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28

경희대학교/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희대학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역사·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역사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역사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역사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역사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역사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역사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역사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역사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역사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역사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역사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역사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역사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역사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역사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역사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역사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역사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역사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역사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역사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역사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역사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역사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역사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역사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역사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역사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역사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역사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역사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역사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역사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역사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역사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한국성서대학교/역사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역사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역사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역사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역사 }}}}}}}}}

파일:경희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역사
(신흥무관학교 · 동양의과대학)
임원 상징
학부 대학원
학풍 장학금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캠퍼스
(서울캠퍼스 · 국제캠퍼스)
학내 언론 야구부 · 농구부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bgcolor=#0d326f>
기타 정보
||
입학 교통편 사건 사고
커뮤니티 출신 인물 역동전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000000><bgcolor=#0d326f>
관계 기관
||
글로벌미래교육원 경희의료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참조은병원
}}}}}}}}}}}}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1 ~ 1920
1947 ~ 1949
1949 ~ 1960
1960 ~ 1965
1965 ~ 1970
1970 ~ 1980
1980 ~ 2000
2000 ~
}}}}}}}}}}}} ||

1. 개요2. 역사3. 신흥무관학교4. 동양의과대학5. 연혁표

[clearfix]

1. 개요

경희대학교의 역사를 설명하는 문서.

2. 역사

1947년 정치인 성재 이시영이 과거 이회영, 이동녕 등이 건립한 '신흥무관학교'을 잇는다는 명목으로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신흥전문학원'을 설립했다. 1949년는 배영대학관을 합병하였고 2월 15일 설립자인 성재 이시영의 호를 따서 '재단법인 성재학원'을 설립했다. 신흥전문학원과 배영대학관 합병을 바탕으로 1949년 5월 12일, 2년제 초급대학(전문대학)인 신흥초급대학을 설립했다. 하지만 가인가는 받았지만, 정식 인가는 받지는 못한 상황이었고, 그러한 상황에서 1950년 6월 6.25전쟁이 터졌다. 개교 1년만에 전쟁이 터지자 학교는 존폐위기에 처했다.

신흥초급대학은 6.25전쟁 와중에 존폐 위기에 처해있었다. 1951년 5월 18일 동경체대를 거쳐 서울대 법대를 갓 졸업한 30세 청년 조영식 박사가 재단법인 성재학원과 신흥초급대학을 인수하여 학원장에 취임했다. 경희대는 지금도 신조영식이 이 대학을 인수한 5월 18일을 개교기념일로 하고 있다. 또 경희대 홈페이지에는 조영식이 학교 설립자로 기재되어 있다. 설립자 - 경희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학교와 재단을 인수한 조영식은 부산 동광동에 임시 교사를 지어 1951년 8월 20일 신입생을 받았다. 1952년 2월 '신흥초급대학' 정식 인가를 받았다. 이후 1952년 12월 4년제 '신흥대학'으로 전환되었다. 1953년 1월 화재로 동광동 교사가 잿더미로 변했다. 1953년 봄 부산 동대신동 산자락에 다시 교사를 건립했다. 경희대학교 역사에서 부산 피란지 시기를 학교의 시작으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그 이전 성재 이시영 시절에는 학교가 정식인가도 못받았았고, 그마저 6.25로 완전히 흐지부지되며 사실상 학교는 폐교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후 1951년 조영식이 이를 인수하여 부산에서 거의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한 것이었다.

1953년 7월 휴전협정이 체결되었고, 1954년 3월 24일 부산 동대신동에서 서울 회기동에 세 채의 (임시) 교사를 지어 이전했다. 4월 15일 서울에서 첫 개강식을 열었다. 회기동은 조영식이 20대 시절 상경하여 서울에서 머물렀던 곳이라고 한다.

