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1:31:25

구제전문학교

전문학교령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 제도(新制) 구제(舊制)
소학교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중학교 고등소학교(2년제, ~194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고등학교 고등중학교 예과(1896~1894)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실업학교 · 사범학교[D] · 사범학교 예과[D]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고등중학교 전문부(1896~1894) · 구제고등학교 고등과(1918~) · 구제전문학교 · 대학예과 · 사범학교 본과[D]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연구과)
당시 구제전문학교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구제대학 학부를 누적 수학 연령으로 따지면 신제 석사와 동일.

[C] 일반적으로 구제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해서 운영했다.[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C]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D] 1943년 사범학교령을 통해 모든 사범학교에 대하여 전문학교급으로 승격하고 본과와 예과를 만듦.[D] [D]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제국의 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등교육기관 중등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내지 조선 대만 내지 조선 대만 내지 조선 대만
심상소학교
고등소학교
보통학교 공학교 심상중학교(남)
고등여학교(여)
고등보통학교(남)
여자고등보통학교(여)
심상중학교(남)
고등여학교(여)
제국대학
관립대학
구제대학
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
제국대학
(대북제국대학)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
대학전문부
경성제대예과 대북고등학교
대북제대예과
심상소학교 심상중학교(남)
고등여학교(여)
구제전문학교
의학전문학교
법학전문학교
중등교육기관(실업) 고등교육기관(실업)
국민학교 공업학교
상업학교
농업학교
수산학교
실업보습학교
고등공업학교
고등상업학교
고등농림학교
고등수산학교
중등교육기관(사범) 고등교육기관(사범)
사범학교
여자사범학교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상위 틀: 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하위 틀: 일제강점기 조선의 구제전문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2. 상세3. 대학 전문부4. 졸업 후5. 전후 개편6. 종류(일본 본토소재)
6.1. 의학전문학교6.2. 고등공업학교6.3. 고등상업학교6.4. 고등농림학교6.5. 고등수산학교6.6. 고등사범학교6.7. 음악ㆍ미술전문학교6.8. 여자전문학교
7. 외지 소재 학교8. 해외 소재 학교9. 둘러보기

1. 개요

구제전문학교(舊制專門學校 / 旧制専門学校)란 1903년 3월 27일 메이지 36년 칙령 제61호로 공포된 전문학교령[1]에 따라 설립된 고등교육기관[2]으로, 구제중학교 또는 고등여학교 졸업생들에게 입학 자격이 부여되었다.

2. 상세

• 전문학교령 [ 펼쳐 보기 / 접기 ]
> 전문학교령(專門學校令)
- 메이지 36년 칙령 제61호

제1조: (1) 고등 학술기예를 교수하는 학교가 전문학교이다. (2) 전문학교는 특별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본령의 규정에 의거한다.
제2조: 홋카이도, 부, 현 또는 토지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한해 시(市)는 전문학교를 설치할 수 있다. 단, 오키나와현은 이 제한에 따른다.
제3조: 사인(私人)은 전문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
제4조: 공립/사립 전문학교의 설립과 폐지는 문부대신의 인가를 얻어야 한다.
제5조: (1) 전문학교의 입학자격은 중학교 4년 이상 수료자, 고등여학교 졸업자 또는 이와 동등의 학력을 가진 것으로 검정된 자, 다만 이상의 정도에 관해서 정할 수 없는 미술, 음악에 관한 학술기예를 교수하는 전문학교의 경우는 문부대신이 별도로 그 입학자격을 정할 수 있다. (2) 전항의 검정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6조: 전문학교의 수업연한은 3개년 이상으로 한다.
제7조: 전문학교에 예과, 연구과, 별과를 둘 수 있다.
제8조: (1) 관립전문학교의 수업연한, 학과, 학과목 및 그 정도 그리고 예과, 연구과 및 별과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2) 공립 또는 사립 전문학교의 수업 연한, 학과, 학과목 및 그 정도 그리고 예과, 연구과 및 별과에 관한 규정은 공립학교는 관리자, 사립학교는 설립자가 문부대신의 인가를 받아서 정한다.
제9조: 공립 및 사립 전문학교의 교원의 자격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
제10조: 공립 전문학교 직원의 여비 및 급여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의 인가를 얻어 지방장관이 정한다.
제11조: 공립 전문학교에서는 수업료를 징수해야 하며, 다만 특별한 경우에는 이를 감면하거나 징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12조: 제1조에 해당하는 학교는 전문학교를 칭할 수 있다.
부칙
제13조: 본령은 메이지 36년 4월 1일부로 시행한다.
제14조: 메이지 20년 칙령 제48호는 이를 폐지한다.
제15조: (1) 기설치된 공립 또는 사립 학교에 있어서 본령에 의하면 본령 시행일 1년 이내에 제4조에 준하여 인가를 신청한다. (2) 전항의 수속을 위해 전항의 기간이 만료되면 폐교된 것으로 간주한다. (3) 제1항의 수속 중 불허가 명령을 받은 경우 그 명령을 받은 날 폐교된 것으로 간주한다.
제16조: 치바의학전문학교, 센다이의학전문학교, 오카야마의학전문학교, 가나자와의학전문학교, 나가사키의학전문학교, 도쿄외국어학교, 도쿄미술학교 및 도쿄음악학교는 본령의 시행일에 전문학교로 본다.

