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21:44:21

거제시 시내버스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D22027><colcolor=#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철도 남부내륙선(미개통) 거제역
도로 국도 5 · 14
지방도 58 · 1018
거제시의 로
버스 시내버스 거제시 시내버스
버스 터미널 고현버스터미널 ·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
시외버스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항만 무역항 고현항 외 2개소
어항 구조라항 외 100개소
경상남도의 교통 }}}}}}}}}

부울경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f0f0,#2d2f34>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항공 김해국제공항 울산공항 사천공항
가덕도신공항1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동남권 광역전철
도로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티머니 · 캐시비(마이비 · 하나로카드)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환승할인
동남권 · 창원-김해 · 창원-함안 · 거창-합천
1: 미개통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김해시 · · · · 사천시 ·
양산시 · 통영시 · ·
밀양시 거제시 ·
창녕군 고성군 ·
함안군 남해군
의령군 · 하동군 ·
섬호관광
합천군 · 산청군 ·
거창군 함양군
}}}}}}}}}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 ·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진주시
사천시 거제시 통영시 밀양시
거창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하동군 합천군 남해군 함양군
산청군 의령군
}}}}}}}}} ||
거제시 시내버스
Geoje City Bus
노선수 -개
업체수 2개[1]
차량수 120대[2]
운행시간 05:35-23:15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 민영제
파일:거제시시내버스.jpg 파일:거제세일2000.png
일반 시내버스 11번의 모습. 직행좌석버스 2000번의 모습.
파일:거제 버스 4000.jpg 파일:attachment/거제시 시내버스/geoje101.jpg
시내좌석버스 4000번의 모습. 도심순환버스 101번의 모습.
파일:attachment/거제시 시내버스/1.jpg 파일:attachment/거제시 시내버스/2.jpg
개편되기 이전의 모습. 이후 서술하겠지만 이 때는 행선지만 주로 표기하였고, 주요 행선지에 따라서만 대략적으로 번호가 부여되었다.[3]

1. 개요2. 행정
2.1. 업체2.2. 운행정보2.3. 교통카드 단말기2.4. 안내방송
2.4.1. ~2018년 2월2.4.2. 2018년 2월~2022년 11월2.4.3. 2022년 10월~
2.5. 차량
2.5.1. 도색
3. 노선 종류
3.1. 일반버스3.2. 직행좌석버스3.3. 시내좌석버스3.4. 도심순환버스3.5. 능포순환버스3.6. 쪽빛바다버스3.7. 남부면 순환버스3.8. 마을버스
4. 운임5. 문제점
5.1. 극악의 배차간격5.2. 타 지자체와 연계
6. 같이 보기

1. 개요

2. 행정

2.1. 업체

2.2. 운행정보

2.3. 교통카드 단말기

2.4. 안내방송

2.4.1. ~2018년 2월

(차임음) 이번 정류장은, 임전입니다. 다음은, 연사입니다.
(차임음) 이번 정류장은, 해명입니다. 다음은, (맑은샘병원입니다.)
(차임음) 이번 정류장은, 덕포입니다. (덕포해수욕장에 가실 분은 이번 정류장에서 내리세요.) 다음은, 상덕입니다.
(뻐꾸기) 현재 정류장은, 용소입니다.
이번 정류장은, 00. 다음 정류장은, 00.
이번 정류장은, 00, 00입니다. 다음 정류장은, 00, 00입니다.

2.4.2. 2018년 2월~2022년 11월

이번 정류장은, oo입니다. 다음 정류장은, oo입니다.

2.4.3. 2022년 10월~

(차임음) 이번 정류장은, oo입니다. 다음은, oo입니다.

2.5. 차량

2.5.1. 도색

3. 노선 종류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bordercolor=#00ac6c>
파일:거제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2000
일반좌석
일반시내
맞춤버스 [[거제 버스 쪽빛바다|쪽빛바다버스]]
도심순환
능포순환
마을
2000번: 환승할인 미적용/별도 요금제로 운영
}}}}}}}}} ||

3.1. 일반버스

3.2. 직행좌석버스

3.3. 시내좌석버스

3.4. 도심순환버스

3.5. 능포순환버스

3.6. 쪽빛바다버스

3.7. 남부면 순환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3.8. 마을버스

3.8.1. 거제면 마을버스

3.8.2. 거제면콜버스

3.8.3. 남부면 마을버스

3.8.4. 둔덕면 마을버스

4. 운임

성인 청소년 초등학생 비고
현금 카드 현금 카드 현금 카드
일반버스 1,500 1,450 1000 950 750 700
일반좌석버스 1,600 1,500 1,250 1,200 1,250 1,200
직행좌석버스 2,200 2,100 1,700 1,350 1,300 무료
시계외요금[57] 3,800 3,600 3,300 3,050 3,000 4,000 2000

