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0:21:45

국립부경대학교/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국립부경대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대학별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역사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역사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역사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역사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역사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역사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역사 파일:부산가톨릭대학교 심볼.svg 부산가톨릭대학교/역사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역사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역사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역사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역사
파일:영산대학교 UI.svg 영산대학교 해운대캠퍼스/역사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역사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역사 }}}}}}}}}

파일:부경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역사 역대 총장 상징 연구시설
학부 대학원 출신 인물 사건사고
캠퍼스
대연캠퍼스 용당캠퍼스
}}}}}}}}} ||

1. 개요2. 부산수산대학교
2.1. 부산고등수산학교/부산수산전문학교2.2. 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2.3. 부산수산대학
3. 부산공업대학교4. 통합 부경대학교

[clearfix]

1. 개요

국립부경대학교1941년 부산고등수산학교로 설립된 부산수산대학교와 1924년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를 시초로 하는 부산공업대학교가 1996년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2. 부산수산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부산수산대학교 SINCE 1941
<colbgcolor=white> 1939. 여름 <colbgcolor=white> 조선총독부가 고등수산학교설립준비위원회를 설치[1]
1941. 1. 부산고등수산학교설립위원회 설치
1941. 3. 28. 쇼와 16년 칙령 제281호 朝鮮總督府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에 의거 부산고등수산학교 설립
1941. 4. 1. 쇼와 16년 조선총독부령 제97호 '부산고등수산학교규정' 공포[2]
1941. 5. 13. 임시 기숙사 개설[3]
1941. 5. 15. 부산고등수산학교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4] 거행
1941. 6. 11. 부산고등수산학교 학과 개강
1942. 4. 기숙사 제1동 준공
1943. 1. 기숙사 제2동 준공
1944. 1. 4. 쇼와 19년 조선총독부령 제5호로 규정을 개정해 학과명을 조업과, 제조과, 양식과로 개칭
1944. 2. 11. 대동아수산연구소 설치
1944. 4. 쇼와 19년 칙령 제236호 朝鮮總督府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에 의거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
1944. 8. 강당 준공
1944. 9. 17. 연습선 코요마루(耕洋丸)가 건조 완료되어 돗토리현에서 회항
1944. 9. 30. 전시 임시 수학연한 단축조치에 의거 제1기생이 교육과정을 3년반만에 마치고 졸업
1945. 3. 연습선 코요마루가 부산-여수시간을 실습 항해
1945. 4. 원양어업과(5년제)를 설치[5]
1945. 8. 30. 일본인 학생 및 교직원 선발대가 부산에서 연습선 코요마루를 타고 일본 야마구치현 하기시로 귀환
1945. 9. 30. 제2기, 제3기생의 조기졸업식 거행
1945. 10. 1. 일본인 학생 및 교직원 후발대가 연습선 코요마루편으로 일본 귀환, 복원 완료[6]
1945. 10.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미군정이 접수
1946. 5. 15.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모체로 국립부산대학을 설립하고 부산대 수산학부로 개편
1946. 9. 1. 국대안의 예를 따라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으로 개편[7]
1948. 7.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
1954. 10. 국립부산수산대학에 대학원 설치
1958. 1. 22. 김재철 동문, 부산수산대 출신 원양어선 선원 1호로 출항
1961.9. 부산대학교로 통합
1963. 3. 6. 이병돈 동문, 한국인 최초 남극대륙 방문
1964. 1. 부산대학교에서 부산수산대학으로 재분리
1986. 11. 6. 부산수산대학에 학부설치 인가[8]
1990. 3. 1. 종합대학 승격[9], 4개 대학[10]과 교양과정부로 개편
1996. 3. 1. 부산공업대학교와 통합
1941년 조선총독부의 관립전문학교로 설립된 부산고등수산학교는 1944년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하고, 해방 후 1946년 5월 국립부산대학교 설립 당시까지 경상남도의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이었다. 미군정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인문학부를 증설한 국립종합대학교를 설립하려했고, 1946년 5월 15일 설립 인가가 나면서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모체로 한 수산학부와 신설되는 인문학부 및 대학예과 등으로 구성된 국립부산대학이 설립되었다. 이는 1946년 8월 공포된 국립서울대학교안에 따라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인문과대학으로 명칭을 바꾸어 동년 9월 개교하였지만, 수산과대학의 텃세[11] 등으로 이질적인 두 단과대학이 불화를 빚음에 따라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은 국립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 독립하면서 부산대에 남은 인문과대학과는 결별하게 된다.

