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지역별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373a3c> | <colbgcolor=#fff,#2d2f34>미림마이스터고등학교 · 서울로봇고등학교 ·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부산자동차마이스터고등학교 · 부산해사고등학교 ·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
|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 대구일마이스터고등학교 · 대구반도체마이스터고등학교 ·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 ||
|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인천해사고등학교 | ||
| 광주자동화설비마이스터고등학교 ·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
|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 ||
|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 울산에너지고등학교 · 현대공업고등학교 | ||
| 수원하이텍고등학교 · 평택마이스터고등학교 ·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 | ||
| 원주의료고등학교 · 한국소방마이스터고등학교 · 한국에너지마이스터고등학교 | ||
| 충북반도체고등학교 · 충북에너지고등학교 ·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 ||
|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 한국식품마이스터고등학교 · 합덕제철고등학교 · 아산스마트팩토리마이스터고등학교 · 충남반도체마이스터고등학교 | ||
| 군산기계공업고등학교 ·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 ·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 김제농생명마이스터고등학교 | ||
| 여수석유화학고등학교 · 완도수산고등학교 · 전남생명과학고등학교 · 한국항만물류고등학교 | ||
| 경북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 ·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 금오공업고등학교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등학교 · 한국국제통상마이스터고등학교 · 한국해양마이스터고등학교 ·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 ||
| 거제공업고등학교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삼천포공업고등학교 · 한국나노마이스터고등학교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 | 관양고등학교 | 동안고등학교 | |||
| 백영고등학교 | 부흥고등학교 | 인덕원고등학교 | |||
| ◈ 평촌경영고등학교 | 평촌고등학교 | ◈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rowcolor=#fff> 경기게임마이스터고  Gyeonggi Game Meister High School  | |
|   | |
| <colbgcolor=#011171><colcolor=#fff> 개교 | <colbgcolor=#ffffff,#011171> 1995년 | 
| 유형 | 마이스터고등학교 | 
| 성별 | 남녀 공학 | 
| 운영형태 | 공립 | 
| 교장 | 정대식 | 
| 교감 | 김병천 | 
| 학생 수 |  205명 (2025.06)  | 
| 교직원 수 |  36명 (2025.06)  | 
| 관할청 | 경기도교육청 | 
| 소재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70 (비산동) | 
| 홈페이지 |   | 
1. 개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에 위치한 공립 마이스터고등학교다.2. 학교 연혁
| <rowcolor=#fff> 연도 | 내용 | 
| 2025.03.04. | 제31회 입학식(게임개발과 4학급 73명) | 
| 2024.12.31. | 제28회 졸업식 (마이스터 3기, 70명) | 
| 2024.03.04. | 제30회 입학식(게임개발과 4학급 75명) | 
| 2024.03.01. | 제12대 정대식 교장 취임 | 
| 2024.01.09. | 제 27회 졸업식 (마이스터 2기, 68명) | 
| 2023.03.02. | 제 29회 입학식(게임개발과 4학급 82명) | 
| 2023.01.17. | 제 26회 졸업식(마이스터 1기, 73명) | 
| 2022.03.02. | 제28회 입학식(1개학과 4학급 74명 입학) | 
| 2021.03.08. | 제 27회 입학식(1개학과 4학급 75명 입학) | 
| 2020.03.09. | 제 26회 입학식(1개학과 4학급 77명 입학) | 
| 2020.03.01. | 제11대 정석희 교장 취임 | 
| 2020.03.01. | 경기게임마이스터고로 교명 변경 | 
| 2019.04.22.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 지정 고시 | 
| 2011.03.01. |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1996.03.02. | 관악정보산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 1995.02.28. | 희성정보산업고등학교 설립인가 |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및 교훈
- 게임 산업의 변화를 주도할 게임컨텐츠 분야 영마이스터 육성
 
3.2. 학교 상징
- 교목: 은행나무
 - 교화: 장미
 
4. 전공
- 기본적으로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는 '게임개발과' 단일 학과이다.
 - 단, 세부 분야로 게임 프로그래밍 / 게임 기획 / 게임 아트 분야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반도 다르게 편성된다.
 - 1학년 때는 세부 분야를 선택할 수 없다. 세 분야 모두 수업에 참여해야 하며, 2학년부터 세부 분야를 선택할 수 있다.
 - 프로그래밍 외의 분야를 선택한다고 해서 프로그래밍 수업을 아예 듣지 않는 것은 아니다.[1]
 - 기획과 아트 분야는 산학협력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교사의 역량에 따라 수업이 유연하게 변경된다.
 
