙아메리카

2.2.1.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Dominican_Republic_M3_Half_track.jpg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의 M3A1 하프트랙
도미니카 공화국 육군의 M3A1 하프트랙 영상

2.2.2. 멕시코

파일:Mexican Army 7/o Regimiento Blindado de Reconocimiento M2A1 half-track.jpg
멕시코 육군 제7기갑정찰연대의 M2A1 하프트랙
파일:mexican_M3A1_half-track.jpg
멕시코군의 M3A1 하프트랙
파일:Mexican army 9/o Regimiento Blindado de Reconocimiento M9A1 half-track.jpg
멕시코 육군 제9기갑정찰연대의 M9A1 하프트랙
현역이다.

2.3. 남아메리카

2.3.1. 칠레

파일:3rd Armored Brigade 'La Concepción' M5 half track.jpg
칠레 육군 제3기갑여단의 M5 하프트랙
2차 대전 당시 M5 하프트랙 10대를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파일:M3_half-track_based_recovery_vehicle.jpg
칠레군의 M5 하프트랙 기반 구난 차량

2.3.2. 브라질

파일:South Military Command Museum M3 half track.jpg
군사 지휘 박물관 소장 M3 하프트랙

2.3.3. 볼리비아

파일:Bolivian_M3_half-track.jpg
볼리비아군의 M3 하프트랙
2차 대전 당시 미국으로부터 M3 하프트랙 24대를 공여받아 운용했다.
파일:bolivian_M5_half-track.jpg
볼리비아군의 M5 하프트랙
2007년에는 아르헨티나로부터 M5 하프트랙과 M9 하프트랙 37대를 공여받았다.

2.3.4. 페루

파일:Peruvian_M3A1_half-track.webp
페루군의 M3A1 하프트랙

2.3.5. 아르헨티나

파일:Argentine_Army_M9_half-track.jpg
아르헨티나 육군의 M9 하프트랙

2.3.6. 파라과이

파일:paraguaian_half-track.jpg
파라과이군의 하프트랙

3. 유럽

3.1. 중부유럽

3.1.1. 독일

3.1.1.1. 나치 독일
파일:M3&sdkfz251.jpg
501중전차대대의 M3 하프트랙과 Sd.kfz. 251
동부전선, 서부전선, 북아프리카 전선 등지에서 노획해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파일:ST10-M3wurfrahmen.jpg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 mit Wurfrahmen 40
1945년 독일-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서 미군이 노획한 독일군 소속 M3 하프트랙. 부르프라멘 40 로켓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독일군이 개조했다.
파일:captured_M3_halftrack_SPAA.jpg
}
1943년 튀니지의 프랑스제 model 25 3.7cm 대공포 탑재 Gep.MTW M3 401(a)
3.1.1.2. 독일연방공화국
파일:Deutsches_Panzermuseum_FlakPz M 16.jpg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연방군 소속 FlakPz M 16
1956년 192대의 M16A1 MGMC를 공여받아 1962년까지 운용했다.

3.1.2. 오스트리아

파일:Austrian_M3_half-track.jpg
오스트리아 연방군의 M4 81mm 자주박격포

3.1.3. 폴란드

3.2. 동유럽

3.2.1. 소련

파일:Park_Patriot_M3_Half_Track_‘351’.jpg
애국 공원 소장 M3A1 하프트랙
파일:Soviet_M5_half-track_Re-enactment.jpg
리인액트먼트 행사의 M5 하프트랙
랜드리스로 미국으로부터 M2 하프트랙 342대, M3 하프트랙 2대, M5 하프트랙 421대, M9 하프트랙 413대를 지원받았다. 지원받은 하프트랙 중 54대가 소련으로 수송되는 중 독일 유보트가 쏜 어뢰에 맞고 화물선이 침몰되어 실종되었다.

3.3. 북유럽

3.3.1. 덴마크

파일:Danish_Army_M3A1.jpg
코펜하겐 야외전시 M3A1 하프트랙
1946년과 1955년에 M3A1과 M5 하프트랙 32대를 공여받았다.

3.3.2. 핀란드

파일:Panssarimuseo_M2_half-track.jpg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M2 하프트랙
파일:Finnish_M2_half-track_towing_sFH 18_August_1949.webp
sFH 18 곡사포를 견인하는 핀란드 방위군 소속 M2 하프트랙, 1949년 8월
2차대전 종전 후 독일과 프랑스에 주둔 중 이었던 연합군으로부터 500대를 구매했다.

3.4. 서유럽

3.4.1. 영국

파일:British_Army_11th_Armoured_Division_M3_half-track.jpg
영국 육군 제11기갑사단의 M3 하프트랙

3.4.2. 프랑스

파일:Utah_M3A1.jpg
유타 해변 기념관 소장 자유 프랑스 육군 소속 M3A1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다량을 미국으로부터 공여받았다.