파일:일본신구학제대조표.jpg
전쟁 전의 일본 제국 학제 전쟁 후의 현대 일본 학제

당시 일본 제국은 복선형 학제를 택하고 있었고, 이 학제 하에서 대학 진학 코스는 초등교육(소학교) 6년-중등교육(구제중학교) 5년- 구제고등학교 또는 대학예과 3년- 대학 3~4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여기서 구제전문학교 또한 중등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고등교육기관이었으며, 졸업 시 구제고등학교 졸업과 동일한 학력이 인정되었다. [3] 당시 구제대학은 현재의 4년제 대학보다는 학석사 통합과정에 가까운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이었기 때문에[4] 전문학교가 고등교육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결코 작지 않았다. 당시 일본 내지는 물론이고 조선, 대만, 가라후토, 관동주까지 수많은 전문학교가 설치되었고, 공업/상업/농업 분야를 담당하는 고등실업학교 외에도 여자전문학교(여전), 의학전문학교, 치과의학전문학교, 약학전문학교, 법학전문학교, 외사전문학교, 예술계열 전문학교 등 종류도 다양했다.

구제대학에 비해 위상 자체는 낮았지만, 실제 학생들의 선호도는 관립대학>관립전문학교>사립대학>사립전문학교의 순서였다고 한다. 전문학교를 졸업해도 학사 칭호는 부여되지 않았으며 의학전문학교 등은 득업사 호칭을 주는 경우는 있었다. 구제고등학교대학예과 대신에 이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구제대학 학부에 입학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특히 사립대학의 경우는 부속 전문부 출신이 신입생 다수를 차지했다.
구제대학이 오늘날 독일의 우니베르지텟(Universität)에 대응된다면 구제전문학교는 독일의 호흐슐레(Hochschule)[5] 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3. 대학 전문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 전문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早稲田大学専門部・高等師範部校舎(現1号館) (1).jpg
1935년 준공 당시 와세다대학 전문부 교사
(現 와세다대학 1호관)
대학 전문부는 일본 제국구제대학에 부속 기관으로 설치된 구제전문학교급의 교육 조직이다.

대학전문부는 대학령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으며, 구제대학들의 실행에 의해서 설치/존속/운영되었던 조직이다. 대학령 시행 이전까지 일본 제국에서 대학제국대학뿐이었다. 따라서 1919년 4월 1일 대학령의 시행 후 설립된 여타 구제대학들은 전문학교령에 의거 인가된 구제전문학교 연구과/전공과 등을 모체로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전문학교가 대학으로 전환이 되었다 해도 기존 전문학교 학생들은 대학 학부로 학적을 옮길 수 없었으므로,[6] 이 학생들이 졸업하기 전까지 전문학교 과정을 폐지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러한 연유로 탄생하게 된 것이 구제대학 부속 전문부였다.

