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1:00:18

가야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함안군의 읍에 대한 내용은 가야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고령군의 읍에 대한 내용은 대가야읍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2273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합천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합천읍
가야면 가회면 대병면 대양면
덕곡면 묘산면 봉산면 쌍백면
쌍책면 야로면 용주면 율곡면
적중면 청덕면 초계면 삼가면
}}}}}}}}} ||
합천군
가야면
伽倻面 | Gaya-myeon
<colbgcolor=#ef312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 합천군
행정표준코드 5480041
관할 법정리 14리
하위 행정구역 26행정리 69반
면적 104.99㎢
인구 3,959명[1]
인구밀도 38.46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호 (3선)
경상남도의원 | 합천군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장진영 (초선)
합천군의원 | 나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신명기 (3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삼술 (3선) }}}}}}}}}
행정복지센터 가야시장로 92 (야천리 465-5)
가야면사무소
1. 개요2. 지명 유래3. 역사4. 특징5. 인구6. 환경7. 설화 및 지명유래
7.1. 야천리
7.1.1. 야천1구7.1.2. 야천2구7.1.3. 야천3구
7.2. 구원리
7.2.1. 구원1구7.2.2. 구원2구
7.3. 치인리
7.3.1. 치인1구7.3.2. 치인2구
7.4. 죽전리7.5. 대전리7.6. 가천리7.7. 구미리
7.7.1. 구미1구7.7.2. 구미2구
7.8. 매안리
7.8.1. 매안1구7.8.2. 매안2구
7.9. 성기리
7.9.1. 성기1구7.9.2. 성기2구
7.10. 청현리
7.10.1. 청현1구7.10.2. 청현2구
7.11. 이천리7.12. 매화리
7.12.1. 매화1구7.12.2. 매화2구
7.13. 사촌리
7.13.1. 사촌1구7.13.2. 사촌2구
7.14. 황산리
7.14.1. 황산1구7.14.2. 황산2구7.14.3. 황산3구
8. 교통
8.1. 도로교통8.2. 버스교통
9. 교육
9.1. 관내 학교 목록9.2. 교육 환경
10.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거창군 가조면,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성주군 수륜면과 맞닿아 있다.

2. 지명 유래

가야면이라고 호칭한 것은 이름난 영산이며, 이고을의 진산인 가야산을 본떠서 지었다고 보아지며, 가야는 범어(고대 인도어)로 ‘소’를 의미한다. 가야산이 본래 ‘소머리산’으로 붙이게 된 것은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부터일 것으로 가야(伽倻)라는 글자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3. 역사

가야면은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속하였으며, 그때 다라국이라는 부족국가가 있었는데, 1세기 고령에서 일어난 대가야가 주위의 부족국가를 병합함에 따라 2세기경 다라국도 대가야국에 병합되었다. 따라서 신라 3국 통일이 있기까지는 대가야국의 영토로 소속되었다. 그 후 적화현으로 불리다가 35대 신라 경덕왕 16년에 야로현으로 고쳐 불리면서 고령군에 영속되었다. 8대 고려 현종 9년에 신라 때 대량주였다가 경덕왕때 강양군으로 고쳐졌던 합천 고을이 현종의 할머니 신성왕후의 출신지가 되어 지합주사로 승격됨에 따라 비로소 합주의 속현이 되었는데, 별명으로 야성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조선 태종 13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합주가 합천군이 되고 야로현이 폐현됨으로써 합천군에 속하게 되었다. 고종 28년 각사, 산어, 숭산 3개면으로 분면되었다가 1914년에 행정구역톱합에 따라 가야면으로 호칭하게 되었다. 가야면으로 통합되면서 빙영이 야로면으로 이관되고 죽전, 대전, 가천, 구미, 매안, 성기, 청현, 이천, 매화, 사촌, 황산, 야천, 구원, 치인의 14개리로 개편 관할하게 되었다.

