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3:28:45

서흥여객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김해시 · · · · 사천시 ·
양산시 · 통영시 · ·
밀양시 거제시 ·
창녕군 고성군 ·
함안군 남해군
의령군 · 하동군 ·
에이투어
합천군 · 산청군 ·
거창군 함양군
}}}}}}}}} ||

후승전강(뒷문승차, 앞문하차) 지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충청북도 옥천군
충청남도 태안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
}}} ||
파일:서흥여객 그린시티.png
파일:서흥여객 일렉시티.png
그린시티 일렉시티
정식명칭 서흥여객자동차주식회사
(瑞興旅客自動車株式會社)
대표자명 박종덕
설립일 1979년 6월 21일
업종명 운수업
상장유무 비상장
기업규모 중소기업

1. 개요2. 차고지3. 운임
3.1. 이용시 주의사항
4. 특징5. 면허체계6. 현재 보유 차량7. 과거 보유 차량

1. 개요

경상남도 거창군을 소재로 한 농어촌버스 업체이다. 본사는 거창읍 대평리 서흥여객버스터미널[1]에 위치해있다.

사명의 유래는 부경남에서 하리라는 염원을 담아, 각 단어의 앞 글자에서 따온 서흥여객으로 유래가 되었다.

면허등록지는 거창군과 합천군으로 분산 등록되어 있다.

2018년 3월 현재 거창군과 합천군은 별도의 요금제를 시행중이며 버스시간표도 변경한 상태다.

2023년 1월, 법인이 분리돼 합천군 농어촌버스수려한합천버스라는 이름으로 운영된다.

2. 차고지

3. 운임

2018년 3월부터 단일요금제를 시행하고 있어 합천군과 거창군민들이 편하게 이용 중이다.

아래 표는 시행 중인 제도에 따라 편집한 요금제 표이다.
종류 일반인 학생
현금 1,000원 500원
교통카드 900원 450원

3.1. 이용시 주의사항

군 경계 밖으로 나갈 시에는 과거 요금단일화 이전 시절의 요금으로 지출된다.

대부분 노선의 막차가 매우 이르다. 18시 30분~19시가 되면 모든 막차가 끊기며, 거창발 막차는 19시 30분에 출발하는 가조행을 끝으로 종료된다. 돌아오는 차도 사정은 다르지 않아 오후 7시 30분이 되면 막차가 모두 끊기며, 20시가 되면 모든 차량이 차고지에 입고하여 운행을 종료한다. 오히려 관내 농어촌버스보다 시외버스의 막차가 더 늦게 끊길 지경이다.

간혹 청소년 요금으로 정상적으로 태그하였음에도 어린이 요금으로 인출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는 보통 단말기의 오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 대부분의 기사는 그냥 넘어가지만, 몇몇 기사는 승객들에게 불친절하게 대하는 것은 물론, 한소리 하기도 한다. 심지어 일부 기사는 원래의 요금 보다 더 올려 받기도 한다. 이런 일을 겪을 시에는 반드시 거창군청에 민원을 넣는 것을 추천.

4. 특징

5. 면허체계

6. 현재 보유 차량

6.1. 자일대우버스

6.2. 우진산전

6.3. 현대자동차

7. 과거 보유 차량

7.1. 현대자동차

7.2. 자일대우버스

7.3. 기아


[1] 거창시외버스터미널 바로 뒷편.[2]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250 (김천리)[3] 주로 BM090[4] 실제로 농어촌 지역은 크락션을 에어혼으로 개조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노인들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 크다.[5] 다만 합천↔거창, 거창↔산청, 거창↔함양을 오갈 시 군 경계를 벗어나면 추가 요금이 붙고, 함양군 내에서만 이동시 교통카드 사용 시에도 거창, 합천, 산청과는 달리 할인혜택이 전혀 없다. 예외적으로 도계에 걸쳐져 있는 개흥 노선(빼재→무주 상오정), 탑선 노선 (탑선→ 무주 덕지)는 별도의 추가 요금 없이 거창군 내 단일 요금으로 오갈 수 있다.[6] 창원 신양여객 취소분[7] 야로, 가야, 가조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