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共匪
1.1. 정의
공산(共産) 비적(匪賊)[1]의 약어다. 중국국민당에서 공산당 게릴라를 공산 비적이라 부른 것이 어원이라 한다. 중국의 분열 이후에 대만에서 대륙 정부를 깔 때도 즐겨 사용하였으나 요즘은 사용 빈도가 줄어들긴 했다. 반대로 공산당이 국민당에게는 백비(白匪, 바이페이)라고도 하였으며 국부천대 이후 현재는 대만 자체를 가리켜 台匪(대만 비적)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이렇듯 반대 명칭까지 지어내며 발끈한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공산당 정권과 중국 사람들이 아주 싫어하는 말 중 하나다.빨치산과는 달리 게릴라 부대만을 가리키는 말은 아니며 정규 부대나 간첩도 공비라고 부를 수 있다. 즉, 공산주의 게릴라 빨치산이나 공산 국가에서 보낸 간첩 또는 특수부대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적개심을 담은 표현이다.
1.2. 한국에서의 사용
한국에서의 의미는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지리산, 운문산 일대에 포진하였다가 섬멸된 빨치산 집단 및 그 이후 북한에서 직접 남파하여 침투한 무장간첩단으로 한정되어 있다.김일성은 베트남 전쟁 당시 게릴라들의 성과를 교훈으로 해서 196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무장 게릴라를 파견하여 지하당을 결성하고 남한 내 무장 세력의 본거지를 강원도 지역에 구축하고자 했다.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규모는 가히 6.25 전쟁 이후 최대 규모의 군사도발인 셈. 그러나 남한은 남베트남과 달랐고 이승복 사건으로 대표되는 게릴라들의 잔학행위와[2] 남한 군경의 토벌로 북한 측의 기대와는 달리 전술적인 효과는 거의 없었으며, 오히려 생포된 공비의 진술이나 노획품으로 한국군의 전술 능력을 키워주는 동시에 북한에 대한 적개심만 늘리는 역효과를 내게 되었다. 게다가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서는 상어급 잠수정의 노획에 성공하면서 북한의 특수부대 장비 및 운용교리 연구에 진전이 있는 등, 방첩작전의 귀중한 정보원이 되기까지 했다.
무장공비의 침투 경로는 다양했으며, 의외로 부산광역시, 경주시 등 후방 지역과 여수시, 제주도 등 남해안 지역에도 무장공비가 침입해 섬멸한 전적이 있다. 북한과 가까운 경기도, 강원도 등지는 그만큼 해안 경비가 삼엄하기 때문에 일부러 후방으로 잠수 침투한 것이다.
1990년대까지는 무장공비 침투가 주기적으로 일어났으나 2000년대 이후 북한의 도발은 간첩단 파견보다는 북방한계선 무력화를 위한 해전, 심리전, 핵개발 등으로 대거 전환되었으며, 2020년대에 내려보내는 공비들도 과거처럼 무장한 공비가 몰래 잠수침투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위조여권을 이용하여 탈북자, 조선족인 척 하면서 인천국제공항 등을 통해 들어온다. 제주도 무비자를 이용하여 제주국제공항을 통해 공비를 내려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유사시 대규모 무장간첩단을 파견할 가능성이 없어진 것은 아니다.
1.21 사태 이후로 사살된 무장공비의 시신은 경기도 파주시 소재 적군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공식적으로 북한은 그들을 보낸 적이 없으므로 북에서 인수하지는 않았다. 명백한 증거로 인해 부인할 수 없었던 강릉 무장공비 사건은 유해 24구가 북송되었는데, 판문점에서 북한이 공식적으로 받아들이며 환영행사를 열어 "훈련 중 잠수함이 좌초했는데 남조선이 무참히 살해했다"고 조사(弔辭)로서 말했다. 참고로 적군묘지에는 1960~70년대에 공사 중 발견되었거나 2000년 이후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 발굴 도중 발견한 조선인민군, 중공군 유해도 안장되어 있다. 다만 북한이 훈련이나 근무 중 사망한 군인, 혹은 민간인의 시체가 바다나 강을 통해서 남으로 떠내려 오는 경우는 인정하기 때문에 판문점을 통해서 운구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공작원 문서 참조.