4. 특징

면소재지는 야천리이다. 가야산 국립공원, 해인사, 홍류동계곡이 있다. 파프리카양파가 특산물이다. 야로면,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고령군 덕곡면과 접한다. 김천시 증산면과는 도로도 없고 시경계와도 1.8km 차이로 안 맞닿아 있다. 야로면과 함께 '야로현'이라는 독립된 고을이었다가, 고려 현종 때 합주에 병합됐다. 각사면, 숭산면, 산어면이 합쳐져 가야면으로 통합되었다. 합천군 관할이지만, 합천읍까지는 거리가 32km 정도로 30km를 넘으며[2] 합천읍으로 가는 도로는 묘산면으로 가는 도로를 제외하면 왕복 2차로에 선형도 좋지 못하지만[3] 고령 및 대구로 가는 도로는 야로면까지만 가면 확장된 4차로 광주대구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대구는 대도시이기 때문에 생활권은 고령군 내지는 대구광역시와 더 밀접하다. 밀접한 정도를 넘어 경상북도로 착각할 정도 가야면은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으로 유명하며, 사람들의 제반 생활여건 또한 해인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단, 광주대구고속도로 해인사IC는 이 면이 아닌 야로면에 있으나 북쪽으로 조금만 더 올라가면 가야면소재지가 나온다. 그 나들목과 해인사 덕분에 대구 서부정류장에서 버스가 비교적 자주 와서(일 14회 정도.) 대구 방면의 교통이 편하다.[4][5] 과거에는 진주가는 버스[6], 대전가는 버스도 있었다. 사방이 고산준령에 둘러싸여 산세가 수려하고 지역이 넓고 골짜기마다 취락이 형성되어 있어, 면소재지에서 가장 먼 곳은 15km나 될 정도로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인사와의 거리는 6km 정도이다. 인구는 합천읍 다음으로 많으나, 읍으로 승격은 어려워 보인다. 원래 1970~1990년대에 도자기공단으로 인구가 15,000명에 가까웠으나, 지금은 4,000여 명 밖에 안되는 상황이다. 참고로 거창으로 가는 버스도 적지만 있다. 2018년 4월 30일 까지 거창고속이 운행하는 직행버스와 서흥여객이 운행하는 매안-대학동-가조 경유 농어촌버스가 있었다. 2018년 5월 1일 상술한 대전복합-거창-야로-가야-해인사 노선이 폐지되면서 현재는 농어촌버스만 남아있다. 단, 해인사로는 들어오지 않고 가야면소재지 까지만 들어오며, 거창읍까지의 거리는 대가야읍은 물론 합천읍보다도 더 멀다.

합천 매안리비가 있다.

5. 인구

파일:합천군 CI.svg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8,673명
1930년 8,783명
1935년 8,379명
1949년 10,974명
1955년 10,668명
1966년 14,893명
1970년 13,468명
1975년 12,849명
1980년 10,555명
1985년 9,635명
1990년 7,413명
1995년 6,463명
2000년 5,902명
2005년 5,066명
2010년 5,234명
2015년 4,837명
2020년 4,272명
2023년 7월 4,0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6. 환경

가야면은 산간지방으로 치며 주로 가야산과 매화산을 끼고 있어 자연친화적이다.

7. 설화 및 지명유래

7.1. 야천리

야천리는 본래 합천군의 각사면(各寺面)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탑골(塔洞),전골(廛谷),늘밭(於田),월각사(上角寺)등을 병합하여 야천(倻川)의 이름을 따라 야천리라 하였으며 탑골동네는 신라때 반야사란 절이 있었다. 탑골,전골,늘밭, 윗각사 등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었으며, 북두산(北斗山:687.9)기슭에 넓은 면적의 콩밭골이란 고원지대가 형성되고 있다.

7.1.1. 야천1구

7.1.2. 야천2구

옛날 각사라는 절이 있었으므로 각사라고 불렀다. 절터의 흔적은 찾을 수가 없으며, 상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야천2구를 웃각사 건너편에 있는 황산1구(노르미)를 아랫각사라 부르고 있는 것을 보면 양편에 절이 있었던 것은 틀림없으며, 뒷산의 전경이 아름다우며, 앞에는 가야천의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있다

7.1.3. 야천3구

구원리로 있다가 공장지대만 공장 마을로 1977년 분동되었다가 1984년 공장마을에서 구원2구와 야천3구로 분동되었다.

7.2. 구원리

구원리는 본래 합천군 각사면의 지역으로 사기점이 있었으므로 묵은점, 또는 구점, 구원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기점,터서리, 홍류동(紅流洞)등을 합병하여 구원리라 하게 되었다. 본 마을 뒤에는 가산(伽山)이 있고, 서편에는 소의 모양과 같다는 써구산이 둘러싸여 있으며, 홍류동천 물이 이 마을 앞을 흐르고 있으며 성주군 수륜면(修倫面)과 접경을 이루고 있다.

