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국무조정실장 방기선 | 국무총리비서실장 손영택 | |||||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한기정 | 법제처장 이완규 | |||||
금융위원회 위원장 김병환 | 인사혁신처장 연원정 |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유철환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오유경 |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고학수 |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유국희 |
||<-4><bgcolor=#fff,#191919><tablewidth=100%> ※ 둘러보기: 국무총리 직속 기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본부장 (1996~1998) |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김용문 | 제2대 김종대 | |||
식품의약품안전청장 (1998~2013)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박종세 | 제2대 허근 | 제3대 양규환 | 제4대 이영순 | |
<nopad> 참여정부 | ||||
제5대 심창구 | 제6대 김정숙 | 제7대 문창진 | 제8대 김명현 |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9대 윤여표 | 제10대 노연홍 | 제11대 이희성 |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2013~현재)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정승 | 제2대 김승희 | 제3대 손문기 | 제4대 류영진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5대 이의경 | 제6대 김강립 | 제7대 오유경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大韓民國食品醫藥品安全處長 The Minister of Food and Drug Safety | |
현직 | 오유경 / 제7대 |
취임일 | 2022년 5월 27일 |
[clearfix]
1.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관장으로 차관급으로 보임된다. 2013년 처로 승격 전에는 청장이라 불렀으며 이전에는 잠시 본부장 시절도 있었다. 국무총리 직속 기관장으로 독립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전 청장시절에는 보건복지부 산하 외청이였기에 어느정도 파워가 달라졌다고 보면 된다.식약처장은 약사 혹은 약학 연구자의 전공분야로 여겨져 보통 약학대학 출신이나 해당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관료가 주로 임명된다. 참여정부의 김정숙 청장[1]이 약학 학사-생화학 석사-약제학 박사에 이은 한국한의학연구원 경력 등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을 역임한 사례가 있고, 이명박 정부 충북대학교 약학대학장을 지낸 윤여표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되기도 했으며, 문재인 정부의 류영진, 이의경 처장도 약학대학 출신이다. 윤석열 정부의 오유경 처장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장으로 근무하다 임명된 케이스다.
식품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아 임명된 케이스로는 3대 손문기 처장이 있다. 식품공학 박사 출신 연구직 특채로 식약처에 입사해 농축수산물안전국장과 식약처 차장을 거쳐 내부승진하였다.
한편, 2013년 처로 승격된 이후 처장 자리가 정치권 진출의 징검다리로 이용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초대 정승[2] 처장이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정치권 출마를 공식화하며 처장직을 사퇴[3]했었고, 2대 김승희 처장[4]도 2016년 새누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2020년 11월, 김강립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제6대 처장으로 임명되었다. 처 승격 이후 첫 복지부 출신 처장이다. 청 시절에는 복지부에서 청장으로 이동한 사례가 역대 청장 12명 중 3명이었다.[5] 농림부 출신 정승 1대 처장까지 포함해도 정통 관료 출신 수장은 드문 편이라 할 수 있는데, 이번에 김강립 처장이 파격적으로 발탁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보건복지 분야 정통 관료 출신인 김 차관을 식약처장에 임명한 이유는, 코로나19 방역 업무에서 행정 관련 분야를 총괄했던 경험을 살려 범부처 협력을 통해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등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공식적으로는 차관급 기관장이지만 코로나 팬데믹 시국을 거치며 그 위상이 장관급에 준할 정도로 올라갔고, 김강립 6대 처장과 오유경 7대 처장도 이전 처장들에 비해 재임시 언론의 주목을 많이 받은 편이다.
