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5:44

Е

키릴 문자 (Кириллица)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Ѕ ѕ И и
І
і
К к Л л М м Н н О о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Ф ф Х х Ц ц Ч ч Џ џ Ш ш Ъ ъ Ы ы Ь ь Ю ю Я я
기타 문자

1. 개요2. 상세3. Ё ё4. Є є5. Э э6. Ӗ ӗ

1. 개요

Е е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6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예스트(єстъ). 대부분의 언어에서 /e/ 혹은 /ɛ/ 발음을 나타낸다. 유래는 그리스 문자 엡실론(Ε/ε).

2. 상세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기본적으로 /je/ 발음이며, т, д, н, с, з 뒤에 오면 구개음화가 작용한다. 러시아어의 경우 강세가 안 들어가면 /i/ 비슷하게 읽는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는 /je/ 발음을 ѥ로 나타냈는데, 후에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및 우크라이나어를 포함하는 동슬라브어권에서 ѥ라는 글자가 원래 /e/ 혹은 /ɛ/ 발음을 나타내던 е와 혼동되다가 사라지고, 아래에 나올 е의 여러가지 형태인 є나 э하고도 섞이게 되어 е, є, э 세 가지가 /je/나 /e~ɛ/를 뒤죽박죽 나타내게 되었다. 나중에 근대적인 철자법이 들어오면서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세 형태 중 е, э를 각각 /je/와 /e/에, 우크라이나어에서는 є, е를 각각 /je/와 /e/로 고정하게 된다.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등 남슬라브어권에서는 동슬라브어권과는 달리 안정적으로 /ɛ/나 /e/로 자리잡았다. 따라서 є나 э 같은 문자는 남슬라브어권에서 쓰이지 않는다. 이 지역에서 /je/ 발음을 나타낼 때는 й를 써서 йе(불가리아어)로 쓰거나 라틴 문자에서 따온 ј를 써서 је(세르보크로아트어, 마케도니아어)로 쓴다.

러시아어의 경우 로마자 전사 표기가 E이기 때문에 표기법에서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옐리자베타엘리자베타로 표기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Е와 Э의 구분이 확립된 것이 19세기인데 로마자 표기는 그 이전 뒤죽박죽으로 섞어쓰던 표기를 따른 것이 때문이다. 구분을 위해 현대에는 yeje로 전사하기도 한다.

그리고 러시아어에서는 외래어의 е를 э처럼 읽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теннисинтернет. 이 경우 е 앞의 т는 구개음화되지 않고 일반적인 경자음으로 발음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굳이 구분하지 않고 е를 그대로 읽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는 당연히 구개음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테니스를 [떼니스]라고 읽어도 되고, [쩨니스]라고 읽어도 된다.

3. Ё 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러시아어벨라루스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키릴 문자. 러시아어 시민 문자(Гражданский шрифт)의 영향을 받은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몽골어, 타지크어, 추바시어, 우드무르트어에서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로 옮긴다.

러시아어에서의 발음은 /jɵ/이며, Е와는 이질적인 모음이지만, 러시아어에서 Ё 발음은 Е에서 강세를 주는 것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비슷한 문자로 표기한다. 이런 역사적 이유로 러시아어 Ё에는 항상 강세가 들어가 있다. 한 단어에는 강세가 하나씩 들어가므로 일부 고유명사외래어를 제외하면 한 단어에 하나씩 나오는 게 보통이다.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일반적으로 jo나 yo로 옮기지만, 러시아어에서 [jo] 발음을 옮겨적을 때는 대개 Ё 대신에 Йо, ио, ьо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다만 한국어일본어에서 자음을 수반하는 ㅕ, ㅛ 발음을 옮길 때는 ё를 쓰기도 한다. 오히려 라틴 문자권에서 Ø, Ö, Œ, Oe로 표기되는 /ø/, /œ/ 음소를 러시아어로 옮길 때 О, Э와 함께 Ё를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Этвёш(Eötvös, 외트뵈시)가 있다.

실제 러시아어 모어 화자들은 이 글자를 많이 쓰지 않으며, 비슷한 글자인 'E'나 'e'라고 표기하는 방식으로 퉁친다. 당장 스마트폰의 경우도 E를 길게 눌러야 하며, 많은 키보드의 경우 이 글자를 '~' 위치에 할당해 두었다. 그리고 러시아어 모어 화자라면 대부분의 경우 저 위의 두 점 없어도 문맥으로 Е인지 Ё인지 구분할 수 있다.

4. Є є

우크라이나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 발음은 /je/ 혹은 /jɛ/.

5. Э э

슬라브어권에서는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 러시아어로는 에 오보로트노예(э оборо́тное)[1]라고 한다. /e/ 발음을 나타낸다. 다만 국립국어원러시아어 표기법에서는 '예'로 표기한다.

러시아어 고유어에서는 этот(이것)와 그 파생어만 이 문자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가 형태적으로 э(감탄사)+тот(저것)의 합성어라서 그렇다. 반면에 벨라루스어에서는 э가 고유어 계통에도 꽤 쓰인다.

러시아어에서 키릴 문자를 차용한 대부분의 시베리아중앙아시아 언어들은 /e/를 표기할 때 보통 е를 쓰고 /je/와 혼동되는 경우에만 э를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몽골어부랴트어, 사하어, 어웡키어처럼 э를 주로 쓰는 언어들이 몇몇 존재한다.

체르케스인들이 사용하는 아디게어카바르다어는 문법적으로 모음이 /ə/와 /a/, /aː/의 세 가지밖에 없는데, 이들 언어에서는 а는 장음 a를 나타내는 데 쓰이고 э는 단음 a를 나타낸다.

6. Ӗ ӗ

추바시어에서 사용하는 문자이다. 발음은 /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6
, 2.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어로 번역하면 뒤집어진 Е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