- 다음은 2025년 기준 2학년 전공 과목 목록이다.
<rowcolor=#fff> 전공 과목 설명 해당 분야 게임 엔진 응용 Unity3D를 이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모든 분야 컴퓨터 네트워크 Unity, C#을 이용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수업 자료구조와 게임 알고리즘 C++을 이용한 자료구조&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수업 게임 프로그래밍 2 C++을 이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프로그래밍 분야 게임 기획 2 게임 기획 수업 게임 기획 분야 게임 디자인 2 3D 게임 디자인 수업 게임 아트 분야  
- 3학년부터는 각 세부 분야의 심화 과정을 다룬다. 따라서 공통 과목이 줄어들고, 분야 별 특화 교육을 실시한다.
 - 또한 실무 분야, 고시외 분야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과 기획, 아트를 섞어 수강할 수 있다. [2]
 - 다음은 2025년 기준 3학년 전공 과목 목록이다.
<rowcolor=#fff> 전공 과목 설명 해당 분야 프로젝트 실무 졸업작품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 모든 분야 게임 프로그래밍 3 DirectX12를 이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실무 분야 게임 기획 3 게임 기획 심화 수업, 포트폴리오 제작 게임 디자인 3 게임 디자인 심화 수업, 포트폴리오 제작 3D 프로그래밍 Unreal을 이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고시외 분야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 수업 게임 콘텐츠 제작 Unity를 이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  
- 세부 분야는 변경할 수 있다. 학기 말마다 분야를 선택하는데, 2학년 때 선택하지 않은 분야를 3학년 때 선택할 수도 있다.
 - 학기 도중에도 아예 변경할 수 없는 건 아니다. 가끔 세부 분야와 너무 안 맞아서 변경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4.1. 프로그래밍
- 개발 육성 학교로써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약 75% 가 개발 분야이다.
 - 2025학년도 기준으로 1~3반이 개발분야 학생들이다.
 - 2학년 때는 프로그래밍2 수업으로 C++과 win32API를 배운다.
 - 3학년 때는 프로그래밍3 수업으로 DirectX12 수업을 들으며, 세부 선택 과목으로 3D게임프로그래밍(언리얼)과 게임서버프로그래밍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4.2. 기획
- 2025학년도 기준으로 아트 분야와 같이 4반으로 배정이 된다.[3]
 - 2학년 때와 3학년 때 모두 게임 기획을 배운다.
 - 수업은 산학협력 선생님께서 가르치는데, 선생님의 전공에 따라 배우는 기획이 약간씩 차이가 난다.[4]
 
4.3. 아트
5. 학교 특징
- 2020년 3월 1일부로 마이스터고로 전환, 게임개발과 단일학과가 신설되었으며, 향후 게임개발과만 유지하여서, 게임프로그래머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2020년 신입생이 3학년이 되는 2022년부터는 기존 경기글로벌 통상고 학생들은 모두 졸업하고 1,2,3학년 모두 게임개발과이다.
 
- 공립 마이스터고이기 때문에 아침과 저녁 식사비를 제외한 비용은 국비로 지원된다.
 
- 학교 이름에 '게임'이 들어가다보니 프로게이머 양성 학교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닌 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배우는 학교이다.
 
- 유니티, C# 등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학습 소양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적응이 힘들 수 있다.
 
6. 교복
-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후드집업과 맨투맨 티셔츠, 야구점퍼 및 생활복이 학교의 교복이다.
 - 체육복의 경우, 상의는 존재하지 않고 하의만 존재한다.
 - 명찰은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맨투맨 등 상의는 학교의 로고가 있다.
 