2.1. 부산고등수산학교/부산수산전문학교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조선에서는 정어리의 풍어로 어업이 활기를 띠고 있었다. 이와 함께 1931년 만주사변에 이어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제국은 미국, 영국 등 서구로부터 금수조치를 포함한 전방위적 제재를 받고 있던 일본 제국에서는 식량 자원의 자급자족과 정어리에서 뽑아내는 기름의 생산 수단으로 주목받던 수산업의 중요성이 재평가되었다. 그런데 당시 조선의 수산학교는 소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연한 2~3년 정도의 학교들만 몇 있을 뿐이었다. 조선총독부 식산국 수산과의 주임기사 기타노(北野退蔵)는 조선의 어업 발전을 위해서는 수산지도자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도쿄의 수산강습소(現 도쿄해양대학)와 비슷한 고급 수산교육기관의 설립을 호소했다. 이에 호응하여 청진, 원산에서 "동해지구 고등수산학교 설립기성회"를 결성하자, 부산에서도 고등수산학교 기성회가 생겨났다. 부산수산(주)의 기부금 50만 엔과 일반기부금 100만 엔을 모금하는 데 성공하면서 조선총독부 당국은 일본과의 교통이 가장 편리한 동시에 동아시아의 관문으로서 대륙의 현관 위치에 있고, 또한 수산시험장이 소재해있는 부산부에 고등수산학교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부산과 경합했던 청진에는 1938년 5월 갑종(5년제) 수산학교인 청진공립수산학교가 설치됐다. 이어 1941년 4월 3년제 수산학교였던 여수공립수산학교와 통영공립수산학교가 5년제의 갑종 수산학교로 수학연한이 연장되었다.
파일:KOJE70_122574_3[5].jpg
그리하여 조선총독부에서는 1939년 여름 고등수산학교 설립준비위원회를 설치하여 1941년 4월 개교를 목표로 부산고등수산학교 설립 작업에 착수했다. 1941년 1월에는 부산고등수산학교 설립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1941년 3월 28일 쇼와 16년 칙령 제281호 朝鮮總督府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에 의거 경상남도 부산부 대연리부산고등수산학교(4년제)가 총독부 소관의 관립[12]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 어로학과, 제조학과, 양식학과 등 3개과 9학급 편성으로 설립되어 5월 15일 개교식과 입학식을 거행한 부산고등수산학교는 일제시대를 통틀어 그리고 해방 직후까지 부산시를 포함한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이었다.[13] 1944년 6월 기준 전교 재적생 325명 중 조선인 학생은 49명이었고 교원은 전원 일본인이었다.

일제 말기인 1944년 1월 학과 명칭을 조업과, 제조과, 양식과로 변경했으며, 동년 4월 전문학교령에 의거해 각 전문학교가 그 명칭을 통일할 때 부산고등수산학교 역시 쇼와 19년 칙령 제236호 朝鮮總督府諸學校官制中改正ノ件에 의거해 부산수산전문학교로 명칭을 바꾸었다. 9월에는 배수량 71.47톤, 160마력의 목조선인 부산수산전문학교의 연습선 코요마루([ruby(耕洋丸, ruby=こうようまる)])가 건조 완료되었고, 제1기생이 전시 임시 수학연한 단축조치에 따라 반 년 빠른 3년반만에 졸업하였다.

1945년 3월에는 코요마루를 운행해 부산에서 여수까지 실습 항해를 했으며, 4월 원양어업과(5년제)를 신설했다. 1945년 8월 일제 패망 후에는 일본인 학생 및 교직원들이 코요마루를 타고 일본 내지로 귀환했다. 1945년 9월 30일부로 조기졸업한 제2기, 제3기 학생들을 제외하고 재학 중이었던 제4기, 제5기 일본인 학생들은 동년 12월 1일 도쿄의 수산강습소(現 도쿄해양대학)로 전학 조치되었는데, 학생 대부분이 조선 부산에서 가까운 야마구치현 및 규슈 출신이라 도쿄에 있는 수산강습소와 거리가 먼 탓에 도쿄로 전학을 거부하자 시모노세키시에 제2수산강습소(수산강습소 시모노세키 분소)를 만들어[14] 소속시키게 되고, 이 제2수산강습소가 발전한 것이 오늘날 일본의 수산대학교[15]이며 시모노세키의 수산대학도 학교 약력에서 그 전신을 부산고등수산학교로 인정하고 있다.[16]

