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5:45:55

Sunflower(비치 보이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ba6, #005ba6 20%, #005ba6 80%, #005ba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파일:beachboys_logo.png


{{{-2 {{{#!folding [ 전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dd831b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Surfin' Safari.jpg
파일:Surfin' U.S.A..jpg
파일:Surfer Girl.jpg
파일:Little Deuce Coupe.jpg
파일:Shut Down Volume 2.jpg

1962

1963

1963

1963

1964
파일:All Summer Long.jpg
파일:The Beach Boys' Christmas Album.jpg
파일:The Beach Boys Today!.jpg
파일:Summer Days (And Summer Nights!!).jpg
파일:Beach Boys' Party!.jpg

1964

1964

1965

1965

1965
파일:Pet Sounds.jpg
파일:Smiley Smile.jpg
파일:Wild Honey.jpg
파일:Friends.jpg
파일:20/20.jpg

1966

1967

1967

1968

1969
파일:Sunflower.jpg
파일:Surf's Up.jpg
파일:Carl and the Passions – "So Tough".jpg
파일:Holland.jpg
파일:15 Big Ones.jpg

1970

1971

1972

1973

1976
파일:The Beach Boys Love You.jpg
파일:M.I.U. Album.jpg
파일:L.A. (Light Album).jpg
파일:Keepin' the Summer Alive.jpg
파일:the beach boys-1985.jpg

1977

1978

1979

1980

1985
파일:still cruisin'-1989.jpg
파일:summer in paradise-1992.webp
파일:Stars and Stripes Vol. 1.jpg
파일:That's Why God Made the Radio.jpg

1989

1992

1996

2012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관련 문서 ]
}}}}}} ||
파일:beachboys_logo.png
비치 보이스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1969년 2월 10일
15집 20/20
1970년 8월 31일
16집 Sunflower
1971년 5월 27일
17집 Surf's Up
수상 내역
[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800080><width=90>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594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594위 ||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380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03년 380위 ||

파일:Uncut5001970album.jpg
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484위

Sunflower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61GqAmz4wnL.jpg
<colbgcolor=#fff><colcolor=#6864a3> 발매일 1970년 8월 31일
녹음일 1967년 10월 26일 - 1970년 7월 21일
장르 팝 록, 선샤인 팝, 사이키델릭 팝, 바로크 팝
재생 시간 36:55
곡 수 12곡
프로듀서 비치 보이스
스튜디오 비치 보이스 스튜디오
골드 스타 스튜디오
선셋 사운드 레코더
레이블 브라더 레코드
리프라이즈 레코드
1. 개요 2. 상세3. 평가4. 수록곡5. 여담

[clearfix]

1. 개요

비치 보이스가 1970년 발매한 16번째 정규 앨범.

2. 상세

SMiLE 프로젝트가 엎어지고 약간의 시간이 흘러 20/20 앨범이 발매되고, 브라이언이 아버지 머리 윌슨과 공동 작곡한 싱글 Break Away가 발매되어 히트되는 등의 일이 있었으나 브라이언은 여전히 심적으로 괴로워하고 있는 상태였다.[1] 그렇기에 이 앨범은 브라이언보다는 다른 비치 보이스 멤버들의 활약이 두드러지는데, 특히 데니스 윌슨의 참여가 컸다. 가장 먼저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도 데니스였으며 본 앨범에서 최고의 곡으로 꼽히는 Forever가 바로 데니스가 작곡한 곡이다. 또한 이 때 데니스의 곡 River Song 이 녹음되기도 했다.[2]

어떻게 보면 브라이언의 개인적인 문제들뿐만이 아니라, 비치 보이스 멤버들 개인개인의 문제들이 대내, 대외적으로 발생해, 과언이 아니라 밴드가 해체될 뻔했던 상황에서 나온 정말 기적같은 앨범이라고 볼 수 있다.

처음에는 Sunflower 가 아닌 Sun Flower, 혹은 Add Some Music 등의 제목으로 기획된 프로젝트는 몇 차례의 트랙리스트 변경 등을 통해 현재의 제목인 Sunflower 로 굳어진다. 이 때 레코딩되었으나 미발매된 곡은 이후 Surf's Up과 같은 앨범에 실리게 된다.

3. 평가

AllMusic 4.5/5, 롤링 스톤 5/5, 피치포크 8.9/10

사실 판매량은 영 좋지 않았다. 영국에는 29위에 올랐으나 미국에서는 겨우 4주 간 차트에 오르며 151위를 찍었고 발매된 싱글들도 아예 차트에 오르지 못한 곡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현재 각종 평론가들로부터는 그야말로 찬사를 받고 있는 명반이다. 음악 잡지 Paste에서는 '비치 보이스의 Abbey Road' 라고 평했으며 Popdose 는 'Pet Sounds 이후 비치 보이스 커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앨범'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칼 윌슨도 이 음반에 대해 비치 보이스의 앨범 중 가장 진정한 비치 보이스만의 앨범일 것이라고 하며, 멤버들 각자는 거의 모든 곡을 만드는 데 함께 관여했고, 누군가가 스튜디오에 일찍 내려와 있으면, 다른 누군가가 속속 도착해서 곡 작업을 도우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2003년롤링 스톤지 선정 500대 위대한 앨범에 수록되었고 영국가디언지에서 뽑은 위대한 100대 앨범 중 66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4. 수록곡

싱글 발매된 곡은 굵게 표기한다.

5. 여담


[1] 가장 큰 원인은 머리 윌슨이 브라이언의 곡들을 전부 Sea of Tunes 사에 팔아넘긴 것이다.[2] 이 곡은 이후 데니스의 솔로 앨범 Pacific Ocean Blue에 수록된다.[3] Proto-Shoegaze 혹은 Proto-Dream pop[4] 대신 계약 조건은 브라이언 윌슨이 이 음반뿐 아니라 앞으로 제작할 음반에 밴드 멤버들과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우라는 것과, 음반의 퀄리티를 전성기 때처럼 만들라는 것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