7. 학교 시설
7.1. 본관
| 학교시설소개 | 
| <rowcolor=#fff> 층 | 교내 시설 | 교내 전공 시설 | 
| 1층 | 멀티스퀘어실, 게임분석실, 급식실 | 컴퓨터그래픽실 | 
| 2층 | 교무실, 방송실, 상담실, 도서관, 과학실 | 게임프로그래밍실 | 
| 3층 | 1학년 교실, 밴드부실, 미술실, 어울림터[9] | 게임프로그래밍실 | 
| 4층 | 2학년 교실, 강연장, 꿀잼터[10] | 동아리실, 프로그래밍실 | 
| 5층 | 3학년 교실, 공용학습실, 꿈터 | 동아리실, 프로젝트실 | 
7.2. 별관
- 별관 2층에는 체육관과 헬스장이 위치해있다.[11]
 - 별관 1층에는 안양인재육성센터가 대여하고 있다.
 
7.3. 기숙사
| <rowcolor=#fff> 기숙사 시설 소개 | 
| <rowcolor=#fff> 기숙사 층 | 세부 시설 | 
| 1층 | 공용 학습실, 휴게실, 관리실, 헬스장 | 
| 2층 | 남자 기숙사, 중앙 라운지, 학습실 | 
| 3층 | 남자 기숙사, 중앙 라운지, 학습실, 본관 연결 통로[12] | 
| 4층 | 남자 기숙사, 여자 기숙사, 중앙 라운지[13], 학습실 | 
7.3.1. 생활 및 규칙
 기본적인 생활  
* 기상 시간은 야외 점호 기준 6시 40분이며, 6시 50분까지 운동장에 호실별로 줄을 서야 한다.
* 실내 점호를 할 경우 6시 50분에 기상하며, 7시까지 호실 문 앞에 서야 한다.
* 방과후 수업이 끝난 후 21시 까지 기숙사에 입실해야 한다.
* 저녁 점호 전인 22시 전까지는 자유롭게 게임을 해도 된다.
* 기숙사 내에 헬스장이 존재하며,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이용 시간이 다르다.
* 점호 후 자습은 보통 10시~12시[14]이며, 시험 기간이나 게임잼 등의 행사가 있을 경우 약간 변경된다.
* 휴식 공간과 공부하는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저녁 점호 이후로는 호실 내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
* 저녁 점호에는 전교생의 핸드폰을 수거하고,다음 날 조식을 먹을 때 급식실에서 가져갈 수 있다.
* 집이 먼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 잔류가 존재하며, 보통 2주에 한 주는 잔류 기간이다.
* 기상 시간은 야외 점호 기준 6시 40분이며, 6시 50분까지 운동장에 호실별로 줄을 서야 한다.
* 실내 점호를 할 경우 6시 50분에 기상하며, 7시까지 호실 문 앞에 서야 한다.
* 방과후 수업이 끝난 후 21시 까지 기숙사에 입실해야 한다.
* 저녁 점호 전인 22시 전까지는 자유롭게 게임을 해도 된다.
* 기숙사 내에 헬스장이 존재하며,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이용 시간이 다르다.
* 점호 후 자습은 보통 10시~12시[14]이며, 시험 기간이나 게임잼 등의 행사가 있을 경우 약간 변경된다.
* 휴식 공간과 공부하는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저녁 점호 이후로는 호실 내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
* 저녁 점호에는 전교생의 핸드폰을 수거하고,다음 날 조식을 먹을 때 급식실에서 가져갈 수 있다.
* 집이 먼 학생들을 위한 기숙사 잔류가 존재하며, 보통 2주에 한 주는 잔류 기간이다.
 호실  
* 기본적인 호실 인원은 4명이며, 가끔씩 3인실이 존재한다.
* 한 사람 당 옷장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옷장에는 별도의 도어락이 존재한다.[15]
* 호실에 화장실과 샤워실이 존재한다.