2.2. 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

1945년 8월 해방 후 미군정에 인수되었고 해방 이후 경상남도미군정 당국에 인문학부를 추가한 국립종합대학 설립을 건의하자 미군정청 학무국에서는 경상남도에서 대학설립기금 2,000만 원을 국고에 납입하도록 한다. 당시 경상남도 재무국장이었던 윤상은[17]이 함께 도쿄에 유학한 미군정청 학무국장 유억겸을 설득해 이 부담금 2,000만 원을 절반인 1,000만 원으로 줄이고 마침내 1946년 5월 15일 부산수전을 모체로 삼고 인문학부를 증설한 국립부산대학(대학예과, 인문학부, 수산학부 등으로 구성)의 설립이 인가되면서 부산수전은 국립부산대학 수산학부(국대안 발표 후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로 개편되었다.[18]

(1) 국립부산대학교 설립 신청서
조선미군정청 문교부장 좌하
부산의 대학설립에 관한 건

(1) 부산수산전문학교 구내에 하기(下記) 대학의 학과를 병설하여 동교를 대학으로 승격시켜 주심을 요망하며,
(2) 上記 대학의 설치를 위한 임시적 경비로써 우선, 壹千萬원을 본도(本道)에서 부담하겠사옵고,
(3) 신설을 요망하는 학과는 아래와 같사옵니다.
(ㄱ) 명칭 釜山大學
(ㄴ) 학과 :  (a) 인문학부(사범과, 사회과, 경제과),      (b) 수산학부(전문학교 때와 같은 학과)
(4) 대학 교사(校舍) 및 시설에 관해여는 현 수산전문학교 교사(校舍)를 인문학부가 겸용하기 불가능할 경우에 대처하고자 부산부(釜山府)내에서 대학설치에 적당한 건물(구 부산고등여학교 校舍)을 준비하여 두었나이다.

1946.5.10.

조선미군정청 경상남도 지사  김병규
조선미군정청 경상남도 장관  F. E. Gillette

(2) 국립부산대학교 설립 인가서
경상남도지사 전(殿)

서기 1946년 5월 10일부의 귀 제안에 의한 釜山의 大學設置에 관하여는 그 후 5월 15일에 貴道 한인 및 미인 양 학무과장과 본 문교부 관계관이 합석하에 하기(下記)와 같이 결정하였음을 이에 회시(回示)함.

(1) 부산에 釜山大學을 設立하고, 同 大學에 인문학부, 수산학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현 수산전문학교는 이를 同 大學의 수산학부로 개편하기로 함.(부산수산전문학교 개편의 건)
(2) 同 大學 인문학부에 설치하게 되는 학과의 종류는 대학설립 관계당국자와 도 학무당국자와의 협의에 의하여 이를 결정하되 문교부의 승인을 얻어 실시하기로 함. (이하 생략)

단기 4279년 5월 20일 (서기 1946년 5월 20일)

조선미군정청 문교부장[19]  유억겸
조선미군정청 문교부장  Aubrey O. Pittenger

【출처】 부산대학교 50년사  p.24

1946년 5월 15일 부산에 신설되는 국립종합대학교의 정식명칭은 "부산대학"으로 확정되고, "인문학부"와 "수산학부"의 두 학부가 개설되었다. 이때의 "학부"라는 것은 오늘날의 한 단과대학(Faculty)에 해당되는 일본 학제의 명칭이었다.[20] 대학명칭과 학부칭호는 1946년 6월 19일에 '국립서울대학교안'이 발표되고, 1946년 8월 22일부 공포 시행된 '국립서울대학교설치령'을 준용해서 국립부산대학 인문학부는 국립부산대학 인문과대학으로, 국립부산대학 수산학부는 국립부산대학 수산과대학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그런데 문교부에서 부산수산전문학교를 국립부산대학교의 1개 단과대학으로 편입시키고, 그와 별도로 인문계대학을 신설하여 인문계 1개 단과대학과 자연계 1개 단과대학 체제의 국립부산대학교(종합대학) 설립를 인가하자 '부산수산전문학교'측에서는 수산교육의 전문성과 교육 효율이 저하될 거란 이유를 들어 격렬히 반발하기 시작했다. 국립서울대학교설립안과 마찬가지로 국립부산대학교의 설립과정이 모두 문교부와 경상남도 학무과장 윤인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일본제국 구학제에서 관립대학과 같은 독립된 단과대학으로 발전을 원했던 부산수산전문학교 측의 의사를 사실상 배제하였기 때문에 반발이 극심했다. 먼저 설립된 부산수산전문학교가 새롭게 설립되는 국립부산대학교의 1개 단과대학에 편입된다는 것과 대학행정을 담당하는 총장(베커 박사)을 비롯한 주요 인사도 문교부와 경상남도에 의해 이뤄진 데다가, 국립부산대학교의 운영이 인문과대학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부산수전측의 반발이 더 컸다.