7.2.1. 구원1구

7.2.2. 구원2구

원래 구원리 동네에서 1979년 구원2구와 야천3구로 분동되었으며, 삼환, 유신, 대원도자기 공장 등으로 이 일대가 도자기 공장 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 주민들은 거의 모두 공장 종업원으로 일하고 있다. 예부터 이곳은 사기를 많이 구웠으므로 점이라 했지만, 그 이후 손병린씨가 합천도기를 건립하여 운영해 오다가 고려도기, 현성도기 등 많은 업체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7.3. 치인리

본래 합천군 각사면 지역으로서 해인사가 있었으므로 치인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장동,초막동을 병합하여 치인리라 하여 가야면에 편입되었다.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선생의 이름을 따서 치원리(致遠里),치인리(致仁里)로 불리워 오다가 1914년 치인리(淄仁里 淄:스님의 검은 옷)로 불리어 오고 있다. 삼정·마장·초막동 등 3개 자연 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해발800m 고지에 위치하고 있어 벼농사가 잘 되지 않아 약초,감자 등 작물을 재배 해 오다가 1980년 고랭지 채소를 재배하여 소득이 증가되자 그 경작면적을 확장하였으며, 1989년부터는 화훼단지를 조성하여 고소득을 올렸으며, 2002년도부터는 파프리카를 재배하여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국보 52호 팔만대장경을 소장한 법보종찰(法寶宗刹) 해인사를 중심으로 뒤로는 1,430m의 가야산과 남에는 1,010m의 남산제일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상가단지를 중심으로 원치인,삼정,마장,초막,장자동 등 자연마을과 14개의 암자로 형성되어 있다. 주산업은 관광업이며, 가야산 실버타운 및 해인사 실버타운 등의 노인 복지 시설이 있다.

7.3.1. 치인1구

7.3.2. 치인2구

애장왕후의 등창병을 낫게 해 준 보답으로 신라40대 애장왕이 해인사 창건을 위하여 3년간 머물 때 삼정승의 직위에 해당되는 고관들이 함께 따라와 머문 곳이라 하여 삼정이라 부른다고 전해 오고 있다.

7.4. 죽전리

죽전 마을은 합천군 숭산면의 지역으로 대나무 밭이 있으므로 대밭골,또는 죽전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석계동,내동, 토점동 등을 병합하여 죽전리라 하였다. 이 마을은 샛터, 석계동, 대밭골 3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었으며, 앞쪽으로는 비계산(飛鷄山. 1125.7m)과 죽전 저수지가 있고, 뒤쪽으로는 아흔아홉 골짜기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여름철의 휴양객을 불러모으는 데 손색이 없다.

7.5. 대전리

대전 마을은 합천군 숭산면의 지역으로 큰 밭이 있으므로 한밭,대전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황령동(황령;노른재),남교동, 그 이후 한밭 이름을 따라서 인지 몰라도 1975년에 앞산을 개간하여 수만평의 큰 밭을 이루어 현재 약초,초지(草地)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 마을은 한밭을 중심으로 위로는 황령(노른재),아래로는 남교 등 3개의 자연 마을로 형성되었으며, 앞에는 높은 비계산으로 가로막혀 있고 뒤로는 죽전 저수지가 있다. 인구는 2002년말 현재 109가구에 261명이 살고 있으며, 가야산 온천개발이란 명칭으로 경남고시제 1995-97호로 고시하여 온천개발사업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온천법 제3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의 규정에 의거 가야면 대전리 일원이 온천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지구면적 및 범위는 1,872,000㎡ 온천 개발 예정지역은 670,000㎡이며,1995년 5월11일 고시되어 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7.6. 가천리

가천 마을은 조선조 중엽 임진왜란 때 피란민인 마씨들이 처음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였고, 그 후 전의이씨와 광산김씨가 동시에 이주해 와 살아왔는데 마을에서 정면으로 바라보면 한밭마을 뒷산의 봉우리의 큰 바위 형태가 우뚝 솟아 불이 훨훨 타오르는 형상으로 화산이 마을에 영향을 주어 마을에 화재가 자주 일어 난다고 하여 마을앞에 연못을 파고 수로를 마을 한가운데로 돌아 흐르도록 하였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내를 더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하여 더내 즉 가천이라 불러왔다고 한다. 이 마을은 합천군 숭산면의 지역으로 더내,지산,덕방 3개의 자연 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앞에는 비계산과 뒤로는 매화산이 둘러싸고 있다.