* 기숙사 입구를 바라보는 기준으로 4층 오른쪽은 여자 기숙사이며, 남학생은 여자 기숙사에, 여학생은 남자 기숙사에 접근할 수 없다.[16]
* 기본적인 호실 인원은 4명이며, 가끔씩 3인실이 존재한다.
* 한 사람 당 옷장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옷장에는 별도의 도어락이 존재한다.[15]
* 호실에 화장실과 샤워실이 존재한다.
* 기숙사 입구를 바라보는 기준으로 4층 오른쪽은 여자 기숙사이며, 남학생은 여자 기숙사에, 여학생은 남자 기숙사에 접근할 수 없다.[16]
 상점  
* 매일 아침, 저녁 점호에서 태도가 우수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
* 매일 호실의 청결 상태가 우수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
* 매주 목요일마다 의무적으로 진행하는 대청소에서 호실의 청결 상태가 우수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 [17]
* 기숙사 자치회 활동을 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18]
* 매일 아침, 저녁 점호에서 태도가 우수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
* 매일 호실의 청결 상태가 우수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
* 매주 목요일마다 의무적으로 진행하는 대청소에서 호실의 청결 상태가 우수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 [17]
* 기숙사 자치회 활동을 할 경우 상점을 받을 수 있다.[18]
 벌점  
* 선후배 및 동급생에게 욕설 등을 사용할 경우 벌점을 받는다. [19]
* 자신의 호실이 아닌 남의 호실로 들어갈 경우 벌점을 받는다.
* 매일 아침 호실의 청결 상태가 불량이거나, 전등과 에어컨 등을 끄고 나가지 않았을 경우 벌점을 받는다.
* 엘리베이터를 탈 수 없는 날에 엘리베이터를 탈 경우 벌점을 받는다. [20]
* 등교 시간인 8시 30분에 등교하지 않았을 경우 벌점을 받는다.
* 22시 이후로 전자기기를 학습 이외에 용도로 사용할 경우 벌점을 받는다.
* 22시 이후로 호실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벌점을 받는다.
* 벌점이 10점 이상일 경우 등교 전 기숙사 청소 봉사를 실시해야 한다.
* 선후배 및 동급생에게 욕설 등을 사용할 경우 벌점을 받는다. [19]
* 자신의 호실이 아닌 남의 호실로 들어갈 경우 벌점을 받는다.
* 매일 아침 호실의 청결 상태가 불량이거나, 전등과 에어컨 등을 끄고 나가지 않았을 경우 벌점을 받는다.
* 엘리베이터를 탈 수 없는 날에 엘리베이터를 탈 경우 벌점을 받는다. [20]
* 등교 시간인 8시 30분에 등교하지 않았을 경우 벌점을 받는다.
* 22시 이후로 전자기기를 학습 이외에 용도로 사용할 경우 벌점을 받는다.
* 22시 이후로 호실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벌점을 받는다.
* 벌점이 10점 이상일 경우 등교 전 기숙사 청소 봉사를 실시해야 한다.
8. 교가
-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가는 일반적인 교가들이랑 다르게 만들어졌다.
 -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가는 교명을 변경한 년도인 2020년이 아닌 2023년에 만들어졌다.[21]
 - 교가의 가사와 음악은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의 초대 교장인 정석희 전 교장 선생님이 직접 만드셨다. 노래는 학생들과 선생님께서 함께 불렀다.
 
