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03:00:51

고조선-연 전쟁

고조선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20000><colcolor=#ddd>전쟁·정벌교전세력
고조선-연 전쟁
기원전 3세기
연나라
패수 영토회복
기원전 3세기
진나라
위만의 정변
기원전 194년
위만군
준왕의 마한 정복
기원전 194년
마한
진번⋅임둔 정벌
기원전 2세기
진번국, 임둔국
1차 왕검성 전투
기원전 109년
한나라
2차 왕검성 전투
기원전 109년 ~ 기원전 108년
한나라}}}}}}}}}

<colbgcolor=#c0c0ff,#00003f> 고조선-연 전쟁
古朝鮮-燕 戰争
시기 기원전 3세기[1]
장소 요동 일대
원인 고조선의 관계 악화
교전국 고조선
지휘관 조선왕 3세 연소왕
진개
병력 병력 규모 불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연의 대승
영향 고조선의 세력 약화
1. 개요2. 전쟁3. 관련 설4. 기타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기원전 4세기 후반 ~ 기원전 3세기 초반 경 전국칠웅 중 하나인 연나라(燕)가 당시 인접 국가였던 고조선을 공격한 전쟁으로, 기록된 한국사상 최초의 국가 간의 전쟁이다.

2. 전쟁

기원전 281년 무렵 연나라 장수 진개가 고조선과 전쟁을 하고 승리해서 2000리 정도의 영토를 개척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사기에 의하면 기원전 281년에는 이미 연이 요동을 장악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그리고 기원전 281년이 아니라 그 이전에 발발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대략 기원전 300~282년 사이에 발발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다만 진개의 활약 시기를 기원전 300년에서 282년 사이의 시기로 추정하는 이유는 어느정도 일리가 있는데, 이러한 정황 증거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개의 활동시기는 기원전 300년에서 270년 사이로 추측되는데, 이는 연나라의 전성기이자 연나라 최고의 군주로 꼽히는 연소양왕의 제위시기와 일치하므로, 연나라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시기도 적절하다. 그 이유는 연나라는 연소왕의 즉위 전까지는 자지가 활개를 치는 등 매우 혼란한 시기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소왕의 아들인 연혜왕은 명장인 악의를 쫓아내는 삽질에 집권하자마자 제나라와 전쟁을 벌였고 한, 위, 초 3개국 연합군의 공격을 받는 등 연혜왕 집권기엔 연나라 입장에서도 흉노에 신경쓸 시기가 아니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정황증거만 있을 뿐, 분서갱유로 인해 연나라의 사서가 타 국가들의 사서와 같이 소실되어 구체적인 기록이 남지 않아서 전쟁의 시기와 경과 등은 알 수 없다.

이 전쟁 이전의 고조선은 한반도 북부와 요서, 요동, 만주의 패권을 차지하고 전성기가 오래 이어지던 강성한 국가였지만 이 전쟁의 패퇴로 (고고학적 자료 등을 종합해보면) 요녕 지방을 상실하고 한동안 평안도와 황해도 일부 지방만을 차지하는 소국으로 전락했다는 설이 학계에서 제기된다.

3. 관련 설

고조선의 강역 및 중심지에 대한 학설을 다룰 때 많이 등장하는 사건이다. 이 전쟁으로 고조선의 영역이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전쟁의 결과로 고조선이 만번한을 경계로 연나라와 접하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만번한이 어딘지에 대해서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이동설을 주장하는 쪽의 일부에선 이 연나라의 공격으로 고조선의 중심지가 랴오닝에서 청천강 - 대동강 유역으로 이동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학설을 기반으로 고조선의 후기 수도인 왕검성의 위치가 평양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연왕 희가 랴오둥을 넘어서 압록강까지 도주하려다 실패했다는 기록을 두고, 이 즈음 연나라와 고조선의 국경이 압록강 자체, 혹은 그 부근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또 다른 일부 연구는 고조선-연 전쟁 종결 후 고조선과 연의 경계 지역에 대해 랴오둥 반도를 가로지르는 첸산 서쪽으로 보고 있다.[5] 이후 전한은 거리가 멀어 지키기 어렵다는 이유로 다시 서쪽으로 물러나 고조선은 패수[6]까지 진출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대해서도 설이 많다. 한편 노태돈 교수는 연나라가 만번한까지 진출한 후 점진적으로 청천강까지 장악했을 것이라 보기도 했다.