1.2.1. 공비의 활동이력
북한/대남 도발을 참고. 남파무장간첩단 사건 위주로 연대순으로 정리한다.-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5. 17, 경상남도 진주시)
- 강릉 고단지구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67. 5. 21, 강원도 강릉시)
- 초성리역 폭파 테러사건 (1967. 9. 5, 경기도 연천군)
- 운정역 폭파 테러사건 (1967. 9. 13, 경기도 파주시)
- 1.21 사태 (1968. 1. 21, 서울특별시)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11. 2, 강원도 삼척시, 경상북도 울진군)
- 추자도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74. 5. 20, 제주도 제주시)
- 광천지구 무장간첩 침투 사건 (1978. 11. 4, 충청남도, 경기도 일대)
- 한강하구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80. 3. 23, 경기도 고양시)
- 남해 무장공비 침투 사건(1980. 12. 1, 경상남도 남해군)
- 필승교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81. 6. 29, 경기도 파주시)
- 거진해안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82. 5. 15. 강원도 고성군)
- 임월교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83. 6. 19. 경기도 파주시)
- 월성해안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83. 8. 4. 경상북도 경주시)
- 다대포 침투 무장공비 매복 생포 작전 (1983. 12. 3. 부산광역시)
- 은하계곡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92. 5. 21. 강원도 철원군)
- 임진강 무장공비 침투 사건 (1995. 10. 17. 경기도 파주시)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10. 24. 충청남도 부여군)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9. 18, 강원도 강릉시)
- 이한영 암살 사건 (1997. 2. 25, 경기도 성남시)
- 속초 앞바다 무장공비 침투기도 사건 (1998. 6. 22, 강원도 속초시)
- 동해 무장공비 사체 발견 사건 (1998. 7. 12. 강원도 동해시)
-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12. 17. 전라남도 여수시)
1.3. 중국 및 대만에서의 사용
위에서 설명한 바대로 공비라는 말은 중국국민당에서 중국공산당 게릴라를 ‘비적’이라 부른 것[3]이 그 유래다. 특히 1949년에 대만으로 옮겨간 중화민국이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및 중국공산당을 깔 때 즐겨 사용하였다. 게다가 사람 이름, 단체 이름에까지 匪를 넣어서 경멸했다.중국어에서 경칭이나 멸칭을 나타내는 표현들은 전통적인 표현으로는 성과 이름 사이에 끼워넣는다. 예를 들면 대만의 전 총통 마잉주를 馬總統英九先生으로 칭할 경우 馬英九總統보다 격이 높은 표현이다. 마잉주도 취임사에서 다른 후보들을 언급할 때 蔡主席英文, 宋主席楚瑜라고 했다.
장징궈의 집권 후인 1983년경부터는 공비라는 표현 대신 '中共'이라는 표현으로 대체되었다.[4]
1994년 천도호(千島湖) 사건[5]이 일어났을 때, 당시 총통 리덩후이는 중국에 대해 토비(土匪) 정권이라는 표현을 썼다.
2000년대 이후에는 범람연맹 진영보다는 오히려 범록연맹 진영에서 이 단어를 쓰는데, 국민당 정치인들을 중공에 내통하는 공산주의 비적으로 내모는 네거티브 공세이다. 이들은 장제스의 백색 테러를 매우 싫어하면서도, 그 국민당 독재시기에 자주 나온 반공주의적 수사를 이제는 역으로 국민당을 공격하기 위해 본인들이 사용하고 있다.[6] 그러나 범록 진영이 독립 의식을 확고히 가지기 위해 저쪽을 가리키는 말로 더 잘 쓰는 말은 바로 중궈(中國). 자신들은 중국이 아니란 의미까지 같이 갖고 있다.
"장 총통께 보고.[7] 공비가 등륙(상륙)했습니다!"[8]
중국 대륙에서는 공비라는 단어는 인터넷에서 방화벽에 막혀 검색이 안 되므로 공비의 중국어 독음 GongFei에서 따와 GF라고 에둘러 쓰기도 한다. 그 외에 중국 대륙에서 중국공산당을 가리키는 은어로는 「GCD」, 「TG」(공산당, 토공(土共)"의 약칭), 「Party」, 「土共」, 「土鱉」, 「偉光正」, 「天朝」 등이 있다.
유튜브에서는 共匪라는 단어를 유튜브 채널, 영상과 상관없이 댓글에서 사용하면 설계된 알고리즘으로 인해 자동으로 10~30초 내에 삭제가 된다.
1.4. 관련 문서
1.4.1. 인물
1.4.2. 인물 이외의 제항목
2. 公比
수학 용어이다. 등비수열이나 등비급수에서 연속한 두 항의 비를 말한다.3. 公妃
공(공작)의 부인, 즉 공작부인을 달리 이르는 말.4. 恭妃
조선 초기 왕비에게 미칭을 붙이던 시절 소헌왕후 심씨가 썼던 명칭이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1] 무리를 지어 사람을 해치는 도둑을 의미한다. 중국어로 대략 우리 말의 산적, 도적 정도의 어감이라고 보면 된다. 간체자로는 共产匪贼.[2] 유명세 때문에 이승복 사건만 기억하지만 사실상 당시 게릴라들에 의한 민간인 학살은 상당히 많았다.[3] 사실 국민당만 공산당을 비적으로 부른 건 아니다. 국민당과 공산당과 일본군이 사이좋게 모두 서로를 비적이라고 불렀다.[4] 대한민국에서 냉전 시절에는 공식적으로 북괴라는 멸칭을 사용한 것과 비슷하다.[5] 중국 저장성 천도호에서 대만 관광객 24명과 선원 8명을 태운 유람선이 화공(火攻)을 받아 전원 사망한 사건. 처음에 중국 측은 단순한 화재라고 발표했지만, 대만과 홍콩 언론의 추적과 대만 당국의 對대륙 인적교류 중단 발표가 이어진 끝에 방화범으로 20대 청년 3명이 체포된 사건. 그러나 이 사건은 중국 인민해방군과 공안의 소행이라는 설이 꾸준히 나돌고 있다고 한다.[6] 한국에서 보수진영이 존경하는 박정희를 진보쪽에서 남로당 빨갱이라고 부르며 조롱하는 것을 떠올리면 된다.[7] '蔣總統(장 총통)' 앞의 전각 공란은 나대(挪擡)라는 높임 표현이다.[8] 2008년 천윈린(陳雲林)이 이끄는 해협양안관계협회(海峽兩岸關係協會) 협상대표단이 대만을 방문했을 때, 이에 반대하는 캠페인이 일어났을 때의 모습. 물론 반대 캠페인은 대만민족주의자들이 주도했기 때문에 이들이 장제스를 존경할 리는 만무하고, 그저 반중공+21세기 들어 양안관계 개선을 주장하는 국민당을 조롱하기 위함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