이러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조선미군정청 당국에서는 '국립부산대학교 설립안'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1946년 8월 국립부산대학교 총장에 베커 박사를 임명하였으며 1946년 9월 '국립부산대학교' 개교를 강행했다.

(3) 국립부산대학교 개교
신대학제(新大學制) 실시(實施) 국민개학(國民皆學)의 제일보(第一步) 【출처】 동아일보 1946년 9월 1일 기사 참조

(중략)

종대(綜大)는 실현(實現)

그리고, 고등교육에 있어서는 한동안 반대여론으로 말성이 많던 국립서울대학도 드디어 9일부터 개학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경기도 안에 있는 8개 관립 단과전문학교와 치과의전(사립)을 합친 국립서울종합대학과 연희(延禧), 고려(高麗), 이화(梨花)의 세 사립종합대학 이 밖에 15개의 단과대학에는 도합 1만 2천여명의 학도를 이 새나라의 동량이 되는 길을 닦게 되었다.

이 밖에 부산(釜山)에서는 수산전문(水産專門)을 바탕으로 하여 인문과학계통을 종합한 대학이 나타나게 되어 교육조선의 약진상을 여실히 보이고 있다.

파일:국립부산대학교개교.jpg

국립부산대학교는 1946년 9월 1일[21] 개교하였다. 개교식은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 강당(현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서 거행되었고 개교식 거행 사진(위 사진 참조)이 남아있으나,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귀환동포를 실은 귀국선이 입항한 부산에 콜레라가 상륙하여 삽시간에 전국을 휩쓸었다. 이로 말미암아 전국의 교통망이 마비되고 여행이 금지되는 바람에 신입생들의 입학이 지연되어, 1946년 9월 24일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입학식이 거행되었다.

파일:베커박사부산대취임식.jpg

문교부에 의해 1946년 8월 국립부산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된 아서 린 베커(Author Lynn Becker) 미시간 대학교 물리학박사의 취임식도 개교식과 함께 거행되었다. 베커 총장은 한국에 장기간 거주하였기 때문에 한국말도 제법 잘하였다고 한다. 취임식이 끝났을 때 베커 총장은 한국말로 「국립부산대학교 만세」를 선창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개교식 종료 후 김찬성 부산대 사무국장은 전체 신입생들 앞에서 "머지않아 광활한 학교 앞바다에 구류 양식장이 조성되고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에는 수천톤급의 실습선이 확보될 것이므로 6년[22] 후 졸업기에는 인문과대학, 수산과대학의 모든 학생들이 실습선으로 구미 각국으로 수학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호언하였다고 한다. 이로부터 국립부산대학교는 인문과대학과 수산과대학이 대연동 소재 舊부산수산전문학교(현 부경대 캠퍼스)내에서 동거하면서 종합대학으로 함께 출범하게 된 것이다(출처: 《부산수산대학교 50년사》, p116).