그러나 기존 전문학교 학생들이 모두 졸업한 후에도 많은 대학들(특히 사립대학들)은 대학 전문부를 계속 존치시켰다. 우선 대학에 비해 수요가 많아 등록금 수익 등의 경제적 이득이 쏠쏠했고, 전문부 졸업 시 학부 진학이 가능했기 때문에 학부 지원자의 풀도 늘릴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예과와 정규 학부과정까지 도합 5~6년을 다녀야 하는 구제대학과 비교해 3년짜리 전문부 과정은 수학 기간도 짧은데다가 사립대학들이 자교 전문부 졸업 학력을 구제고등학교/대학예과에 상응하는 것으로 보고 입학 자격을 부여했기 때문에 학생들 입장에서 전문부는 상당히 매력적인 선택지였다. 실제로 대학 학부 신입생 중 해당 대학 부속 전문부 출신이 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7]

4. 졸업 후

구제고등학교 혹은 대학예과 등이 구제대학 진학을 전제로 수학하는 전기 고등교육기관이었던 것에 반해, 구제전문학교는 졸업 후 바로 사회로 진출해 실무에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된 교육기관이었다. 따라서 제도상 구제전문학교 졸업자는 구제고등학교대학예과 졸업생과 달리 구제대학 진학을 위해서는 다시 구제고등학교대학예과 등을 거치거나, 혹은 각 대학에서 구제고등학교 졸업에 상당한 학식을 갖춘 자인지 여부를 별도 심사를 받아야 했다. 또한 구제전문학교에서 관립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방계 입학으로 불리면서, 규정상으로는 시험에 합격하면 가능했으나 실제로는 개별 대학과 학부별로 수용 여부나 그 정원, 시험·심사 방법이 매해 달랐다.

제국대학은 신입생 선발에서 지원자의 학력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했는데[8] 구제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1차 모집을 먼저 시행한 후에 발생하는 결원에 대해서만 고등사범학교 졸업자나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중 자격검정시험 합격자" 등을 대상으로 이른바 방계 입학을 받았기 때문에,[9] 전문학교 졸업자는 지방 제국대학에서 미달이 발생하는 경우를 노려야만 가능성이 있었다. 도쿄제국대학·교토제국대학예과가 부설된 홋카이도제국대학[10]·경성제국대학[11]·다이호쿠제국대학[12] 등은 여석이 구제고등학교 이후 구제전문학교 출신까지 내려오는 경우가 거의 없었던[13] 반면 예과가 없었던 규슈제국대학과 도호쿠제국대학의 법문학부는 학생의 30% 이상에 달하는 수가 구제전문학교 출신으로 채워진 적도 있을 정도로 편차가 있었다.[14] 따라서 전문학교 졸업 후 제국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도호쿠, 규슈, 오사카, 나고야의 제국대학을 노려야 했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은 것이 구제고교 졸업(예정)자들의 지원 상황에 따라 구제전문학교 졸업생에게 배당되는 TO가 변동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제국대학을 제외한 관립 단과대학에서는 구제고교 졸업자와 동등하게 다뤄지거나, 구제전문학교 졸업생 전용 쿼터가 할당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오사카공업대학(구제)에서는 고등공업학교 졸업자와 구제고교 졸업자를 동등하게 취급하여 똑같은 입시를 치른 후 점수순으로 합격자를 결정했고, 고베상업대학에서는 고등상업학교 졸업자에게 구제고등학교 졸업자와 똑같은 만큼의 정원 쿼터가 주어졌다. 또 같은 구제전문학교를 나왔다 하더라도 관립학교 출신들에게는 일률적으로 응시 자격이 주어진 것에 반해서 사립전문학교들에 대해서는 각 대학에서 지정한 학교를 나온 사람에게만 입학시험 응시자격이 한정적으로 부여되는 등, 구제전문학교 졸업생의 진학 관련 제도는 복잡했다.

구제고등학교에서 구제대학으로 진학하는 경로에서는, 구제고교 3년 동안 자유학예 교양교육을 완성시키고 구제대학 3년간(구제 관립의과대학은 5년제로 대학예과에 해당하는 전기 2년과 의학부에 해당하는 후기 3년으로 구성) 전공교육을 파고들었다. 반면, 구제전문학교에서는 3년 과정 동안 교양 과목과 전공 과목을 병행하고 교수해야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구제전문학교의 교양교육은 전문과목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과목과 내용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구제고등학교의 그것보다 간소했다.