소련 태생의 미국 언어학자알렉산더 보빈을 필두로 반도 일본어설[7]을 지지하는 언어학자들은 이 전쟁이 고대 한국어한반도로 확산된 계기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위의 고조선의 중심지가 압록강 근교나 대동강 유역으로 이동했다는 가설과 결부시켜서, 이때 연나라 군대의 침공을 피해 달아난 고조선의 유민들이 한반도로 피란하여 현지의 선주민들을 정복하고 동화시켰다는 것이다.[8] 실제로 고고학적인 분석 결과로는 이 시기부터 고조선에서 넘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인족 집단들이 한반도 내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향이 확인되고 있다.

4. 기타

사실 연과 고조선은 최후까지도 관련이 있다. 최후의 이성 연왕[9] 노관한나라유방에 대적하다 패해 달아날 때 연나라에 살던 위만도 고조선으로 망명했는데, 이후 고조선 변방을 지키다 1년 뒤 준왕을 쫒아내 왕위를 찬탈하고 위만조선을 세우게 된다. 때문에 위만의 출신과 위만조선의 정체성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 이는 해당 문서들을 참고할 것.

본 전쟁의 발발년도를 기원전 281년으로 보는 견해를 수용하면 2020년 기준으로 고조선-연 전쟁은 2300주년을 맞는다. 허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기원전 281년은 이미 전쟁이 종결된 이후이다. 따라서 위의 견해는 애초에 성립할 수 없다. 기원전 280년까지 늦추어 보는 연구도 있으나 연혜왕 즉위 이후의 연나라의 상황을 본다면 흉노에 신경 쓸 상황이 아니었으니 지지받지는 않는 설이다.

5. 같이 보기



[1] 보통 적어도 기원전 281년 이전에 일어났다고 본다.[2] 사실 사마천이 사기를 집필할 당시 분서갱유초한쟁패로 많은 사료가 소실되어 자료수집이 쉽지 않았기 때문에 사기의 기록에서 1년, 2년 차이나는 것 정도나 각 나라측의 기록에 따라 내용이 바뀌는 것은 흔한 일이다.[3] 조나라의 기록에 마지막으로 흉노가 등장한 것은 사기 조세가 조혜문왕 편에서 기원전 272년, 흉노의 부족 중 하나였던 동호의 변경 불모지를 개간했다는 내용이 전부다. 그 이후로는 흉노가 등장하지 않아 이 시기를 전후하여 이목이 흉노와 전쟁을 벌였다는 추측이 가능하다.[4] 이목은 심지어 자연사도 아니고, 당시 전쟁에서 싸우던 장수였으나 모함을 받아 죽었다.[5] 연하도 문화가 천산 일대까지 나타나기 때문이다.[6] 대체로 혼하나 압록강, 청천강으로 본다.[7] 한반도의 선주민은 일본어족 계통 언어의 화자들이고, 현대 한국인은 오늘날의 중국 랴오닝성에서 발원하여 이들을 일본 열도로 몰아내거나 동화시켜서 성립된 민족이라는 가설이다. 아직 정설로 공인된 것은 아니나, 주류 언어학계로부터 고구려어 등의 부여계 언어가 한국어와 친연관계라는 유력한 물증을 제시하는 가설로 인정받아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8] 대한민국언어학자김방한반도 일본어설에 앞서서 한반도의 선주민이 한국인과 별개의 민족이라는 설을 제안했는데, 알렉산더 보빈이 이들 선주민들의 정체를 일본어족 계통의 민족이라고 본데 반해, 그는 이들 선주민들은 한국인 계통도 일본어족 계통도 아닌 제3의 민족이라고 보았고 현존하는 민족들 중에선 니브흐족과 동계일 가능성을 제시했다.[9] 즉, 본 문서의 연나라는 이후 진나라한테 망했고, 초한쟁패기 시절 다시 나타난 봉국으로써의 연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