| <rowcolor=#fff> 나는 포기하지 않아 | 
 
  | 
9. 학교 생활
| <rowcolor=#fff> - 경기게임마이스터고인(학생회장)의 하루 - | - EBS 방송 영상 - | |
| <rowcolor=#fff> - KBS1 스카우트5 얼리어잡터 방송 영상 - | |
9.1. 학교 일과
| <rowcolor=#fff> 시간 | 월·화·수·목 | 금 | |
| 06:40[22] | 기상 | ||
| 06:50[23] | 아침 점호 | ||
| 점호 후 ~ 08:30 | 조식 및 등교 준비 | ||
| 8:30 ~ 9:00 | 아침 자율 학습 | ||
| 09:10 ~ 10:00 | 1교시 | ||
| 10:10 ~ 11:00 | 2교시 | ||
| 11:10 ~ 12:00 | 3교시 | ||
| 12:10 ~ 13:00 | 4교시 | ||
| 13:00 ~ 13:50 | 점심 식사 | ||
| 13:50 ~ 14:40 | 5교시 | 귀가[24] | |
| 14:50 ~ 15:40 | 6교시 | ||
| 15:50 ~ 16:40 | 7교시 | ||
| 16:40 ~ 17:00 | 종례 | ||
| 17:00 ~ 17:50 | 방과후 활동1 | ||
| 17:50 ~ 18:50 | 저녁 식사 | ||
| 18:50 ~ 20:30 | 방과후 활동2 | ||
| 20:30 ~ 20:45 | 기숙사 입실 | ||
| 20:45 ~ 21:50 | 자유 시간 | ||
| 22:00 ~ 22:10 | 저녁 점호 | ||
| 점호 후 ~ 00:00 | 자율 학습[25] | ||
| 00:00 ~ 00:50 | 연장 자율 학습[26] | ||
- 수업은 각 수업 당 50분, 쉬는시간 10분으로 진행된다.
 - 수업은 금요일을 제외하면 7교시까지 하고, 석식 후 요일에 따라 방과후 수업 및 전공동아리 활동이 진행된다.
 - 금요일의 경우 4교시까지만 한다.[27]
 
- 배우는 과목 (2025년도 기준)
<rowcolor=#fff> 학년 일반 과목 전공 과목 1학년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물리학1, 체육, 진로컴퓨터시스템일반, 게임엔진기초[28] 
프로그래밍실습(C#), 게임기획의이해, 미디어콘텐츠일반2학년 실용국어, 수학1, 수학2, 영어독해와작문 
한국사, 통합사회, 체육, 진로자료구조, 게임엔진응용, 네트워크 
게임프로그래밍2, 게임기획2, 게임그래픽디자인2[29][30][31]3학년 미적분, 영어권문화, 체육, 진로 
문화다양성의이해, 노동인권프로젝트실무[32] 
게임프로그래밍3, 게임디자인3, 게임기획3
3D게임프로그래밍, 게임서버프로그래밍[33], 게임콘텐츠제작 
9.2.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 1, 2학년은 모두 매주 월, 화요일 마다 방과후 수업을 듣는다.
 - 1학년은 1학기에 고정적으로 S/W 문제해결능력 수업을 들으며, 2학기부터는 선택할 수 있다.
 - 2학년은 1학기 2학기 모두 선택하여 수업을 들을 수 있다.
 
- 다음은 2023학년도에 있었던 방과후 수업 목록이다.
 
| 1학년 1학기 | S/W 문제해결능력(정보처리), 유니티 기초반, 유니티 중급반, 유니티 심화반 | 
| 1학년 2학기 | C++프로그래밍, 유니티 타워디펜스, 유니티 2D디펜스, 유니티 3D매치퍼즐, 유니티 VR, 유니티 뱀서라이크, 게임아트 | 
| 2학년 1학기 | 게임기획, 3D그래픽, Windows API C++ 2D게임, 하이퍼캐쥬얼, 탑다운 슈팅, 게임알고리즘반, 정보처리기술 활용 | 
| 2학년 2학기 | 언리얼 게임 개발, C++(SFML)게임, C# 멀티플레이어게임, PlayCanvas 웹게임, 유니티 심화, 게임기획 심화, 게임아트 심화 | 
- 방학 때에도 게임개발캠프 및 보충 수업을 듣는다.
 
9.3. 프로젝트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는 3학년 2학기에 진행될 졸업 작품 전시회를 위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1~5인으로 팀을 편성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이에 따라 3학년 시간표를 확인하면 대부분의 시간이 프로젝트 실무 수업이며, 방과후에도 따로 수업을 수강하는 것이 아닌 프로젝트 활동을 진행한다.
| <rowcolor=#fff> 페블나이츠 플레이 영상 | STUX.net 플레이 영상 | 
| <rowcolor=#fff> 스핀 브레이크 플레이 영상 | 
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0.1. 버스 노선
교통편이 매우 좋다. 남쪽으로 범계역이 있는데다, 북쪽으로는 학운교를 통해 학의천만 건너면 과천-안양-서울을 잇는 관악대로가 있기 때문. 다만 학교 바로 앞 정류장에 서는 버스를 제외하면 관악대로에 있는 정류장까지 대략 5분 정도 걸어가야 한다.-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 정류장 (도보 약 1분)
 