5. 전후 개편

GHQ에서는 일본 제국에 미국식 6-3-3-4 단선 학제를 도입하여 중등교육기관인 5년제 구제중학교를 신제중학교(3년)/고등학교(3년)로 분리했고, 구제전문학교(3~4년)와 구제고등학교(대학예과)→구제대학(6~7년) 코스로 나뉘어있던 종래의 고등교육기관을 수학연한 4년 이상의 신제대학으로 일원화하였다. 이에 따라 구제전문학교는 사실상 전부[15] 신제대학으로 인가 개편되었다.

광복 후 한국에서도 미군정에 의해 미국식 단선 학제가 도입되면서 경성제국대학예과, 기타 구제전문학교 등의 고등교육기관을 4년제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일원화한다는 구상이 1945년말 발표되었고, 1946년부터 한반도 소재 모든 구제전문학교가 대학으로 승격 인가를 받게되었다. 따라서 광복 전의 사립 전문학교는 모두 종합대학교로 곧바로 승격되거나 단과대학을 거치고서 승격되었으며, 1946년 10월 국립서울대학교가 발족됨에 따라 경성법학전문학교·경성공업전문학교·경성광산전문학교·경성의학전문학교·수원농림전문학교·경성경제전문학교·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등은 각각 서울대학교의 법과대학·공과대학·의과대학·농과대학·상과대학·치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16]

대만에도 종전 당시 고등교육기관으로 다이호쿠제국대학 및 그 예과다이호쿠고등학교[17] 외에도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타이베이), 다이주고등농림학교(타이중), 다이난고등공업학교(타이난) 등 구제전문학교들이 공존하고 있었다.[18]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19]는 대만성립법상학원을 거쳐 국립대만대학 법학원 상학계(現 국립대만대학 관리학원)로 흡수되었고, 다이주고등농림학교[20] 역시 대만성립농학원을 거쳐 국립중흥대학, 다이난고등공업학교[21]는 대만성립공학원을 거쳐 국립성공대학이 되면서 전부 4년제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었다.[22]

6. 종류(일본 본토소재)

아래는 전체 목록이 아닌 주요 관립전문학교(전문학교 인가순)

6.1. 의학전문학교

6.2. 고등공업학교

고등공업학교 문서 참조

6.3. 고등상업학교

고등상업학교 문서 참조

6.4. 고등농림학교

고등농림학교 문서 참조

6.5. 고등수산학교

6.6. 고등사범학교

사범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기관이었던 고등사범학교는 구제전문학교의 근거법령인 전문학교령(1903년)에 의거해 설립된 교육기관이 아니라 사범학교령(1886년)과 사범교육령(1897년)의 해석과 실행을 통해 설립 운영되었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지면 구제전문학교는 아니었으나 구제전문학교에 상응하는 교육기관으로 쳤다(상세내용 고등사범학교문서 참조)

6.7. 음악ㆍ미술전문학교

6.8. 여자전문학교

7. 외지 소재 학교

7.1. 조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관립 전문학교[37] 후신 인가연도[38] 소재지
경성의학전문학교
(京城醫學專門學校)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1916[39]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65 (연건동)[40]
경성고등공업학교
(京城高等工業學校)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916[41]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동숭동)[42]
수원고등농림학교
(水原高等農林學校)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1918[43]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 (서둔동)[44]
경성법학전문학교
(京城法學專門學校)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1922[45]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64 (동숭동)[46]
경성고등상업학교
(京城高等商業學校)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1922[47]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로 36 (종암동)[48]
경성광산전문학교
(京城鑛山專門學校)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1939[49]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공릉동)[50]
부산고등수산학교
(釜山高等水産學校)
부경대학교 1941[51]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대연동)[52]
평양공업전문학교
(平壤工業專門學校)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1944[53] 평양시 중구역 보통문인근[54]
대구농업전문학교
(大邱農業專門學校)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1944[55]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10 (수성동2가)[56]
공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57] 소재지
평양의학전문학교
(平壤醫學專門學校)
김일성종합대학
평양의학대학
1933[58] 평양시 중구역 동흥동
대구의학전문학교
(大邱醫學專門學校)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1933[59]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680 (동인동2가)[60]
함흥의학전문학교
(咸興醫學專門學校)
함흥의학대학 1944[61] 함경남도 함흥시 이화동
광주의학전문학교
(光州醫學專門學校)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1944[62] 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63]
사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64] 소재지
연희전문학교
(延禧專門學校)
연세대학교 1917[6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セブランス聯合醫學專門學校)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917[66]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남대문로5가)[67]
보성전문학교
(普成專門學校)
고려대학교 1921[68]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안암동5가)[69]
숭실전문학교
(崇實專門學校)
숭실대학교 1925[70] 평양시 중구역 보통문 인근[71]
이화여자전문학교
(梨花女子專門學校)
이화여자대학교 1925[7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73]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
(京城齒科醫學專門學校)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1929[74]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남대문로3가)[75]
경성약학전문학교
(京城藥學專門學校)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930[76]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9길 40 (을지로6가)[77]
혜화전문학교
(惠化專門學校)
동국대학교 1930[78]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 63 (명륜1가)[79]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京城女子醫學專門學校)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38[80]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65 (명륜2가)[81]
대동공업전문학교
(大東工業專門學校)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1938[82] 평양시 중구역 보통문인근
숙명여자전문학교
(淑明女子專門學校)
숙명여자대학교 1938[83]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청파동2가)[84]
명륜전문학교
(明倫專門學校)
성균관대학교 1939[85]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86]