1955년 2월 28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어 학교명을 '신흥대학교'로 바꾸었다. 3월 2일 개강하면서 조영식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1960년 조영식은 대대적으로 재단을 개편했다. 1960년 3월 1일 학교 이름을 경희대학교로 바꾸었다. 조영식에 따르면, 교명 경희대(慶熙大)는 경희궁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경희궁은 영정조 시대의 치세가 펼쳐진 조선시대의 정궁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폐허를 딛고 문예를 부흥시킨 조선 후기 영정조 시대처럼, 한국 전쟁으로 피폐해진 이 땅에 다시 문화적인 르네상스가 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경희학원(고황재단)의 설립자인 조영식에 의해 명명되었다. 조영식은 서울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는데 당시 서울고등학교 교사가 경희궁 안에 있었다. 조영식은 '흥성(興盛)에 기뻐하다(慶)'는 뜻의 '경희(慶熙)'라는 어휘가 기존의 대학명인 '신흥(新興)'과도 그 뜻이 일맥상통하고, 이름이 세련되고 아카데믹한 이미지가 있다고 생각해, 당시 상회나 식당 이름 등으로 흔하게 쓰이던 '신흥(新興)'이란 교명을 '경희(慶熙)'로 바꾸었다.[1] 아울러 그해 10월 재단법인명을 '재단법인 성재학원'에서 '재단법인 고황학원'으로 바꾸었다. 이어 경희 유치원을 시작으로 초, 여중, 여고를 설립하여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연결되는 교육을 추구했다.

전신 신흥무관학교의 역사와 정통성, 정신은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재단측의 신흥무관학교 계승의식은 모호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개교원년은 이시영이 신흥무관학교를 계승하여 세운 신흥초급대학의 가인가 시점으로 잡고 있으나, 그 이전의 신흥무관학교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으며, 개교기념일은 조영식이 학교를 인수한 1951년 5월 18일을 기점으로 한다. 앞뒤로 어중간한 위치를 개교원년으로 삼고 있어, 부정하지는 않지만 드러내지도 않는 인상을 준다. 이것은 보통의 다른 학교가 뿌리 찾기를 통해 학교 역사를 연장함으로써 전통을 확보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상적 배경을 추론해보자면, 항일 무장 투쟁을 위한 독립군 양성학교였던 신흥무관학교의 이념과, 조영식 박사의 창학이념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겠다. 그가 학교 인수 전에 저술한 《민주주의 자유론》(1948년), 《문화세계의 창조》(1951년)에서 드러나는 사상과, 이후에 주창한 '세계평화론' 등을 토대로 볼 때, 신흥무관학교의 이념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경희대학교는 이러한 이념을 창학 정신으로 하고 있으므로 신흥무관학교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문회 활동은 연결되어있는 부분이 많다. 경희대는 왜 신흥무관학교 흔적과 뿌리를 없앴을까

1965년에 동양의과대학을 인수합병하여 의과대학, 약학대학을 신설하였고,[2] 1967년과 1975년에는 고황재단 측에서 각각 전문학교인 경희간호학교와 경희호텔경영전문학교를 설립했으며, 2000년을 전후로 모두 경희대학교의 내부 단과대학으로 인수되어 현재에는 각각 간호과학대학, 호텔관광대학으로 그 명맥을 잇고 있다. 각각의 세부 연혁에 대해서는 해당 링크 참조.

1960~70년대에는 전문학교나 초급대학(전문대학)을 여러 번 설립했다가 이를 경희대에 병합하거나 폐교하는 것을 반복했다. 1963년에는 경희초급대학을 설립했다고 1967년 경희여자초급대학으로 개편했다. 1963년 개교한 경희여중, 여고와 이어지는 교육을 추구했다. 그러나 1978년 경희여자초급대학을 폐교했다. 1966년 경희간호학교를 설립하였다가 경희간호전문학교로 개편, 이후 1979년 경희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되었다가 1999년 폐교했다. 1975년에는 경희호텔경영전문학교를 설립하였고, 1998년 경희대 호텔관광대학으로 승격 흡수시켰다.