5. 문제점

5.1. 극악의 배차간격

5.2. 타 지자체와 연계

시계외 노선이 2000번뿐 이지만 타 지자체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6. 같이 보기



[1] 세일교통, 삼화여객[2] 2024년 12월 12일 기준[3] 사진은 2009년 8월 촬영되었다.[4] 이는 2000번 예비차 수급을 위해서다.[5] 현재 LED가 절찬리에 가동중인 행선판 박스에는 '시민자율버스'가 표기된 시트지를 부착하고 운행했었다.[6] 다만 LED 행선판이 설치된 이후에도 2000번 삼화여객 차량에 유사한 디자인의 보조행선판을 달고 다녔으나 이마저 잔여좌석 전광판을 설치하면서 철거되었다.[7] 다만 이 경우 지도상에 기점>기점 형식으로만 표시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처음 보는 외지인들은 당황스러워 한다.[8] 2019년 도입된 시내좌석버스는 측면 대신 후면에 LED가 설치되었다.[9] 루프식 노선의 경우 한국어로는 회차지를 대충이라도 안내했지만, 영어는 얄짤없이 Gohyeon>Gohyeon으로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10] 기존 LED와는 달리 중간경유지가 표시되지 않아 언뜻 보면 일반버스에 장착되는 LED와는 다른 제품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제품이다. 현재는 후술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일반버스와 양식이 통일된 상태이다.[11] 표기가 긴 경우 스크롤을 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종점 한글표기는 어떻게든 욱여넣는다.[12] 근데 같은 사양인 시내좌석버스 후면 LED는 신기하게도 잘만 돌아간다.[13] 이 때문에 2020년식 이후 차량은 측면 LED 전광판을 새로 달았다.[14] 신규로 후면에 단 LED 전광판은 시내좌석버스와 일렉시티의 후면 LED 전광판과 디자인과 표출방식이 다르다.[15] 실내 전광판 포함[16] 전광판 자체는 2020년부터 풀컬러가 지원되는 제품으로 한 대씩 바뀌고 있었지만 기존 양식을 4년간 그대로 썼던 것이다. 경유지와 종점지 사이의 화살표가 흰색이면 풀컬러, 노란색이면 기존 전광판인 것으로 구분이 가능했다.[17] 2000번은 예외로 경상남도 시외버스에 탑재되는 연두색 단말기를 사용했다. 무료환승이 불가능한 2000번 특성상 승차단말기만 운영했기에 하차멘트는 알려진 바가 없다.[18] 제주도, 포항 등지에서도 채택하고 있는 단말기다.[19] 삼원FA 단말기에 흔히 사용되는 차임음과는 다른 형식이다.[20] 현재 양식에서 '입니다'가 빠진 버전. 해당 영상 3분 25초에서 선명하게 들린다. ’이번 정류장은‘, ‘다음 정류장은’을 발음한 TTS와 정류소명을 발음한 TTS가 서로 달라서 부자연스러웠다.[21] 다만 안내방송에 비해 볼륨이 현저히 작았다.[22] 안동시 시내버스도 정류장 명칭 안내를 이 방식으로 사용한다.[23] 주로 삐- 소리. 언뜻 들으면 엔진에서 나는 소리처럼 들린다.[24] 이전부터 개선되었어야 할 문제인 게, 장승포시외버스정류장도 현지인들에겐 터미널로 불리기 때문에 혼동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단말기 LCD 역시 고현터미널(일반/순환)으로 표시되나 BIS 전산상으로는 아직 터미널(일반/순환)으로 남아있다.[25] 삼화여객, 세일교통 불문하고 주로 현대자동차를 선호했지만 당시 디젤 저상버스 모델은 자일대우버스만 생산했기에 어쩔 수 없이 대우차량을 출고하게 되었다.[26] 나중에는 기존 차량에 붙어있던 스티킹마저 제거하였다.[27] 다만 고상버스로 대차된 차량도 BIS에는 여전히 저상버스로 안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동안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다가 일렉시티 도입 즈음에 저상 표시가 전부 해제되었다.[28] 세일교통 전기버스는 2월에 몇 대를 더 출고하여 10대가 되었다. 또한 모두 2022년 12월 제작분이다.[29] 2024년 1월 삼화여객에서 일렉시티 2대를 더 출고하였다.[30] 2023년부터는 세일교통만 봉을 추가로 설치한다. 삼화여객 7632호는 예외이다.[31] 모두 삼화여객 차량이다. 