7.2. 대만

관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87] 소재지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
(臺北高等商業學校)
국립대만대학 관리학원 1919[88] 타이베이시 중정구 서주로(徐州路) 21[89]
다이호쿠의학전문학교
(臺北醫學專門學校)
국립대만대학 의학원 1919[90] 타이베이시 중산구 인애로(仁愛路一段) 1호[91]
다이주농림전문학교
(臺中高等農林學校)
국립중흥대학 1919[92] 타이중시 남구(南區) 흥대로(興大路) 145호
다이난고등공업학교
(臺南高等工業學校)
국립성공대학 1931[93] 타이난시 동구(東區) 대학로(大學路) 1호[94]
사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95] 소재지
다이호쿠여자전문학교
(臺北女子專門學校)
없음(폐교) 1944[96] 타이베이시 중정구 남해로(南海路) 58호[97]

7.3. 관동주

관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98] 소재지
대련고등상업학교
(大連高等商業學校)
없음(폐교) 1941[99] 랴오닝성 다롄시 중산구 승리로(勝利路) 84
여순의학전문학교
(旅順醫學專門學校)
없음(폐교) 1942[100] 랴오닝성 다롄시 뤼순커우구 황하로(黃河路) 107
사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101] 소재지
남만주공업전문학교
(南滿州工業專門學校)
없음(폐교) 1922[102] 랴오닝성 다롄시 중산구(中山區) 중산로(中山路)[103]
대련여자의학전문학교
(大連女子醫學專門學校)
없음(폐교) 1945[104] 랴오닝성 다롄시 뤼순커우구 중산구(中山區) 해방가(解放街) 6호[105]

7.4. 가라후토

관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106] 소재지
가라후토의학전문학교
(樺太醫學專門學校)
없음(폐교) 1943[107] 사할린 주 유즈노사할린스크 체호프가(улица чехова) 41к2[108]

8. 해외 소재 학교

사립 전문학교 후신 인가연도[109] 소재지
하얼빈학원
(ハルビン學院)
없음(폐교) 1920[110]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북경흥아학원
(北京興亞學院)
없음(폐교) 1941[111] 베이징시
남양학원
(南洋學院)
없음(폐교) 1942[112] 호치민시