2.3. 부산수산대학

그러나 부산수전을 모체로 설립된 국립부산대학교에서는 기존 터줏대감인 수산과대학과 새로 신설된 인문과대학의 상호 반목이 계속되면서 1947년 7월 베커 총장의 사임과 함께 종합대학으로서 국립부산대학교 체제는 사실상 와해되어 단과대학별로 나누어졌고, 1948년 7월 문교부의 교명 변경 승인에 따라 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이 부산수산대학으로 독립하면서 국립부산대학교가 국립부산대학(인문과대학)/국립부산수산대학(수산과대학)으로 공식 분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부산에 세워진 국립종합대학을 재건하려는 노력을 지속하여 1949년 1월 대한민국 초대 문교부 장관 안호상 박사가 부산수산대학을 다시 국립부산대학교 수산과대학으로, 부산대학을 국립부산대학교 문리과대학/상과대학으로 개편하여 모두 3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된 "국립부산대학교"를 재설립한다는 제2차 종합대학안을 마련했다. 이는 1949년 2월 이범석 국무총리의 제의로 문리과대학, 상과대학, 수산과대학으로 구성되는 '''국립부산대학교 설립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 그러나 부산수산대학측의 결사적인 반대와 진정 때문에 안호상 문교부 장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승만 대통령이 제2차 종합대학안 재가를 보류하면서 재통합이 무산되었다.

이후 국립부산대학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전시연합대학 체제를 거쳐 1953년 4월 3일 국립부산대학교 설립안이 대통령 재가를 득하면서 1953년 9월 15일부로 국립학교설치령에 의거해 문리대·법대·상대·의대·약대·공대 6개 단과대학 및 1개 대학원으로 구성된 종합대학 부산대학교로 확대 발전해나갔다. 국립부산수산대학은 별도의 국립단과대학으로서 구제전문학교의 학풍을 유지하며 수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였고 1954년 10월에는 대학원을 설치했다.

부산수산대학은 5.16 직후인 1961년 9월 대학정비령에 의거 부산교대와 함께 부산대학교와 통합하였으나, 격렬한 반대 투쟁 끝에 1963년 3월에 분리해서 나간 부산교육대학에 이어 1964년 1월 부산수산대학이 부산대학교와 재차 상호 분리하였다.

이후 부산수산대학교는 우리나라 수산·해양산업의 발전을 선도하면서 어선사관을 포함한 수많은 전문 인재를 배출하였고, 정부의 수산·해양정책을 주도할 뿐만 아니라 전국의 수산·해양관계 대학 및 연구소에서 그 역량을 매우 높이 평가받았다.

3. 부산공업대학교

부산공업대학교 SINCE 1924
<colbgcolor=white> 1924. 5. 5 <colbgcolor=white>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2년제) 설립인가
1932. 4. 1.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명칭 변경
1933. 6. 8.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편
1940. 5. 4. 부산공립공업학교(5년제) 설립, 부산공립직업학교를 병설화
1944. 4. 21. 부산제2공립공업학교가 설립됨에 따라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로 개칭
1945. 3. 30. 부산공립직업학교 폐교
1947. 9. 1. 부산공립공업중학교(6년제)로 개편
1951. 8. 30. 부산공업고등학교(3년제)로 개편
1963. 4. 15.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승격
1971. 12. 1.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를 국립으로 개편
1973. 9. 29. 부산공업고등학교와 분리된 부산공업전문학교(2년제) 설립
1979. 1. 1. 부산공업전문대학으로 명칭 변경
1983. 12. 7. 부산개방대학(4년제)으로 승격 인가
1988. 5. 4. 부산공업대학으로 개칭
1990. 3. 6. 산업대학원 신설
1993. 2. 24. 종합대학 부산공업대학교로 승격
1996. 3. 1. 부산수산대학교와 통합

1924년 5월 5일에 부산제5공립심상소학교 경내에서 2년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가 설립되었다.[23][24] 1932년 4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33년 6월 8일에는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칭되었다.

5년제 갑종 공업학교인 부산공립공업학교가 1940년 5월 4일에 신설되면서 부산공립직업학교를 흡수하여 병설로 두었다. 전시 일본 제국의 공업화 정책으로 부산제2공립공업학교(現 경남공업고등학교)가 설립되면서 1944년 4월 21일 부산공립공업학교는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5년 3월 30일에 부산공립직업학교를 폐교하고, 8월 15일 일제가 항복하면서 일본인 학생 및 교직원들이 일본으로 귀환하였다.

미군정의 학제 개혁에 따라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는 1947년 9월 1일 부산공립공업중학교로 개칭되었고 수학연한이 6년으로 늘어났다. 한국 전쟁 중인 1951년 8월 31일 중등교육기관 분리(6년제 구제중학교를 신제중학교(3년)+신제고등학교(3년)로 개편)에 따라 부산공업고등학교(3년제)로 개편되었다.