세일교통은 2017년에 꾸준히 대우버스만을 출고하였기 때문에 삼화여객이 데여줌으로써 이 문제를 비껴가게 되었다.[32] 예를 들자면 구 아주동주민센터가 구 아주동주민센 으로 표시된다.[33] 예를 들자면 현재시간이 오전 10시 10분이라면 윗줄에 “현재시간”, 아랫줄에 “오전 10:10”을 표시해야겠지만 "오전 10:10" 이라는 글자가 위, 아래 모두 나온다.[34] LED를 풀컬러로 교체하며 고쳐졌다. 스크롤은 여전히 안된다.[35] 거제시에 들어오는 가스차량은 전부 부산소속 차량이다.[36] 주로 보라색 바탕+분홍색 포인트, 혹은 남색 바탕+노란색 포인트 조합이었다.[37] 경남 로고가 차량 측면 중앙에 위치한 특성 상, 광고가 경남 로고를 가리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량 좌측면에 한해 로고를 앞으로 당긴 도색이 적용되었다.[38] 다만 앞범퍼를 올 레드로 떡칠한 전례 없는 도색이다.[39] 다만 나무위키에서의 직행좌석 노선 목록 틀 색깔은 부산 현행 도색과 같은 분홍색을 적용하였다. 도색 변경 전에는 주황색을 사용하였다. 빨간색을 사용하는 시내좌석버스와 구별하기 위해서다.[40] 이러한 도색 불일치는 부산버스처럼 특정 무늬를 사용하는 도색이 단색이나 2색 도색보다 과정이 복잡해 꽤 많이 비싸기 때문이다. 일례로 시내버스 도색을 바꾸면서 부산마을버스도 연두색+바다무늬 도색으로 새롭게 디자인 했는데, 문제는 영세한 마을버스 업체가 해당 도색 비용이 감당하기 어려울 수준으로 비싸져, 몇몇 노선을 제외하면 연두색 단일 or 연두+짙은연두 2색으로만 도색하였고, 결국 해당도색이 정식 마을버스 도색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여기에 규모의 경제도 적용되어 좌석버스 노선이 적은 거제시에서 부산시의 우유도색으로 통일하기엔 부담이 큰것으로 보여 부산 구형 좌석버스 도색으로 정한것으로 보인다.[41] 정확하게는 검은색 부분을 하얀색으로 바꾸고, 앞부분은 창원 것과 다르게 칠했다.[42] 진주 부산/부일교통도 전기버스 도색을 창원시 시내버스의 간선도색이랑 비슷하게 하고 출고했다.[43] 창원시 시내버스 도색이 바뀐다고 해서 창원시내버스 도색으로 출고하는거다.[44] 고현과 아주를 오가는 노선은 16번대 노선이다. 15번도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45] 400번대 순환버스는 2018년 2월 1일부로 모두 폐선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46] 2000번은 인상 조정을 피해갔다.[47] 일반버스는 경상남도처럼 잊을 만 하면 올리지만 좌석버스는 한 번 날잡아서 왕창 올린 뒤 수 년간 동결하는 성향이 강하다.[48] 삼화여객은 파워텍 엔진, 세일교통은 H엔진을 적용했다. 미션은 모두 5단 수동이었다. 2022년 대차 이후로는 두 회사 모두 파워텍+ZF오토 조합을 사용한다.[49] 부산 차량에는 동일 공간에 가스통이 설치되어 짐칸 사용이 불가능하다.[50] 대차 전과 달리 차내 선반을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실내는 부산 차량과 거의 동일하다.[51] 도색을 통일하는 방향으로 간다면 부산시내버스 신도색의 첫 타 지자체 유출이 된다.[52] 4000번은 그나마 22번, 23번버스보다는 빠르나, 3000번10번, 11번을 타도 괜찮다. 왜냐하면 아주동 한바퀴 돌고 있느라고 일반버스들이 다 따라 잡을때도 있고, 빨리 가더라도 몇분 빨리 가니 이 버스는 타지말자.[53] 58-1번[54] 현재까지 직행좌석버스와 중첩되는 구간이 전혀 없어서 그 효과가 더욱 크다.[55] 동년 4월 17일 부로 3000번과 3001번 통합 운행중이다.[56] 반대로 3000번, 4000번에도 예비로 2000번 차량을 투입할 때도 있다.[57] 추가운임 개념이다. 해당 운임에 직행좌석버스 운임을 별도로 합산하여야 한다.[58] 거가대교를 건너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이다.[59] 거제면, 동부면에는 50번 막차가 밤 10시 40분에 있긴 있으나 두동쪽 미경유, 장평동 미경유, 고현동 미경유 등 그냥 바로 터미널까지 가기 때문에 극악은 마찬가지다. 다 경유하는 노선 막차는 저녁 7시 30분에 끊기므로 막차가 빨리 끊긴다는 것과 마찬가지.[60] 배차가 1일 8회인것만 빼면 다 괜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