9. 둘러보기


[1] 1903년 4월 1일 시행[2] 최소수학연한이 3년이었기 때문에 3년제와 4년제가 혼재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보성전문학교는 3년제, 연희전문학교는 4년제였다.[3] 구제고등학교, 대학예과 등의 전기 고등교육기관은 현재 영국의 식스폼 또는 싱가포르/말레이시아의 주니어 칼리지와도 유사하나, 식스폼과 JC는 모두 후기 중등교육기관으로 분류된다.[4] 실제로 구 학제에서는 석사라는 학위가 따로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5년과정 석사 학위로 구성되있는 유럽학제와 비슷하다고 볼수있다. 박사 역시 학사 칭호와 마찬가지로 학술 칭호로서, 대학원에서 2~3년(학사인 경우) 또는 5~6년(의학전문학교 출신의 경우) 연구생 과정을 마치고 나서도 학계에서 경력을 쌓은 자에게 명예로 부여되는 영예로운 호칭이었다. 현재도 영국, 독일, 러시아 등 유럽과 유럽식 학제를 채택한 국가에서는 여전히 이런 방식의 학제를 취하고 있는 곳이 있다.[5]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803312_STD.jpg 독일의 종합대학(Universität, 우니베르지텟)은 이론 중심 교육을 실시하며 졸업 후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학계에서 일하게 된다. 반면 전문대학(Hochschule, 호흐슐레)은 실기 중심 교육을 통해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하며, 한국의 전문대학과 달리 종합대학과 같은 등급의 학위를 받을 수 있다. 실제로 독일은 상당수의 공과대학(Technische Hochschule)과 대부분의 음악대학(Musikhochschule), 미술대학(Kunsthochschule) 등이 별도의 전문대학으로 분리되어 있다. 심지어 한국에서 유명한 아헨 공대도 전문대학으로 분류된다.[6] 대학령 제9조: (1) 학부에 입학할 수 있는 자는 당해대학 예과를 수료한 자, 고등학교 고등과를 졸업한 자 그리고 문부대신이 정한 바에 의거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인정받은 자로 한다. (2) 입학 순위에 관한 규정은 문부대신이 정한다.[7] 일제강점기 내지의 사립대학 학부를 졸업한 조선인 유학생들의 회고록에 따르면 '해당 대학의 유학생 모임이 있다고 해서 갔더니 100명 중 2~3명을 빼고 전부 전문부 과정생이더라'고 할 정도로 대학 재적생 중에 학부생은 극소수였고 대다수는 전문부 과정에 다니던 사람들이었다고 한다.[8] 예과가 없는 제국대학에서는 문과계열 학부는 구제고등학교 문과 졸업자를 1순위, 이과계열 학부에서는 구제고등학교 이과 졸업자를 1순위로 하였고, 예과가 설치된 제국대학에서는 해당 예과 수료생을 그보다 선순위로 입학시켰다. 1순위에서 지원자 수가 정원을 초과하면 해당 지원자들만을 대상으로 입학 시험을 실시했고, 1순위 지원자 수가 정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지원자가 전원 합격하고, 결원에 대해 2순위 이하를 모집했다. 학력에 따른 2순위 이하의 우선순위 결정 방법은 각 대학, 학부마다 달랐는데 대부분의 경우, 2순위 이하에 "고등 학교 졸업 이외의 학력의 사람"이 지정되며 이로 인한 입학한 자는 "방계 입학자"로 불렸다고 한다.[9] 규슈대학 100년사를 참조하면 1925년 규슈제국대학 법문학부의 제1회 신입생 모집은 2월 15일에 마감된 1차 모집에서 구제고등학교 졸업자 및 학사 소지자(제국대학 졸업자)의 지원을 받아 우선입학자로 결정해 놓고, 결원에 대해 3월 31일까지 실시된 2차 모집에서는 구제고등학교와 함께 구제전문학교 졸업자에게도 지원자격을 부여해 미달을 전부 채웠다고 한다(2차 모집 경쟁률 2.5:1).[10] 홋카이도제국대학의 학부는 1순위로 홋카이도제국대학 예과 수료자, 2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이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이과 졸업자, 3순위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 문과 졸업생 및 가쿠슈인 고등과 문과 졸업자 순서로 입학을 허가했고, 이후에도 결원이 있는 경우에 4순위로 고등사범학교 및 여자고등사범학교 이과 졸업생, 5순위로 기타 구제전문학교 졸업생으로 자격검정시험 합격자, 마지막 6순위로 구제중학교 교원면허소지자로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한 자를 입학시켰다.