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5:06:38

감나무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카시아나무 향나무 대나무# 동백나무 감나무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편백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은행나무 동백나무 아카시아나무 대나무# 잣나무
11위 12위 13위
전나무 향나무 버드나무
# 대나무는 풀이지만, 통계 분류상 나무로 포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한식 }}}}}}}}}
감나무
Oriental persimmon
파일:감나무.jpg
학명 Diospyros kaki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
진달래목(Ericales)
감나무과(Ebenaceae)
감나무속(Diospyros)
감나무(D. kaki)

1. 개요2. 어원별 명칭3. 상세4. 쓰임새5. 재배6. 여담
6.1. 감나무에서 떨어지다

[clearfix]

1. 개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 교목으로, 가을에 이 달리는 나무이다.

2. 어원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언어별 명칭
영어 Oriental persimmon
한국어 감나무
중국어 [ruby(柿子树,ruby=shìzishù)]
일본어 [ruby(柿,ruby=かき)]の[ruby(木,ruby=き)]

3. 상세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한반도에서는 경기 이남의 인가 부근에서 과수용으로 많이 식재하며 가을에 빨갛게 익은 감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모습은 향수를 느끼게 하여 전통 조경양식에 어울린다. 일부 지역에서는 새들이 먹지 못하는 관상용 떫은 감을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감나무를 야생에서 보기 힘든 서유럽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가을에 이 나무를 보고선 가장 신기하게 여기는 나무이기도 하다.

평균 크기는 4m 정도이나 예외적으로 10m까지 크는 감나무도 보인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으로 코르크화되어서 잘게 갈라지고 일년생가지에는 갈색털이 있다. 잎사귀는 어긋나기하며, 둥글넓적하고 두껍고 톱니가 없이 매끈매끈하며 가을에 주황색으로 단풍이 든다.

수명은 200-250년이나, 예외적으로 500년 이상 살기도 한다. 감나무 중 유일하게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의령 백곡리 감나무는 500살 이상 먹은 것으로 추정되며, 수고도 28m으로 모든 것이 예외적인 개체. 그러나 이 천연기념물 감나무는 너무 나이가 들어 감을 거의 맺지 못하고 있다.

암수한꽃 또는 암수딴꽃으로 5~6월에 개화하며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보통 4개[1]의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종 모양을 하고 있다. 열매는 난상 원형이며 황적색이고 10월에 익는다.

서울에서도 많이 보이는 과일나무지만 사실은 내한성이 꽤 약해서,[2] 한반도에서 단감은 북위 35도 이남에서 잘 자라고, 떫은감도 북위 37도를 넘으면 냉해의 위험이 높아진다.[3] 즉, 대전광역시 이북에 심어져 있는 감나무는 대부분 떫은감일 확률이 높다. 감나무가 속한 Diospyros 속의 나무들은 하나같이 아열대성 나무인데 감나무가 특이한 것이다. 애초에 떫은감이 한반도에 자생하는 품종이다. 단감 종류는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다.

그리고 겉보기에는 튼튼해 보이지만 사실 가지가 약한 나무에 속하므로 함부로 올라가면 매우 위험하다. 매년 추석 연휴를 전후로 산 또는 개인 집 마당에 심어놓은 감나무의 감을 따려고 가지를 밟고 올라가다가 낙상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괜히 가지를 밟지 말고, 웬만하면 사다리를 꼭 쓰자. 과거에는 높은 곳에 달린 감을 새들이 먹으라고 남겨두었다고 하는데(까치밥), 사실 가지가 약해 쉽게 부러지기 때문에 포기한 것에 가깝다. 또한 해거리를 하기 때문에 어떤 해는 감이 진짜 가지가 휘어지게 달리는 해가 있는가 하면 어떤 해는 가지에 감 하나나 달랑 열려있는 해도 있다.

분명 감이나 대봉 묘목을 구입했는데 고욤이나 떫은 돌감이 열렸다며 사기당했다고 분해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감은 고욤나무의 뿌리와, 대봉은 돌감[4]과 접목하는 것이 보통이다. 고욤이나 작은 감이 열렸다면 접목한 줄기 윗부분이 이미 동사하거나 뿌리부분이 죽은 것이므로 미련없이 제거하자. 줄기 윗부분은 죽었는데(또는 비실비실)뿌리 부분에서 잔가지가 나는 모습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식재시 접목부분이 땅속에 묻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건 접목묘를 식재하는 사람들이 종종하는 실수다.

