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9:24:33

국가바이오위원회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svg
대한민국 대통령 소속 위원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성격 근거유형 구성
행정위원회 법률<colbgcolor=#FFF,#1F2023>규제개혁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
자문위원회 법률경제사회노동위원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가도서관위원회, 국가물관리위원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국가우주위원회, 국가인적자원위원회,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지방시대위원회,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대통령령국민통합위원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국방혁신위원회,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국가바이오위원회
,* 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제3조의 적용을 받는 위원회만 열거함.,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국가바이오위원회
國家바이오委員會
Presidential Bio Committee
주무부처<colbgcolor=#FFFFFF,#191919>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설립일2025년 1월 23일
존속기한
위원장 윤석열[직무정지]
권한대행 최상목
부위원장 이상엽 (내정)
지원단장
1. 개요2. 위원3. 활동

[clearfix]

1. 개요

국가바이오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
제1조(목적) 이 영은 바이오 분야의 진흥을 위한 국가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강화, 경제 발전 및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설치하고, 그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025년 1월 23일에 출범한 대통령 직속위원회. 바이오 정책 전반을 심의한다.

2. 위원

구분위원소속
위원장<colbgcolor=#ffffff,#292a2d> 윤석열[직무정지]
최상목
대통령(당연직)
부위원장이상엽한국과학기술원 부총장 (내정)
위원최상목기획재정부장관(당연직)
위원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당연직)
위원송미령농림축산식품부장관(당연직)
위원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장관(당연직)
위원조규홍보건복지부장관(당연직)
위원방기선국무조정실장(당연직)
위원오유경식품의약품안전처장(당연직)
위원김완기특허청장(당연직)
위원지영미질병관리청장(당연직)
위원고학수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당연직)
간사위원박상욱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수석비서관(당연직)
위원왕윤종국가안보실 제3차장(당연직)

3. 활동

2025년 1월 23일 출범하였으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제1차 국가바이오위원'를 주재해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1조원 이상 규모의 메가펀드 조성, 한국형 바이오 클러스터 구축 등의 논의를 했다.


[직무정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가결로 인한 직무정지[직무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