[11] 경성제국대학 대학규정에 따르면 경성제대 학부는 예과수료자를 먼저 입학시킨 뒤(제4조), 예과 수료자를 입학시키고 남은 결원이 있을 경우 1순위로 구제고등학교 및 가쿠슈인 고등과의 문과 수료자로 법문학부에 지원한 자, 이과 수료자로 의학부 및 이공학부에 지원한 자를 입학시키고(제5조 1) 수용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선발시험을 행할 수 있으며, 그래도 결원이 남는 경우 2순위로 법문학부 선과생 및 선과수료자, 공/사립대학 예과, 고등사범학교, 여자고등사범학교, 고등상업학교, 외국어학교 및 동등 이상의 학교 졸업자로서 학부에서 적당하다고 판단하는 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학력검정시험의 합격자를 입학시켰다(제5조 2).[12] 다이호쿠제국대학 학부 역시 1941년 예과를 설치한 후에는 홋카이도제국대학 및 경성제국대학과 동일하게 자교 부속 예과 수료자의 지망을 받고 나서 결원이 발생해야 구제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입학시험을 시행했으며, 그리고 난 다음에도 결원이 남은 경우에만 학력검정시험을 거쳐 방계 입학생을 받았는데, 모집정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도 학생을 선발하지 않은 경우도 많아서 문정학부는 학과의 신입생이 1~2명 혹은 없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13] 경성제국대학의 경우 1938년 당시 학부에 재학 중인 361명(법문학부 147명, 의학부 214명)의 출신학교를 조사한 결과 경성제대 예과 출신이 319명(법문학부 137명, 의학부 182명), 내지 소재 구제고등학교 출신이 33명(법문학부 1명, 의학부 32명)이었으며(다만 이 해는 1934년 입학한 예과 11기부터 예과가 3년제로 개편되면서 1936년 예과 수료생이 없었기 때문에 의학부가 별도로 일본 내지에서 구제고등학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입시를 시행하여 학부 1학년을 충원했던 영향으로 구제고등학교 출신이 많은 것이다. 이 1936년 학부 진학생을 제외하면 내지 구제고교 출신 경성제대 학부 학생은 매해 한 자리 수에 불과했을 정도로) 구제전문학교 출신은 단 3명(그것도 의학부는 0명, 법문학부 중에서도 법과계 0명으로 3명 모두 문과계였다)으로 1% 미만에 불과했을 정도로 극소수였다.[14] 쇼와 15년(1940년) 각 제국대학 학생의 구제고교 졸업자 비율은 도쿄 96%, 교토 91.6%, 나고야 80.6%, 도호쿠 79%, 오사카 75.2%, 규슈 57.2%였다고 한다. 예과가 설치되어있었던 홋카이도는 4.4%였다.[15] 단기대학(전문대학)으로 개편된 2곳 및 폐교된 극소수 제외[16] 1949년에는 「교육법」이 제정, 공포되어 2년제 초급대학이 설치되었으며, 1963년에는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5년제 실업고등전문학교가 발족되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의 구제전문학교와 연결되지 않는다.[17] 1922년 대만총독부 고등학교(7년제)로 설립되어 1926년 다이호쿠고등학교로 개칭.[18] 1897년 다이호쿠병원 의학강습소로 설립되어 대만총독부 의학교(1899), 대만총독부 의학전문학교(1918)를 거쳐 1927년 개칭된 다이호쿠의학전문학교는 1936년에 이미 다이호쿠제국대학 부속 의학전문부로 흡수되었고, 종전 이후 학제개편 과정에서 구제전문학교와 구제대학 전문부가 신제대학으로 일원화될 때 국립대만대학 의학원에 완전히 통합되었다. 1919년 대만총독부 농림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922년 대만총독부 고등농림학교를 거쳐 1927년 개칭된 다이호쿠고등농림학교 역시 1928년 창설된 다이호쿠제국대학부속 농림전문부로 흡수되었는데, 전후 국립대만대학 농학원에 완전 통합되었다.[19] 1919년 대만총독부 고등상업학교로 설립되어 1926년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 1944년 다이호쿠경제전문학교로 개칭한 상태로 종전을 맞이함.[20] 다이호쿠제국대학 부속 농림전문부와 그 역사를 공유하는 학교로 1919년 대만총독부 농림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922년 대만총독부 고등농림학교를 거쳐 1927년 다이호쿠고등농림학교로 개칭, 1928년 다이호쿠제국대학이 창설되며 그 부속 농림전문부로 흡수되었는데, 다이호쿠제대에서 다시 1943년에 다이주고등농림학교로 독립하여 1944년 다이주농림전문학교로 개칭한 상태에서 종전을 맞는다.