2. 역대 처장
2.1.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본부장
||<tablealign=center><rowcolor=#ff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rowbgcolor=#003764>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문민정부 | 초대 | 김용문(金龍文) | 1996년 4월 6일 ~ 1996년 10월 24일 |
2대 | 김종대(金鍾大) | 1996년 10월 25일 ~ 1998년 3월 8일 |
2.2. 식품의약품안전청장
||<tablealign=center><rowcolor=#ff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rowbgcolor=#003764>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국민의 정부 | 초대 | 박종세(朴鐘世) | 1998년 3월 9일 ~ 1999년 1월 28일 |
2대 | 허근(許瑾) | 1999년 1월 29일 ~ 2000년 8월 10일 | |
3대 | 양규환(梁奎煥) | 2000년 8월 11일 ~ 2002년 3월 19일 | |
4대 | 이영순(李榮純) | 2002년 3월 20일 ~ 2003년 3월 2일 | |
참여정부 | 5대 | 심창구(沈昌求) | 2003년 3월 3일 ~ 2004년 9월 3일 |
6대 | 김정숙(金貞淑) | 2004년 9월 3일 ~ 2006년 1월 31일 | |
7대 | 문창진(文昌珍) | 2006년 2월 1일 ~ 2007년 6월 20일 | |
8대 | 김명현(金明炫) | 2007년 6월 21일 ~ 2008년 3월 7일 | |
이명박 정부 | 9대 | 윤여표(尹汝杓) | 2008년 3월 8일 ~ 2010년 4월 1일 |
10대 | 노연홍(盧然弘) | 2010년 4월 2일 ~ 2011년 12월 11일 | |
11대 | 이희성(李熙成) | 2011년 12월 30일 ~ 2013년 3월 14일 |
2.3. 식품의약품안전처장
||<tablealign=center><rowcolor=#fff><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rowbgcolor=#003764>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근혜 정부 | 초대 | 정승(鄭勝) | 2013년 3월 23일 ~ 2015년 3월 13일 |
2대 | 김승희(金承禧) | 2015년 4월 7일 ~ 2016년 3월 13일 | |
3대 | 손문기(孫文基) | 2016년 3월 28일 ~ 2017년 7월 11일 | |
문재인 정부 | 4대 | 류영진(柳永珍) | 2017년 7월 12일 ~ 2019년 3월 8일 |
5대 | 이의경(李儀卿) | 2019년 3월 9일 ~ 2020년 11월 1일 | |
6대 | 김강립(金剛立) | 2020년 11월 2일 ~ 2022년 5월 26일 | |
윤석열 정부 | 7대 | 오유경(吳裕耕) | 2022년 5월 27일 ~ 현재 |
3. 둘러보기
중앙행정기관의 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0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부총리급 인사 장관급 인사 차관급 인사 고공단 가급 인사 고공단 나급 인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통령 직속기관장 | ||||||
감사원 역대 원장 | 국가정보원 역대 원장 | 국가안보실 역대 실장 | |||||
대통령비서실 역대 실장 | 방송통신위원회 역대 위원장 | 대통령경호처 역대 처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무총리 직속기관장 | |||
공정거래위원회 역대 위원장 | 금융위원회 역대 위원장 | 국민권익위원회 역대 위원장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대 위원장 | ||||
국무조정실 역대 실장 | 국무총리비서실 역대 실장 | 원자력안전위원회 역대 위원장 | 인사혁신처 역대 처장 | ||||
법제처 역대 처장 | 식품의약품안전처 역대 처장 |
역대 국무위원 · 현임 국무위원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0.5px -10px" {{{#181818,#e5e5e5 | 의장 | 대통령 | ||
윤석열 | ||||
부의장 | 국무총리 | |||
한덕수 | ||||
<colbgcolor=#003865> 국무위원 | ||||
최상목 | <colbgcolor=#003865> | 이주호 | ||
유상임 | 조태열 | |||
김영호 | 박성재 | |||
김용현 | 이상민 | |||
강정애 | 유인촌 | |||
송미령 | 안덕근 | |||
조규홍 | 김완섭 | |||
김문수 | 공석 | |||
박상우 | 강도형 | |||
오영주 | ||||
정부위원 | ||||
류광준 | 정인교 | |||
대통령 보좌기관·소속기관 | ||||
신원식 | 정진석 | |||
이배용 | 이진숙 | |||
국무총리 보좌기관·소속기관 | ||||
방기선 | 김승호 | |||
이완규 | 오유경 | |||
김병환 | 한기정 | |||
고학수 | 최원호 | |||
서울특별시 | ||||
오세훈 | ||||
기타 기관* | ||||
천대엽 | 김정원 | |||
안창호 | 이창용 | |||
오동운 | ||||
기타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배석시키는, 중요 직위에 있는 공무원 | ||||
* 국무회의 규정 외의 법률에 의거하여 국무회의에 출석, 발언권 등이 있음 | }}}}}}}}}}}} |
[1] 최초의 여성 청장이다.[2] 농림축산식품부차관 출신이다. 농림부 출신이 식품 관련 연관성을 반영하여 식약처장 자리까지 차지한 셈이다.[3] 광주 서구 을 국회의원직에 도전했으나 낙선했다.[4] 식약처 최초의 여성 처장이다.[5] 7대 문창진, 8대 김명현(식약청 차장 출신이지만 차장 임명 전에는 복지부에서 경력을 쌓았다.), 10대 노연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