| 시내버스 | ||
| 60번 | 83번 | |
| 마을버스 | ||
| 5번 | 5-1번 | 5-3번 | 
| 6번 | 6-2번 | 7번 | 
- 동양월드타워, 미륭아파트 정류장 (도보 약 5분)
 
| 시내•지선버스 | ||||||
| 541번 | 5625번 | 5626번 | 5713번 | 11-2번 | 11-3번 | 51번 | 
| 52번 | 8번 | 8-1번 | 80번 | 83번 | 9번 | 9-3번 | 
| 마을버스 | ||||||
| 5-1번 | 5-3번 | 6-2번 | 7번 | |||
10.2. 지하철
| 수도권 전철 | 
* 경강선 안양운동장역 (약 1km)
* 동탄인덕원선 인덕원역 (약 3km)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고속철도 | 
11. 출신인물
- 김수진: 치어리더로,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졸업생이다
 
12. 기타
12.1. 산학협력
- 학교와 산업체가 상호 협력하여 게임 소프트웨어 분야의 전문 직업인을 양성하여 공동의 발전을 도모한다.
 - 내용
 - 산학협약 체결 업체 수
 - 업체 소개: https://ggm-h.goeay.kr/ggm-h/na/ntt/selectNttList.do?mi=3011&bbsId=1012
 - 업체명(체결 시간순, 2023년 7월 5일 기준)
 
게임 소프트웨어 분야 신규인력 수급 정보 제공
현장체험 또는 현장실습 기회 제공 고려
회사 채용기준에 의거 게임 마이스터고 졸업생 중 우수 인재 1명 채용 지원 협조
산업체 현장연수 및 기술지도 지원 협조
유휴설비의 교육 실습용 지원 협조
12.2. 취업현황
- 2022년
졸업생수 73명, 취업대상자 69명, 취업제외대상자 4명 - 현장실습 및 일반취업 업체 총 28개
 - 현장실습 총 56명 (현장실습연계취업 44명 + 현장실습연계미취업 10명 + 복교 2명)
 - 현장실습연계취업 44명 + 일반취업 6명=최종 취업 50명 (현장실습률 81%, 취업률 73%)
 - 취업 업체명
 