5.16 이후 교육환경의 변화와 산업화에 따른 고등교육의 필요성을 이유로 전국에서 4개의 공업고등학교를 고등전문학교로 개편함에 따라 부산공업고등학교는 1963년 4월 15일 공업고등학교와 전문대학 과정을 통합한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승격하여 現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자리에서 재개교하였다. 1971년 12월 1일에 국립으로 이관되었고, 1972년 고등전문학교 분리 방침에 따라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가 부산공업고등학교(3년제)와 부산공업전문학교(2년제)로 분리가 확정되어 부산공업고등학교는 1972년 12월 20일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고, 부산공고와 분리된 부산공업전문학교는 1973년 9월 29일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9년 1월 1일 부산공업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83년 12월 7일에 부산개방대학(4년제)으로 승격되었으며 8개 학과를 설치했다. 1988년 5월 4일에는 부산공업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3년 2월 24일에 종합 대학교로 승격되어 부산공업대학교가 되었다.

4. 통합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SINCE 1996
<colbgcolor=white> 1996. 7. 6. <colbgcolor=white> 부산수산대학교와 부산공업대학교를 부경대학교로 통합
1996. 9. 3. 산학연협동연구센터 신설
1996. 11. 26. 국제교류센터 및 유럽정보센터 신설
2002. 11. 24. 수산과학기술센터 개소[25]
2010. 10. 29. LED-해양 융합기술 연구센터 개소
2011. 1. 5. 공과대 12개 학부(과) 공학교육인증
2011. 10. 13. 수산해양과학연구단지 수산과학연구원 개원
2012. 11. 26. 융복합해양플랜트연구센터 개소
2013. 3. 1. 글로벌수산대학원 신설
2014. 3. 1.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신설
2016. 4. 26. BK21플러스 지구환경재해시스템사업단 신설
2014. 6. 10. UN대학 협력대학 가입
2014. 7. 1. 대학특성화사업(CK사업) 선정
2014. 8. 29. 취업률 '가'그룹 국립대 1위
2015. 4. 1.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318억) 선정
2015. 7. 1. 대학 산학연 연구단지 조성사업(URP) 선정
2015. 9. 3. 해양탐사선 '나라' 취항
2016. 1. 8. 취업룰 '가'그룹 국립대 1위
2017. 6. 1. 신산학융합본부 신설
2017. 9. 1. 세계수산대학원(WFU) 신설
2018. 1. 18.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신설
2018. 1. 22. 산학협력단 산하 드래곤밸리지원센터 신설
2018. 3. 27.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선정
2019. 4. 10.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2단계 사업 선정
2019. 4. 10. 링크플러스(LINC+) 2단계 사업 선정
2020. 3. 4. 실습선 '백경호' 진수

1990년대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여러 대학들과 함께 단과대학에서 종합대학으로 승격한 부산수산대학교는 여전히 학교의 규모가 작고 종합대학으로서 다루는 분야가 협소한 한계가 있었다. 정부에서는 부산대학교와의 통합 구상이 하달되었으나 통합과 분리를 반복한 역사 때문에 현실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 부산공업대학교 역시 제한된 규모로 인해 난관에 봉착해 있었다. 이에 부산수산대는 부산공업대측과 접촉하여 통합 논의를 개시했다. 당시 상호 입장차와 자존심 싸움이 있었고, 특히 부산수산대 졸업생들은 부산대에서도 분리해나온 부산수전의 독자성과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통합에 강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위기를 절감한 양교 구성원들의 통합 추진에 의해 논의는 진전되었고 마침내 1996년 3월 1일 양교가 통합을 이루어 현재의 부경대학교가 탄생하였다.

교명 변경은 통합 이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부산수산대학교 시절부터 논의된 것이었다. 그때 언급된 이름들은 한수대, 부원대, 가야대 등이 있고 가야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했으나 당시 교육부의 인가를 받지 못해 통합될 때까지 부산수산대학교라는 교명을 사용했다.