7.7. 구미리

합천군 숭산면의 지역으로서 거북의 꼬리와 흡사하다고 구미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학계동,상백동,임북동,중매동 일부와 병합하여 구미리라 해서 가야면에 편입되었다. 숲뒤,학계 2개의 자연 마을로 형성되었으며, 마을 뒷쪽으로는 매화산(梅花山)이 있고, 앞에는 매안천이 흐르고 있다.

7.7.1. 구미1구

* 본동은 매화산 기슭에 위치한 구미실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7.7.2. 구미2구

* 숲뒤, 학계 : 본동은 연대 미상이나 자연마을로 학계, 숲뒤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매화산 밑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면으로 비계산,오도산,두무산이 우뚝 솟아 있고,북에서 정남으로 흐르는 시냇물은 맑고 깨끗하며 학들이 많이 찾아오는 도래지였다. 그리고 냇가를 따라 무성히 우거진 숲속은 각종 새들의 서식처가 되어 학계,숲뒤 마을로 이름하였다.

7.8. 매안리

숭산지역의 중심지로 매화산 밑의 들 가운데 언덕으로 되어 있으므로 매안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매동·중매동·야동·영전을 병합하여 매안리라 해서 가야면에 편입 되었다. 상매,중매,하매,야동,영전 5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뒤로는 비계산이 우뚝 솟아 있고, 앞에는 숭산천이 길게 흐르고 있다.

7.8.1. 매안1구

7.8.2. 매안2구

7.9. 성기리

합천군 숭산면 지역으로서 옛성터가 있으므로 성터, 또는 성기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산재동,상두동,하두동을 병합하여 성기리라 하였다. 현재 성기리는 성터,나부골,하두,상두동,점터 등 5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성터 뒤에는 비계산(飛鷄山. 1136m)과 남에는 오도산(吾道山)이 있고 거창군 가조면과 접경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기존 해인농장 목초부지위에 조성된 아델스코트 컨트리 클럽이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7.9.1. 성기1구

7.9.2. 성기2구

7.10. 청현리

합천군 산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개터 밑이 되므로 개터 또는 구현, 청현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전동, 이천동의 각 일부와 숭산면의 중매동 일부를 병합하여 청현리라 하였다. 동네 생긴 모양은 개와 같고 앞산이 호랑이가 옆으로 앉아 있는 형인데 자연마을 옆산이 포수가 총을 겨누고 있는 형국이라서 개를 잡아먹지 못한다고 전해오고 있다. 현재 청현리는 개터, 신평, 오전동 3개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터고개는 야로면 묵촌리와 경계를 이루고 신평은 묘산면 안성마을과 경계를 이루며 오전동 앞에는 광주대구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7.10.1. 청현1구

7.10.2. 청현2구

7.11. 이천리

이천마을은 합천군 산어면의 지역으로 숭산천이 마을 앞을 흐르므로 시내 또는 이천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구우동을 폐합하여 이천리라 하였다. 구이터(구현동)는 이천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신라말엽 도선국사가 아홉 번 찾아와 명당터임을 확인하였다 하여 구현동이라 한다. 이마을은 시내,구이터 2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었으며, 시내 자연마을 앞에는 숭산천이 흐르고 광주대구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구이터 뒷산에는 옛날 성을 쌓던 곳이 남아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으며 야로면 월광리와 접경을 이루고 있다.

7.12. 매화리

합천군 산어면의 지역으로서 매화산(梅花山) 954.1m) 밑 이 되므로 매화동 또는 맬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중동, 정동, 저전동, 일부를 병합하여 매화리라 해서 가야면에 편입되었으며, 마을(정동)에서 보관중인 동지(洞誌)에는 한씨(韓)와 배씨(裵氏)가 먼저 정착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는 경주김씨와 파평윤씨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현재 매화리는 우물, 쑥곡, 새양골, 맬리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 주위는 일찍이 경지정리를 한 전답과 과수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7.12.1. 매화1구

7.12.2. 매화2구

7.13. 사촌리

본래 합천군 산어면 지역으로서 누이기 또는 사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심대동, 내사동, 외사동, 매화동을 병합하여 사촌리라 하였다. 현재 사촌리는 내사, 외 사, 중무동, 새청, 4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마을 뒤로 매화산(梅花山. 954.1m)이 있으며, 사방이 산으로 둘러 싸여있다. 물이 귀해 가야면에서 가장 한건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7.13.1. 사촌1구