야생 버전으로 돌감나무[5]고욤나무(Diospyros lotus)가 있다. 감나무와 같은 속이며 종은 서로 다르다. 작은 감 모양의 열매가 빽빽하게 달리는데, 열매인 고욤은 땡감 이상으로 떫어서 1개만 입에 넣어도 표정이 일그러지고 텁텁한 뒷맛이 하루 종일 남는다. 고욤나무는 감나무에 비해 추위에 강하고, 씨앗만 뿌려도 잘 자라며, 성장이 빠르다. 이 때문에 감나무를 접붙일 때 대목으로 많이 사용한다. 좋은 예시 감씨를 그냥 심어 열매를 맺으면 고욤처럼 열매가 작아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품으로 판매하기 위한 감나무는 접붙이기로 번식시킨다.

4. 쓰임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과일나무답게 대한민국의 감나무 대부분은 을 생산하기 위해 길러진다. 감이 목적이 아니더라도 가을에 열매가 울긋불긋 열리는 모습이 보기 좋아 관상수로 심기도 하며 그렇기에 대부분의 동네에서 보기 쉬운 과일나무들 중 하나이다. 보통 이런 관상수로 심어놓는 감나무의 감들은 별다른 관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벌레나 새가 쉽게 파먹거나 잘 익은 것 같아도 맛이 떫은 등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HONMA의 퍼시몬 우드의 사진을 볼 수 있는 링크 골프클럽의 일종인 우드의 재료로써 쓰인다. 요즘에도 간간히 보이기는 하나, 경기력 적인 측면이 아닌 관상용 물건. 사실 객관적으로 생각해봐도 항공기 재료를 뛰어 넘는 고급 재료들이 골프클럽에 투입되기 시작한 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감나무는 요즘 우드클럽에 쓰이는 첨단재료에 비해서 거의 모든 면에서 물성이 밀린다.

5. 재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감나무/재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6.1. 감나무에서 떨어지다

총명했던 사람이 감나무에서 떨어진 이후 머리를 다쳐 멍청해졌다는 이야기가 오래된 동네에는 흔히 나돌았다.

이는 실제로 감나무가 주택시절 가정에서 흔히 길렀던 나무이고 일견 튼튼해보이지만 사람이 올라가면 생각보다 가지가 잘 부러지기 때문에 올라가서 감을 따다 가지가 부러지면서 무방비한 상태로 떨어지기 쉬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동네에 실제로 감을 따다 떨어지고 머리를 다치는 사람이 많았다.

이로 인해 감나무에서 떨어져서 머리를 다치고 총명했던 사람이 둔해지는 클리셰가 있다. 무한상사에서의 정준하가 가장 유명한 예시. #

인터넷 방송쪽에선 바보스러운 행동을 하는 BJ나 스트리머에게 감나무라는 호칭이 붙는 경우도 있다.
[1] 기형으로 3개나 5개의 꽃잎을 가진 것도 있으나 재배시에 보통 솎아낸다.[2] 아끼는 감나무가 있다면 늦가을에 방수가 되는 보온재를 필히 감싸주자. 보온재가 없다면 아쉬운 대로 요가매트나 두꺼운 돗자리(플라스틱 돗자리, 은박매트도 가능하다.)도 가능하다. 큰 가지까지는 아니더라도 줄기만 감싸주어도 동사를 예방할 수 있다. 철물점에 가보면 1,000원 안팎으로 호스(Hose)용 보온재를 판매하니 이를 구입해 묘목이나 유목을 감싸주면 된다. 가지까지 해주면 더욱 좋다.[3] 감나무는 떫은감이든 단감이든 품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거의 약 -18℃ 정도까지 버틴다.[4] 일반적인 떫은 감, 땡감 또는 또개라고도 불린다.[5] 감나무의 원래 모습으로, 열매가 재배하는 감의 반절 크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