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02:39:24

노태돈

<colbgcolor=#003380><colcolor=#ffffff>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명예교수
노태돈
盧泰敦 | Noh Tae-don
파일:국사-노태돈.jpg
출생 1949년 8월 15일 ([age(1949-08-15)]세)
경상남도 창녕군
현직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
학력 경북고등학교 (48회 /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1] / 석사[2])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 / 박사[3])
본관 광주 노씨[4]
경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조교수
한국사연구회 회장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하버드 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 연구원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객원교수
옌볜 대학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
수상 월봉저작상(2010)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13)

1. 개요2. 생애3. 연구4. 여담5. 저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사학자. 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

2. 생애

1949년 8월 15일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아버지 노우현(盧禹鉉)과 어머니 현풍 곽씨 곽동식(郭東寔)의 딸 사이의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석사 학위 취득 이후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1981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2014년 8월에 서울대 교수직에서 정년퇴임하였다. 서울대 역사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백제사 연구로 유명한 노중국 교수와 신라사 연구로 유명한 주보돈 교수 등과 더불어 오늘날 한국 고대사학계의 거두 중 한명으로 손꼽히는 학자로[5], 한국 고대사 연구에 있어 오늘날까지도 제법 통용되는 이론적 기틀을 잡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학부생 시절부터 쓴 논문이 학회지에 실리는가 하면, 이미 불과 20대 중반의 나이였던 1975년에 삼국사기 초기 기사의 긍정론을 전면적으로 비판하는 한편, 삼국의 형성 과정에 있어 여러 부의 통합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이른바 부체제론의 이론을 정립하여 석사 논문에서 발표하며 학계에 일대 파장을 불러왔다. 부체제론은 초기 삼국의 국가 형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학설이 되었고, 오늘날까지 고대사학계에서 정설로 통하고 있다.

한편 이전까지만 해도 유적답사나 고고학적 연구가 불가능한 탓에 남한 학계에서 미지의 분야로 취급받았던 고구려사 연구에 관련해서 많은 저술을 발표해 고구려사 연구계의 권위자가 되었다. 김철준을 잇는 서울대 한국고대사 라인의 3세대이다. 다만 박사 학위는 선배격인 한영우 교수처럼 늦어서 1999년에야 받았다. 이것은 동년배에 경력도 비슷한 노중국 교수가 1986년도에 <백제정치사연구>로 박사 학위를 딴 것과는 대조적이지만, 노태돈 교수와 마찬가지로 석사 학위를 받고 교수가 된 주보돈 경북대 교수 역시도 199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당시 노태돈 교수가 박사 학위로 제출했던 논집이 바로 대표적인 저작인 <고구려사연구>이다. 논문 심사 지도교수는 역시 한국고대사 연구의 석학인 이기백 교수였다. 이미 정년퇴임을 했거나 정년 퇴임이 멀지 않은 1940년대 ~ 1950년대 초중반에 태어난 교수들의 경우 석사 학위 취득 후 일찌감치 교수로 자리잡은 경우가 많았다. 그 때문에 박사 학위를 나중에 취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아예 박사 학위를 포기한 교수들도 종종 나왔다. 1999년에 서울대는 석사 학위에 머물러 있던 본교 출신 현직 교수들에게 학위 취득이 가능하도록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 그래서 역사학 교수의 경우 노태돈 교수를 비롯해 김준형(경상대), 나현수(강원대), 문철영(단국대), 신동하(동덕여대), 안병욱(가톨릭대) 교수 등이 뒤늦게 박사가 되었다. 반면 최승희, 이태진, 최병헌(이상 서울대), 이기동(동국대), 김두진, 정만조(이상 국민대) 교수 등은 박사 학위 없이 정년퇴임했다.

3. 연구

이기백 교수의 수제자이자 서강대학교 사학과의 거두 이종욱 교수와는 학문적으로 충돌하는 사이다. 노태돈 교수는 1999년에야 이기백 교수에게서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이종욱 교수는 1981년에 이기백 교수에게서 박사 학위를 훨씬 먼저 받은 학문적 사형과 같다. 화랑세기 진위 여부를 놓고 이종욱 교수가 현존하는 화랑세기 필사본을 진본이라 여기는 반면, 노태돈 교수는 위작으로 보고 있다.[6][7] 그리고 초기 한반도 고대국가, 특히 삼국의 형태에 대해서도 노태돈 교수는 삼국사기의 초기 삼국 기록의 신뢰성을 의심하면서 이에 삼국지 동이전의 사료 또한 참조하면서 초기 국가들을 부체제의 연합국가적 성격으로 보고 있는 반면, 이종욱 교수와 서강대 학파는 "삼국이 초기부터 강력한 왕권하에 있었다"고 본다.

노태돈 교수의 연구 범위는 고조선에서 시작하여 고구려신라의 국가운영, 문화, 대외관계 등 고대사의 전반에 걸쳐있는 편이다.