7.13.2. 사촌2구

사촌2구는 매화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뉘기’ ,새청 두마을을 사촌2구라 한다. 마을 뒤 수려한 매화산이 병풍을 두른 것 같이 동네를 감싸고 있다. 골짜기가 없어 물이 본면에서 가장 귀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7.14. 황산리

본래 합천군 각사면의 지역으로 산의 흙이 누르므로 누르미, 황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각동, 청량동, 구원동, 일부와 산어면의 외사동 일부를 병합하여 황산리라 하였은데 1950년경 1, 2구로 분동 되었다가 1958년경 1, 2, 3구로 분동되었다. 황산3구는 현재 가야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면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김해김씨, 곡부공씨, 연안차씨의 성씨가 대중을 이루고 있다. 황산리는 노르미 , 시장, 청량동, 무릉동 등 자연마을로 형성되었으며, 노르미 앞에는 해인사에서 내려오는 가야천이 흐르고 청량동 뒤에는 매화산과 남산제일봉이 있어 사계절 등산객이 줄을 이으며, 청량사에는 보물 3점을 소장하고 있어 어느 암자보다도 소중함을 나타낸다.

7.14.1. 황산1구

7.14.2. 황산2구

7.14.3. 황산3구

가야시장은 일제말기인 1941년2월 5일 경상남도 지사의 허가를 받아 개장(開場)하였다. 이 일대는 당시 해인사의 소유지였기 때문에 사찰측의 협조에 의하여 시장이 세워졌다. 전국 장사 씨름대회를 갖는 등 지방민들의 협력이 대단했다고 한다. 한편 가야장은 해인사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더욱 번창하였고 1974년에 해인사 신 마을이 옮겨지면서 진입로가 포장되고 주민수가 늘어나 더욱 번창하게 되었으며, 또한 1984년 88올림픽고속도로가 가야면을 경유케 되면서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8. 교통

8.1. 도로교통

59번 국도1084번 지방도, 1036번 지방도, 광주대구고속도로가 지나간다.

8.2. 버스교통

대구서부-고령-해인사 시외버스가 코로나 이전에는 1일 20회(40분~1시간 간격)로 운행하였으나, 2020년 5월에 1일 14회(40분~1시간 20분 간격)로 운행중이다. 시외로 나가는 사실상 유일한 경로이다. 농어촌버스로는 합천-묘산-야로-가야-해인사 농어촌버스(808번)와 거창-가조-가야 농어촌버스가 각각 1일 4회, 묘산-야로-가야 농어촌버스가 1일 1회, 야로-가야 농어촌버스가 1일 3회로 운행중이다.

9. 교육

9.1. 관내 학교 목록

9.2. 교육 환경

교육 환경은 생각보다 좋지는 않다. 그래서 적어도 중학교만 되면 주변도시인 대구로 많이 전학을 가며 고등학교 되면 대구로 빠지는 것이 훨씬 더 낫다. 이럴 경우 보통 기숙사를 택한다.

10. 출신 인물


[1]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2] 해인사 기준으로는 38km로 40km 가까야 된다.참고로 고령군청까지는 21km 정도다. 해인사 기준으로는 28km 정도.[3] 합천읍 - 24번 국도 - 마령재 - 묘산면 - 26번 국도 - 분기삼거리 - 1084번 지방도 - 야로면 - 가야면으로 가야한다.[4] 40분 간격으로 버스가 다닌다. 2000년대 중반까지 대구직통버스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진 상태이다.[5] 현재 노선은 고령(대가야읍)까지는 직통으로 와서 이후로는 쌍림-분기-야로-가야-해인사 이렇게 다닌다 완행이라 미리 말하면 중간에 내려주기도 한다[6] 참고로 이 버스가 분기-묘산을 거쳐 합천읍을 거쳐 삼가-대의 등을 거쳐 진주로 가는 버스 였으며 현재의 합천으로 가는 농어촌버스는 과거 진주 - 해인사 시외버스가 합천으로 단축된 후 농어촌버스로 전환된 것이다.[7] 2019년에 가야면 관내의 3개 초등학교(가산초등학교, 숭산초등학교, 해인초등학교)를 통폐합하여 설립된 학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