3.4.3. 네덜란드

파일:Nationaal_Militair_Museum_M3A1_half-track.jpg
네덜란드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3.5. 남유럽

3.5.1.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파일:JNA_M15_CGMC.png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M15A1 CGMC

3.5.2. 이탈리아

파일:Pinerolo Cavalry Museum M3 half-track.jpg
피네롤로 기병 박물관 소장 M3A1 하프트랙
파일:italian_M3A1_half-track.jpg
이탈리아군의 M3A1 하프트랙

3.5.3. 포르투갈

파일:Museu Salgueiro Maia_M3A1_m/1952.jpg
Salgueiro Maia 박물관 소장 포르투갈군 소속 M3A1 m/1952 하프트랙

3.5.4. 스페인국

파일:Museo de Unidades Acorazadas de El Goloso M3A1.jpg
엘 골로소 기갑부대 박물관 소장 스페인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M3A1 하프트랙
1950년대 중반 미국으로부터 M3A1 하프트랙 154대, M4A1 MMC 12문, M14 MGMC 78대, M16 MGMC 14대를 공여받아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까지 운용했다.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대한민국

파일:yongsan_M16A1.jpg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국군 소속 M16A1 MGMC
대한민국 국군은 6.25 전쟁 이전에 소수의 M3 하프트랙을 공여를 받았다.

M3 하프트랙과 파생형인 M16 MGMC를 공여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시간이 흘러 대한민국 국군이 발전하면서 M3 하프트랙 계열은 노후 장비로 퇴역하면서 포탑을 분리하여 승공포로 운용하고 있다.

4.1.2. 중화민국

파일:ROC_M2A1.jpg
국민혁명군의 M2A1 하프트랙

4.1.3. 일본

4.1.3.1. 일본 제국
파일:imperial_Japanese_captured_halftrack_lost_in_the_river.jpg
강에 빠진 일본군의 M3 GMC
4.1.3.2. 일본국
파일:JGSDF_M16_MGMC.jpg
육상자위대의 M16 MGMC
파일:JGSDF_M15A1_CGMC.jpg
육상자위대의 M15A1 CGMC
일본 육상자위대는 M15A1 CGMC를 보안대 시절에 도입해 1990년대까지 운영했는데 동시기에 도입한 M16 MGMC가 1970년대에 퇴역한 것에 비교하면 상당히 오래 운영한 것이다. 70~80년대에 오리콘 35mm 2연장 대공포87식 35mm 자주대공포 도입으로 사실상 일선에서 밀려나긴 했지만 일본 자위대 장비 도입 사업 자체가 장기간에 걸친 소규모 도입이라서 퇴역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이라고 한다.

4.1.4. 북한

파일:Victorious Fatherland Liberation War Museum M16 MGMC.jpg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M16 MGMC
미제침략군 자행고사총

한국전쟁 당시 M16 MGMC를 노획해 현재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서 전시 중이다.

4.2. 서아시아

4.2.1. 이스라엘

파일:IDF_M2_Half-track.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자흘람 M3
중동전쟁 당시 이스라엘군도 세계 각지에서 M2, M3,M5 하프트랙을 입수해서 모든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을 "자흘람(זחל"ם) M3"이라는 제식명으로 통일했다.
형식 세부사항
자흘람 M3 데겜 알레프 일반 병력수송용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자흘람 M3 데겜 베트 여러개의 라디오와 M2HB 중기관총을 탑재한 지휘차량
자흘람 M3 데겜 기멜 81mm M1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자흘람 M3 데겜 달렛 120mm Soltam M-65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
자흘람 M3 데겜 He 75mm 크루프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곡사포
자흘람 M3 데겜 Waw 20mm 오리콘 기관포 2문을 M45 마운트에 탑재한 자주대공포 페이퍼플랜
이스라엘의 파생형들은 다음과 같다.
파일:b914645334dd09229c27e6461541cfa4.jpg}}} ||
프랑스제 90mm DEFA 포를 장착한 버전
파일:M3_TCM-20.jpg}}} ||
M3 TCM-20 "Hatzerim"
TCM-20 마운트를 탑재한 자주대공포
파일:Zachlam_M3_Tager.jpg}}} ||
자흘람 M3(타게르)
프랑스제 SS.11 대전차 미사일을 단 버젼.

4.2.2. 레바논

파일:Lebanese_M3_half-track_command_variant.jpg
레바논의 M3 하프트랙 지휘차량
이스라엘이 레바논 내전 당시 남레바논군, 타이거즈 민병대 등의 기독교 민병대들에게 공여했다.
4.2.2.1. 남레바논군
파일:An SLA militia M5 based halftrack in southern Lebanon, early 1980s.jpg
남레바논군의 M5 하프트랙, 1980년대 초

4.3. 동남아시아

4.3.1. 필리핀

파일:Angeles City Police Department, Philippines_M3_half-track.png
필리핀 엔젤레스 경찰의 M3 하프트랙
파일:Filipino_M3_half-track_during_korean_war.jpg
한국전쟁 당시 필리핀군의 M3 하프트랙
파일:Filipino_M16_MGMC_during_korea_war.jpg
한국전쟁 당시 필리핀군의 M16 MGMC

4.3.2. 베트남

파일:Hanoi_Army_Museum_M3_half-track.webp
하노이 육군 박물관 소장 M3 하프트랙

4.3.3. 태국

파일:Thai Army M3 half-track fitted with a Bofors 105mm Howitzer.webp
타이 왕립 육군의 보포스 105mm 곡사포 탑재 M3 하프트랙

4.3.4. 라오스 왕국

파일:Royal_Laotian_Army_M3A1_half_track.jpg
라오스 왕국군 소속 M3 하프트랙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