1979년에는 용인에 수원 분교를 설립했다. 이후 1985학번부터 공과대학을 수원캠퍼스로 완전 이전하며 수원의 이공대학과 통합하였고 이를 계기로 수원 분교를 수원캠퍼스라 칭하며 이후 기존 수원 분교와 서울 본교 간 중복되는 학과 중 일부를 추가 통폐합해 나갔다. 하지만 2003년 수원캠퍼스가 학교측의 홍보와 달리 법적 분교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밝혀지면서 소위 말하는 분교 파동이 발생했다. 이후 여러 우여곡절을 거치며 2007년 7월 30일에 국제캠퍼스로 개명했으며, 서울캠과 수원캠 간의 중복학과들을 거의 통폐합시켰다. 2012년 국제캠퍼스를 통합하였다. 하지만 2021년에는 경희대 법과대학 법학과 출신 현직 문재인 대통령이 수원캠퍼스 동아시아어학과 출신 고민정 청와대 비서관을 블라인드 채용이 아니었다면 취업이 어려운 지방대 출신이라 칭하여 다시한번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09년 개교 60주년을 맞았다. 이와 함께 대외적으로 쓰이는 대학휘장이 변경되었다. 기존 교표도 계속 사용하고는 있지만 점점 새 휘장을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2019년 개교 70주년을 맞았다.

3. 신흥무관학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흥무관학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11년 이회영 일가 등이 가산을 모두 정리하고 만주 서간도로 이주하여 설립한 대표적인 국외 독립군 양성 학교이다.

당시 중화민국 길림성에 교사(校舍)를 두었고, 1911년에 신흥강습소라는 이름으로 정식 개교한 후 1919년 익히 알려진 이름인 신흥무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무수히 많은 독립군들을 배출하였으며, 일제의 만주 침공 등으로 1920년엔 강제 폐교되는 수난을 겪었지만 졸업생들은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홍범도 장군의 대한의용군 등에 참여하여 만주지역에서의 독립운동을 이어나갔다.

문서가 있는 신흥무관학교의 유명 졸업생으로는 변영태 전 국무총리(신흥 1기[3], 1912년 졸업)가 있다.

해방 후 1947년에 서울특별자유시 종로구에 당시 설립자인 이시영 부통령이 재개교하여 신흥전문학원으로 출범하게 되었으며, 1949년에는 대학으로 인가받아 신흥초급대학으로 출범하게 된다. 그러나 6.25 전쟁의 발발로 경상남도 부산시로 캠퍼스를 옮겨 피난하게 되었고, 이후 재정난에 휩싸이게 되자 1951년 조영식이 인수하게 된다.

본 단락에서는 1949년 신흥초급대학으로의 가인가 시점 이전의 역사까지 살펴볼 수 있다. 상세 연혁표는 신흥무관학교 연혁 참조.

4. 동양의과대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양의과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및 약학대학·의과대학의 전신으로, 국내 최초 및 당시 유일의 한의학 강습 기관이라는 의의를 가지는 의과대학이었다. 1965년 경희대학교에 인수되었는데, 사실 동양의과대학 측이 경희대학교에 맨 처음으로 인수를 요청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처음에는 고려대학교, 다음에는 동국대학교를 찾아갔으나 양교 모두 거절했다고. 이 학교의 인수로 인해 경희대가 한의학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마어마하게 커진 것을 보면 경희사에 기념비적인 일이었다고 볼 수 있다.