- 2023년
 
졸업생 68명 취업제외대상자 2명 취업대상자 66명
현장실습 및 일반취업 업체 총 40개
현장실습연계취업 40명 + 일반취업 6명 = 최종 취업 46명 최종취업률 70% (69.69%)
| 1기 졸업생 학교 공식 영상 | 2기 졸업생 KBS 출연영상 | |
12.3. 수상 경력
====# 2021년 #====| Time To Fly (2021)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1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대상 | 
| <rowcolor=#fff> 그 외 2022년 수상경력 | |||
| 대회명 | 수상 종류 | 작품명 | 관련 링크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1 기획 부문 | 금상 | Hexagonal | GIGDC | 
====# 2022년 #====
| 어느날 펭귄이 내 화면 속으로 들어왔다. (2022)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2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최우수상 | 
| 영산 (2022) | 
| GIGDC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2 제작 부문(중고등부) 금상 | 
| 스핀 브레이크[36] (2022)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2 제작 부문(중고등부) 은상 | 
| APPLE FEATURED 선정 (2회) # | 
| <rowcolor=#fff> 그 외 2022년 수상경력 | |||
| 대회명 | 수상 종류 | 작품명 | 관련 링크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2 기획 부문 | 대상 | 별 키우기 | GIGDC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2 기획 부문 | 은상 | 사랑합니다. 고객님 | GIGDC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2 기획 부문 | 동상 | DIMENSIGHT | GIGDC | 
====# 2023년 #====
| 페블나이츠[37] (2023)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3 제작 부문(중고등부) 은상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3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최우수상 | 
| 달의 바다 (2023)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3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우수상 | 
| 버닝스틸 (2023)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3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가작상 | 
| 몽글몽글 뚝딱뚝딱 (2023)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3 개발 부문 대상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3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대상 | 
| 2023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우수상 | 
| Life in music (2023)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3 제작 부문(중고등부) 금상 | 
| 2023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장려상 | 
| Rewind (2023)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3 제작 부문(중고등부) 동상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Magic Rune (2023)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3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동상 | 
| Profiler (2023) | 
|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방구석인디게임쇼(BIGS) 출품선정작 | 
| Wind Rider (2023) | 
| 2025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장려상 | 
| <rowcolor=#fff> 그 외 2023년 수상경력 | |||
| 대회명 | 수상 종류 | 작품명 | 관련 링크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3 기획 부문 | 금상 | 꽃 | GIGDC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3 기획 부문 | 은상 | 푸디리버리 | GIGDC | 
====# 2024년 #====
| Fable (2024)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4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최우수상 | 
| The Alchemist's (2024)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4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우수상 | 
| Code:Unknown (2024) | 
|   | 
| SmartTeen App+ Challange(STA+C) 2024 개발 엔터테인먼트 부문 가작상 | 
| 링커 (2024)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4 제작 부문(중고등부) 대상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3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장려상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FLOWBREAKER (2024)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4 제작 부문(중고등부) 금상 | 
| STUX.net (2024) | 
|  GIGDC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4 제작 부문(중고등부) 동상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3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대상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펭덤 (2024) | 
|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3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은상 | 
| 호랑약방 (2024) | 
|   | 
| 2024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대상 | 
| 회색지대 (2024) | 
| 2024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입선 | 
| <rowcolor=#fff> 그 외 2024년 수상경력 | |||
| 대회명 | 수상 종류 | 작품명 | 관련 링크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4 기획 부문 | 대상 | Dice and Choice | GIGDC | 
| 신한은행 취업포트폴리오대회 | 대상, 장려상, 특별상 등 총 6명 수상 | 뉴스 | |
| 제 28회 App Jam | 최우수상 | 바나나킥 PvP | # | 
====# 2025년 #====
| VIRTUS (2025) | 
|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5 제작 부문(중고등부) 은상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5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최우수상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NightCode (2025) | 
| Global Indie Game Development Contest (GIGDC) 2025 제작 부문(중고등부) 금상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Blade X (2025)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5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동상 | 
| 부산 인디 커넥트 페스티벌 공모전 (BIC) 본선 진출 | 
| Paint The Block (2025)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5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대상 | 
| THE REVENANT (2025)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5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금상 | 
| Connections (2025) | 
| Korea WI-Content Contest (KWC) 2025 콘텐츠 제작(게임) 부문 은상 | 
| 퇴마는 마패빨 (2025) | 
| 2025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최우수상 | 
| One Shot (2025) | 
| 2025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입선 | 
| 이상한 앨리스 (2025) | 
| 2025 신구대학교 전국 중·고교생 게임 공모전 입선 | 
12.4. 디지털 기반 학습 및 취업지원 시스템
-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상황 확인, 게임개발 진도를 점검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만든 작품을 전시하여 게임회사가 채용에 참고할 수 있게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 포트폴리오 뿐 아니라 프로젝트, 전공동아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사이트
 
12.5. 입학 관련 사항
- 평균 경쟁률은 2:1 ~ 1.6:1 정도이며, 합격자 평균 내신은 경기도 내신 성적 산출 기준 200점 만점에서 평균 180점 정도이다.
 
- 입학 후 학습 내용이 게임프로그래밍이 중심이기 때문에 자신의 적성이 게임프로그래밍과 맞는지 미리 유튜브나 책을 통해 게임 개발에 대해 공부해 보며 고민해보는 것이 좋다. 게임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잘 알아보고 오는 학생들은 빨리 적응하는 편이나 사전 조사 없이 중학교 성적만 믿고 입학했다가 프로그래밍과 자신의 적성이 맞지 않아 힘들어하는 학생도 있다.
 
- 1차 합격 후에 2차에서는 일반전형과 특별전형 모두 적성시험과 면접을 공통으로 응시한다.
 