[1] 1941년 4월 개교 목표로 전문학교령에 준거하며 수산강습소(現 도쿄해양대학)의 교육과정을 차용.[2] 본과(4년제)에 어로학과, 제조학과, 양식학과 등을 설치.[3] 부산부 타니마치2쵸메(釜山府谷町2丁目, 현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2가)에 소재한 일본수산(현 닛스이) 소유의 가옥이었다고 한다.[4] 입학생 어로학과 21명, 제조학과 21명, 양식학과 9명 등.[5] 원양어업과 학생은 일본해군 예비역으로 간주되었다.[6] 제4기, 제5기 일본인 학생들은 1945년 12월 1일 수산강습소(現 도쿄해양대학) 전학 허가를 받고 1946년 5월 5일 시모노세키시에 설치된 수산강습소 시모노세키 분소에 소속되며 이 시모노세키 분소가 현재 일본의 수산대학교로 이어지게 된다.[7] 부산대학교는 수산과대학(입학정원 150명)과 더불어 인문과대학(입학정원 150명)을 신설하여 2개의 단과대학및 대학예과를 가진 종합대학교로 설립[8] 수산해양학부, 이공학부, 사회과학부 설치[9] 부산수산대학교[10] 수산해양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사회과학대학[11] 일제시대 조선에서 경성제국대학 다음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었던 관립 전문학교 중 하나였던 부산수산전문학교에서 미국식 주립대학을 모델로 한 일개 신제대학인 국립부산대학교로의 개편이 탐탁지 않았던 데에 대한 반발[12] 일제시대에 국립을 일컬어 쓰이던 용어. 기타 도도부현 소속 공립 학교와 재단법인 소속 사립 학교들이 있었다.[13] 참고로 1945년까지 개교한 조선의 모든 구제전문학교 중에서 당시 관립전문학교는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광업전문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고등상업학교경성부에 소재한 5교 외에 지방에는 부산수산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 대구농업전문학교, 평양공업전문학교 등 4곳 밖에 없었을 정도로 고급 교육기관이었다.[14] 이때 도쿄 본교는 제1수산강습소로 명칭 변경. 제1수산강습소는 이후 도쿄수산대학을 거쳐 현 도쿄해양대학이 되었다.[15] 일본 농림수산성 산하 독립연구교육법인이다. 일종의 국가가 세운 특수대학교로 일본에서는 방위대학교,경찰대학교,세무대학교,소방대학교 등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사실 일본에서는 우리와 다르게 大学校라는 명칭을 가지면 방위의과대학교처럼 특수단과대학을 뜻하는 말이 된다. 일반적인 종합대학은 大学이라고 칭한다. 흔히 말하는 도쿄대학교는 일본어로는 東京大学이라 도쿄'대학교'는 틀린 표기이고 도쿄대학이 맞는 표기다.[16] 일본 '수산대학교'로 설립된 것은 1961년이지만, 창립은 1941년도의 부산고등수산학교 설립임을 밝혀놓고 있다.[17] 윤인구 부산대학교 초대 총장의 부친.[18] 1946년 9월 부산시 남구 대연동의 부산수전 캠퍼스(現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서 개교하고 제1회 입학식을 거행한 국립부산대학교는 대연동에 대학예과와 수산과대학이 자리잡았고, 충무동에 인문학부가 위치해있었다.[19] 現 교육부 장관[20] 1946년 3월 7일에 공포된 대학령 제2조 후단에는 인문계 학부와 자연계 학부가 병설될 때는 두 개 이상의 학부로써 종합대학교를 구성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었다.[21] 미군정 당시에는 미국의 학제와 동일하게 9월 1일에 신학년이 시작되었다.[22] 당시는 아직 미국식 학제에 따른 4년제 신제대학이 자리잡기 이전으로, 일본 제국 시절의 구학제에 따라 3~4년제 구제전문학교와 구별되는 구제대학대학예과와 학부를 포함한 6~7년제 시스템이었다. 이후 미국식 대학교 시스템 도입으로 대학예과가 폐지되고 구제대학과 구제전문학교는 모두 4년제 대학으로 일원화되었다.[23] 경성공립공업보습학교(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형제격이다. 공업보습학교를 포함한 실업보습학교는 과거 간이실업학교(1년제)가 제2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2년제로 개편된 것으로서 보통학교 졸업생이 입학하는, 오늘날로 치면 중학교 수준의 전기중등(실업)교육기관이었다. 공업학교 등의 실업학교는 3~5년제 중등(실업)교육기관으로서, 실업보습학교 졸업자는 동종 실업학교에 편입학하여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다.[24] 현재 부산 중구 보수동1가 보수초등학교 위치.[25] 경남 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