5. 연혁표

이하 내용의 출처는 경희대학교 요람 및 연혁이다.
<colbgcolor=#0a326f><colcolor=#ffffff>1949.02.1946년 설립된 배영대학관을 모체로 재단법인 성재학원 설립
1949.05.12.1946년 설립된 배영대학관과 1947년 설립된 신흥전문학관이 합병하여 2년제 신흥초급 대학으로 가인가 설립
1951.05.18.6.25 전쟁으로 재정난에 봉착했던 재단을 조영식 학원장이 당시 1,500만원의 부채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인수
1951.08.교훈(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 제정
1952.02.재단을 확충하고 교육법에 의한 정규 신흥초급대학으로 정식 설립 인가(영어과, 중국어과, 체육과, 법정과)
1952.12.09.4년제 대학으로 승격
1953.03.교기 및 교가 제정
1953.03.부산 피난 시 동대신동 2가 87번지 소재의 교지 구입 및 신교사 낙성 이전
1953.10.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소재 교지 25만 평 확보
1953.11.대석조전 대학 본관 기공식
1954.02.대학원 설치 인가
1954.03.부산에서 서울로 복귀
1954.07.문맹퇴치운동, 조림녹화사업 등 농촌계몽 봉사활동 전개
1955.02.28.종합대학교 설립인가(문리과대학, 법과대학, 정경대학, 체육대학[4])
1955.03.01.초대 총장 조영식 박사 취임
1955.05.대학주보 창간
1955.07.24.교시탑 완공[5]
1956.07.30.본관 석조전 건물 준공
1960.03.01.신흥대학교를 경희대학교로 교명 변경
1961.06.조영식 박사 경희학원 학원장 취임
1965.잘살기운동 전개
1965.04.27.한의학대학의 전신인 동양의과대학 인수
1965.06.조영식 총장 세계대학총장회(IAUP) 결성을 주도하여 영국 옥스퍼드대학에서 창립 총회 개최
1966.03.산업경영대학원 설립 인가
1966.05.잘살기운동 헌장 제정 및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
1966.11.종합박물관 개관
1968.06.17.중앙도서관 준공
1968.06.제2차 세계대학총장회 본교 주관 개최
1971.01.교육대학원 설립 인가
1971.10.05.제3의학 창출을 목적으로 양방과 한방이 협진하는 1,000 bed 규모의 경희의료원 개원
1972.11.경희의료원 세계 두 번째로 무약물 침술 마취 수술 성공
1975.10.밝은사회운동 전개
1976.03.인류사회재건연구원 개원
1976.07.대학 사상 최초로 AGN 201형 원자로 도입
1978.06.자연사박물관 개관
1979.01.10.국제캠퍼스 교지 확보(53만 평) 및 설립 인가
1979.05.18.30주년 기념탑으로서 밝은사회운동탑, 잘살기운동탑 제막[6]
1979.10.서울캠퍼스 대강당 '평화의 전당’ 착공
1979.12.세계대학총장회 부설 국제평화연구소 개설
1980.03.산업경영대학원을 경영대학원으로 변경
1980.03.행정대학원 설립 인가
1981.11.제36차 UN총회에서 조영식 학원장이 제의한 세계평화의 날과 해를 만장일치로 통과 제정
1982.09.제1회 세계평화의 날 기념식 및 국제학술세미나 개최(매년 평화의 날 기념식, 학술회의 개최)
1983.10.29.평화복지대학원 설립 인가[7]
1984.09.광릉캠퍼스 교지 확보 및 평화복지대학원 개원
1986.04.인류 역사상 최초로 세계평화대백과사전 발간, 세계 최초의 세계시민교과서 발간
1987.03.산업정보대학원 설립 인가
1989.03.언론정보대학원 설립 인가
1993.09.체육대학원 설립 인가
1993.12.교육기관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평화복지대학원 유네스코 평화교육상 수상
1995.02.국제캠퍼스 중앙도서관 준공
1995.10.국제법무대학원 설립 인가
1996.10.조영식 학원장 유엔 세계평화 특별공로상 수상
1996.11.아태국제대학원 설립 인가
1997.04.18.경희천문대 국내 최초 변광성 발견('경희성'으로 명명)
1997.09.국제캠퍼스 사색의 광장(팡세 플라자) 준공
1998.02.호텔경영전문대학 편입
1998.09.01.국내 최초의 오피스텔식 기숙사 우정원 완공[8]
1998.12.경희의료원 세계 최초 인간체세포 복제 실험 성공
1999.04.아태국제대학원 준공
1999.05.경희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식 및 종합학원제
1999.09.동양의학대사전(전 12권) 발간