4. 여담

5. 저서

『현대한국사학과 사관』(일조각, 1991)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공저)』(창비, 1997)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풀빛, 1998)
『고구려사 연구』(사계절, 1999)
『단군과 고조선사(공저)』(사계절, 2000)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공저)』(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예빈도에 보인 고구려』(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집문당, 2009)
『삼국통일전쟁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12시간의 통일 이야기(공저)』(민음사, 2011)
『한국고대사』(경세원, 2014)
『고구려 발해사 연구』(지식산업사, 2020)


[1] 한국사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三國時代의 部에 關한 硏究 : 成立과 構造를 中心으로 (1975)[3] 박사 학위 논문: 高句麗 政治史 硏究 (1999)[4] 처사공 성(垶)파 32세 태(泰) 항렬.[5] 여담으로 노태돈, 노중국, 주보돈은 모두 영남과 연이 있다. 노태돈 교수는 경상남도 창녕군 출신이며, 대구의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노중국 교수는 경상북도 울진군 출신으로(다만 태어날때 울진군은 강원도 소속이었다) 계명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모과에서 교수를 지냈고, 주보돈 교수는 경상남도 진해군(현 창원시 진해구) 출신으로 이후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모과에서 교수를 지냈다.[6] 화랑세기의 발견과 진위논란에 대한 비사가 있다. 최초 발견(1988년) 1년 전, 경남 김해에 살던 김종진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집에 한적(漢籍)을 산더미같이 쌓아 놓고 하루 종일 한문과 씨름을 하던 사람이었다. 유치원 원장을 하던 그의 부인이 아들의 돌잔치 선물로 아버지의 책 중 1권을 주었는데, 당시 경상일보 기자와 연이 닿아 그 기자가 번역을 해보니 김대문의 '화랑세기'였던 것이다. 이 소식을 듣고 서울대 국사학과의 노태돈, 김태식, 송기호가 김종진을 찾아갔다. 김종진의 집에서 이를 대충 훑어본 세 사람 중 송기호는 진서라고 말했고, 나머지 2명은 진위 여부를 말하지 않았다. 이후 김종진이 죽자, 노태돈이 그 집을 다시 찾아가 부인의 허락하에 김종진의 집에 있는 한적을 모조리 조사했다. 그로부터 얼마 뒤, 한 학회 발표현장에서 서강대 이종욱 교수가 '화랑세기는 진짜'라는 주장을 펼쳤는데, 총 발표일정 3시간 중 2시간을 사용했다. 발표가 끝난 뒤, 노태돈이 김종진의 '만년필 필사본'을 공개했다. 이 '만년필 필사본'은 '화랑세기' 분량의 3배로서 이를 3분의 1로 줄인 것이 '화랑세기'였던 것으로, 화랑세기가 김종진에 의해 지어진 위작이라는 증거로 노태돈이 이 필사본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 빡친 이종욱 교수가 성질을 내며 그 필사본을 받아 돌아갔는데, 이후 이종욱은 이 필사본을 연구한 뒤, 화랑세기가 더욱 진짜라고 믿게 되었다 한다.[7] '화랑세기'가 위작이란 근거는 상당한데, 해당 항목에 이미 기재된 위작 근거에 좀 더 추가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최초 발견(김종진 집, 일본식 한적이 매우 많았다고 한다.) 시 책을 묶은 실의 갯수와 종이의 크기가가 우리나라 것이 아닌 일본식 한적이었다. 2. 필적을 대조해보니 최초 발견본은 김종진의 스승인 박창화의 글씨였는데, 박창화는 일본 황실 도서관인 '서릉원'에서 근무하며 이를 일본에서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3. '화랑세기'에는 향가도 2수 실려있는데, 향가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서울대 김완진 교수는 이 향가가 위작이라 결론내렸다. 4. 향가 해독법은 1922년 일본학자 오구라 신페이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이 당시 박창화는 일본에 있었기 때문에(1919~1945) 이 시기에 박창화가 화랑세기를 지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노태돈은 1923년으로 그 시기를 특정하기까지 했다. 5. 향가 중 1개인 '청조가'는 그 마지막 4줄이 찬기파랑가와 똑같은데, 향가에는 이러한 형태가 전무하며 따라서 이를 표절한 것으로 추정한다. 6. '화랑세기' 내용 중 "미실은 색도(色道)로, 문무왕검도(劍道)로 천하를 제패했다"라는 기사가 나오는데, "검도"라는 한자어는 근대 일본에서 만든 신조어로서, 검도와 대비되는 "색도"라는 표헌도 이에서 차용한 일본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화랑세기는 일제강점기 때 위조된 것이다. 7. '화랑세기'에는 책 속에 등장하는 화랑 개개인마다 이를 찬양하는 한시(漢詩)가 있는데, 당시 지어진 한시라면 모두 당운(唐韻)을 따라야 한다. 하지만 '화랑세기'의 한시는 모두 운이 없는 시로 일본에서만 만들어진 양식의 일본식 한시이다. 즉, 박창화가 일본에 있을 시기에 지은 한시인 것이다. 8. 김종진의 집에 역사인물 이름의 목록이 있었는데 그 수가 삼국유사+삼국사기 등장인물의 3배에 이르렀다. 그중 특정 인물들의 이름 위에만 빨간 점이 찍혀 있었는데, 이 빨간 점이 찍힌 인물만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등장한다. 이는 최초 집필할 때 이름을 대조하여, 실제 사서(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속에서 등장한 인물만 사용했다는 증거로서, 위조의 강력한 증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