- 마이스터인재전형 지원자는 본인이 기존에 만들었던 게임들에 대한 소개서를 따로 제출하여야 하며, 그 소개서를 바탕으로 면접이 진행된다. 단순히 게임을 만들었다는 것보다는 프로그래밍 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자신이 사용한 코드에 대해서 이해하고 왜 그렇게 코딩했는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12.6. 여담
- 매년 PlayX4에서 겜마고 부스를 운영 중이다.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매년 G-STAR에서 겜마고 부스를 운영 중이다.2022년 2023년 2024년
 - 2021년 말 정석희 초대 교장이 디스이즈게임과 인터뷰를 하며 여러 고충들을 토로했다. #
 - 2023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방문하였다. #
 - 2023년, 초대 교장의 인터뷰 기사가 올라왔다. #
 - 2024년, KBS 스카우트5 얼리어잡터(15회)에 출연하였다. #
 - 플레이리스트 만찢남녀의 촬영지다.
 
[1]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머 육성 학교이기 때문에, 세부 분야 역시 프로그래밍 분야의 학생이 가장 많다.[2] 예를 들어 기획 분야가 3D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을 들을 수도 있고, 개발 분야가 게임 콘텐츠 제작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3] 전공 수업은 따로 듣는다.[4] 예를 들어 밸런스 기획이 주 업무이신 선생님이라면, 밸런스 기획을 위주로 배우게 된다.[5] 이 역시 전공 수업은 따로 듣는다.[6] 2D 아트를 지망하는 학생이 없는 건 아니다. 간혹 이펙트나 애니메이션을 지망하는 학생들도 존재한다.[7] 이름은 토박이가 아니면 생소한데, 인근에 있었던 희성촌에서 유래한듯. 바로 옆 희성초등학교는 이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8] 관악산 남쪽이라 관악산 북쪽의 서울시 관악구처럼 이 지역에서 자주 쓰는 이름이다.[9] 어울림터, 꿀잼터, 꿈터 모두 학생들이 편히 쉬고 놀고 얘기도 할수 있는 공간이다.[10] 학생들이 직접 지은 이름이다.[11] 헬스장의 경우 기숙사에도 존재한다.[12] 
[13]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14] 연장 자율학습을 신청하면 일주일에 두 번은 1시까지 가능하다.[15] 도어락으로 잠구는 사람은 많이 없다.[16] 그래서 4층의 경우 지문 인식 자동문으로 분리되어 있다.[17] 청결 상태가 불량일 경우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18] 매년 1학기 말에 인원을 선발한다.[19] 존나도 쓰면 벌점 받는다.[20] 평상시에는 잠겨있기 때문에 못 타는 거나 마찬가지다.[21] 그 이유는 교가를 2020년에 만들면 원래 경기글로벌통상고를 다니던 학생들과 경기게임마이스터고에 새로 입학한 학생들끼리 교가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이다. 여담으로 겜마고의 교가는 2023년 게임 마이스터 1기의 졸업식에서 처음 울려 퍼졌다.[22] 실내 점호일 경우 6시 50분[23] 실내 점호일 경우 7시[24] 잔류 학생들은 학교에 남았다가 일정 시간이 되면 기숙사로 이동한다.[25] 필수는 아니다. 점호 후 바로 취침하는 학생들도 많다.[26] 주 2회 한정이며, 이 역시 필수는 아니다.[27] 원래 금요일 방과 후 시간에 격주로 창체동아리를 진행하였으나, 시간표 변경으로 수요일 6, 7교시에 격주로 창체동아리를 진행한다.[28] Unity[29] 2학년부턴 프로그래머, 그래픽, 기획으로 갈려 반이 나뉘고, 각기 다른 수업을 듣게 된다.[30] 그렇다고 전부 다르진 않고, 이 3과목만 갈리게 된다.[31] 그래픽과 기획은 프로그래머 대비 인원이 적어 한 반에 몰려있다.[32] 3학년 전체가 같은시간에 진행되며, 5층 프로젝트실에 갇혀모여 졸업작품을 개발한다.[33] 3학년때는 프로그래머쪽에서 한번 더 갈려 3D(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뉘게 된다.[중단] 현재는 스토어에서 내려간 상태다.[중단] [36] 예전 이름은 던렛이다.[37] 예전 이름은 애기펜스이다.[중단] [중단]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