1999.10.국제캠퍼스 멀티미디어교육관 개관
1999.10.1999 서울NGO세계대회 개최
1999.10.11.평화의 전당 개관
1999.11.대학원 설립 인가 - 전문대학원 : 동서의학대학원, 아태국제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1999.11.대학원 설립 인가 - 특수대학원 : NGO대학원, 관광대학원
2000.07.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설립 인가
2000.10.서울캠퍼스 종합강의동 개관
2000.11.경희사이버대학 설립 인가
2001.07.건축조경대학원(전문대학원) 설립 인가
2001.09.새천년 기념탑-네오르네상스 문 준공
2001.10.경희의료원 개원 30주년 기념식
2002.02.푸른솔 문화관(지하 주차장) 완공
2002.02.간호전문대학 편입, 체육대학 수원캠퍼스 이전
2003.03.호텔관광대학 본관 준공
2005.03.01.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개원[9]
2005.09.네오르네상스문명원 설립
2006.06.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개원
2006.09.경희대-UN DESA 교류 협력 MOU 조인식
2007.04.23.마스터플랜 추진단 설립(서울캠퍼스)
2007.05.31.마스터플랜 추진단 설립(수원캠퍼스)
2007.07.30.수원캠퍼스가 국제캠퍼스로 명칭 변경
2007.12.국제캠퍼스 제2기숙사 및 예술·디자인대학관 준공
2008.01.재정예산원, 기획위원회사무국 설립
2008.02.국제캠퍼스 수용인원 2천2백여명 규모의 제2기숙사 완공
2008.03.국제캠퍼스 국내대학최초 신입생대상 기숙교육프로그램 도입[10]
2008.03.국제캠퍼스 학부대학(자율전공학부, 동서의과학부) 출범
2008.06.원자로센터 설립
2008.06.국제교육원(국제캠퍼스) 신설
2008.07.14.중앙일보사와 산학협력 체결(산학공동연구, 인턴쉽 및 엑스텐쉽 프로그램)
2008.11.서울캠퍼스 경영대학관 오비스홀 개관
2009.03.서울캠퍼스 자율전공학과(글로벌리더, 글로벌비즈니스, 컨버전스사이언스) 출범[11]
2009.03.법학전문대학원 개원
2009.03.서울·국제캠퍼스 전 대학(원) 자율운영 실시
2009.05.World Civic Forum, World Civic Youth Forum 개최
2009.05.06.개교60주년 기념식
2009.12.60주년 송년회(목련회의, 목련음악회) 개최
2010.05.28.캠퍼스 마스터플랜 'Space 21' 착공식
2010.07.경희대학교 의료기관 비전 선포식
2011.03.행정대학원, NGO대학원을 통합한 공공대학원 출범
2011.03.교양대학 후마니타스칼리지 출범
2011.09.UNAI-경희 국제회의 개최
2011.10.경희의료원 개원40주년 기념식 개최
2012.02.경희학원 설립자 미원(美源) 조영식 박사 서거
2012.03.그룹웨어 시스템 도입
2012.09.14.우주탐사학과, 국내최초 초소형 인공위성 '시네마 1기' 발사 성공
2012.09.Peace BAR Festival 2012 개최
2012.12.캠퍼스 종합개발 착공
2013.01.GSC 봉사단, KOICA 국제개발 협력사업(캄보디아) 착수
2013.02.공동 입학식 개최(신입생 캠퍼스 행진 처음 도입)
2013.08.미원 조영식 박사, ‘세계평화 선구자 20인’ 선정
2013.08.BK21 플러스 ‘창의인재 양성사업’ 20개 선정
2013.09.캠퍼스 전역 대상 무선랜(KHU Wi-Fi) 시스템 구축[12]
2013.11.초소형 인공위성 ‘시네마 2·3기’ 발사로 프로젝트 성공
2014.02.서울캠퍼스 행복기숙사 2동 완공[13]
2014.05.개교 65주년 기념행사, <문화세계의 창조> 복간
2014.06.<경희미래리포트> 출범식
2014.09.경희미래위원회 출범
2014.10.경희대학교-삼성전자 산학협력 협약
2014.12.‘경희 연계협력 클러스터 추진(안)’ 발표
2015.03.캠퍼스 종합개발사업 ‘Space21’ 종합체육관 기공식
2015.05.서울캠퍼스 Space21 사업 시작, 행복기숙사 및 한의·간호·이과대학 건물 착공
2015.05.영국 옥스퍼드에서 세계대학총장회(IAUP) 창립 50주년 기념식 공동 주최
2016.03.후마니타스칼리지 ‘독립연구’ 신설
2016.09.Peace BAR Festival 2016 개최, 주제 - “지구문명의 미래: 실존혁명을 위하여”
2016.09.경희 후마니타스 암병원 착공
2016.12.2016 국가고객만족도(NCSI)에서 2년 연속 사립대학교 부문 2위

[1] 고등학생들에겐 '경희랜드'로 대표되는 벚꽃과 캠퍼스로 유명하고 경희라는 명칭 자체는 은근히 네임드인데, 이건 과장 조금 보태서 아파트 단지마다 하나씩 있는 경희한의원과 경희대태권도 때문이다.[2] 기존 동양의과대학에는 의과대학 내부에 한의학과와 관련한 전공 뿐이었다. 합병한 이후 경희대에서 의약학 전체 학부과정으로 확대하기 위해 동년도에 의과대학 내에 기존 한의학과 외에 의학과, 치의학과를 신설했다.[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등에 이르면 신흥강습소란 명칭으로 1911년 첫 설립될 시 참여한 학생들 중 한명이었다고 한다.[4] 위키백과에는 경희대학교가 최초로 체육대학을 만들고 태권도를 육성한 것이 신흥무관학교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 서술되어 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조영식 박사에게 인수되기 전인 신흥초급대학(1949)에 이미 체육학과가 개설되어 있었고 4년제 대학 인가가 난 후 1955년 체육대학으로 설립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다르게 보면 이것은 조영식 박사의 성장 배경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가 일본에서 체육대학에 유학하고 서울고등학교에서 체육교사로 근무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체육학과를 최초의 체육대학 설립으로 이끈 것은 단순히 그의 체육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이라 해석할 수도 있다.[5] 정문을 지나 직진하면 보이는 탑 文化世界의 創造라고 쓰여있다.[6] 헐떡고개를 넘어가면 오른쪽에 보이는 커다란 탑.[7]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대학원.[8] 논스톱 이라는 MBC에서 방영한 청춘 시트콤의 배경이다. 다만 내부는 그냥 세트장에서 촬영했다.[9] 현재는 학부에서 신입생을 선발한다.[10] 이로 인한 신입생 의무기숙이 도입되었다가 폐지되었다. 하지만 이때 크게 말이 나오지 않았던 이유는 정시로 입학한 최초합의 절반의 인원에게 모두 1년 장학금에 기숙사비 전액을 지원해줬기 때문이다.[11] 사실 이미 1년 전 국제캠퍼스에 자율전공학부가 동서의과학과와 같이 신설되어 출범하였다. 서울캠퍼스 자율전공학과와의 차이점이라면 입학이 자연계로만 지원이 가능했고 2학년으로 진학 시 무조건 다른 전공을 선택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대신 동서의과학과 외에는 인원제한 없이 원하는 전공 모두 가능했다. 동서의과학과도 첫 2년 정도만 수명 정도가 떨어진 것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전부 미달이었다. 사실상 원하는 전공에 모두 갈 수 있었던 셈이다.[12] KHU Wi-Fi는 학생들의 경우 본인의 종합정보시스템 비밀번호로 이용 가능하다. Guest Wi-Fi도 있다. 사실 이 이전에도 교내 무선랜망이 존재했다. KT에서 위탁받아 Olleh Wifi로 운영되었는데, KT 휴대폰 사용자는 바로 이용가능, 재학생 및 교내 관계자는 학번과 비밀번호로 로그인 후 이용가능(자동 로그인)했다. 2013년에 자체 Wi-Fi망을 구축한 것. 이후 사용 가능 지역이 건물 밖으로까지 확대되었다.[13] 남자 기숙사 한 동과 여자 기숙사 한 동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51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