[21] 1919년 설립된 다이난고등상업학교가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와 중복된다고 판단하여 폐교시키고, 1931년 설립된 고등공업학교로 1944년 다이난공업전문학교로 개칭한 상태에서 종전을 맞이했다.[22] 참고로 구제전문학교가 아닌 대학 트랙 학교들을 보면 1941년 다이호쿠제국대학에 부설된 예과는 1945년 12월 국립대만대학으로 개편되는 과정에서 학부로 완전히 흡수되었고, 구제고등학교인 다이호쿠고등학교는 국립대만대학에 흡수되지 않고 대만성립사범학원(1946), 대만성립사범대학(1955), 국립대만사범대학(1967)으로 개편되면서 사범대학이라는 별도의 고등교육기관으로 발전해나갔다.[23] 1870년 설치된 오카야마번 의학관이 1880년 오카야마현 의학교로 개편. 1888년 제3고등중학교 의학부, 1894년 제3고등학교 의학부로 흡수되었다가 1901년 구제고등학교의 전문학과 분리로 오카야마의학전문학교로 독립. 1922년 관립대학인 오카야마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신제 오카야마대학으로 통합.[24] 1873년 개설된 사립 니가타병원이 1876년 현립 니가타병원, 1879년 니가타의학교 부속병원, 1889년 시립 니가타병원으로 개편되었고 이를 모체로 1901년 관립 니가타의학전문학교를 설립. 1922년 관립대학인 니가타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신제 니가타대학으로 통합.[25] 1862년 설립된 카가번 종두소를 기원으로 하는 1870년 카가번 의학관이 1873년 가나자와병원이 되며, 1879년 현립의학교로 문부성 인가를 받은 가나자와의학교는 1887년 제4고등중학교 의학부가 되어 관립으로 이관되었으며 1894년 제4고등학교 의학부를 거쳐 1901년 구제고등학교의 전문학과 분리 당시 의학과/약학과로 구성된 가나자와의학전문학교로 독립. 1923년 관립대학인 가나자와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가나자와대학으로 통합.[26] 막부로부터 의학으로가르쳐달라는 의뢰를 받은 네덜란드군 군의관에 의해 1857년 나가사키봉행소 서역소에 설립된 의학전습소를 기원으로 한다.(현재 나가사키대학 의학부의 개교기념일) 1861년 양생소가 개원하여 막부의 핵심 병원 역할을 했으나 메이지유신 이후인 1868년 나가사키부 의학교로 개칭된 후 부침을 거쳐 1877년 현립 나가사키의학교로 개편되었다. 1887년 다시 관립으로 이관되면서 제5고등중학교 의학부가 되었으며 1890년 약학과를 설치하고, 1894년 제5고등학교 의학부를 거쳐 1901년 구제고등학교의 전문학과 분리 당시 나가사키의학전문학교로 독립. 1923년 관립대학인 나가사키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나가사키대학으로 통합.[27] 1874년 설립된 치바현 공립병원을 모체로 1882년 설립된 현립 치바의학교가 1887년 제1고등중학교 의학부가 되어 관립으로 이관되었으며 1894년 제1고등학교 의학부를 거쳐 1901년 구제고등학교 전문학과를 분리할 당시 치바의학전문학교로 독립. 1923년 관립대학인 치바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치바대학으로 통합.[28] 1943년 3월 30일 쇼와 18년 칙령 제249호에 의거 설립. 1948년 마에바시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군마대학으로 통합.[29] 1944년 3월 29일 쇼와 19년 칙령 제165호에 의거 설립. 1948년 마츠모토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신슈대학으로 통합.[30] 1944년 3월 29일 쇼와 19년 칙령 제165호에 의거 설립. 1947년 히로사키시로 이전. 1948년 히로사키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히로사키대학으로 통합.[31] 1944년 설립. 1928년 일본 10월 일본 최초의 관립 치의학교로 설립된 도쿄고등치과의학교에 1944년 4월 의학과가 추가되어 도쿄의학치학전문학교(東京医学歯学専門学校)로 승격.[32] 1945년 3월 27일 쇼와 20년 칙령 제131호에 의거 설립. 1948년 요나고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돗토리대학으로 통합.[33] 1943년 2월 26일 전문학교령에 의거 도쿠시마현립(공립) 도쿠시마의학전문학교로 창설, 1945년 4월 쇼와 20년 문부성령 제5호에 의거 관립으로 이관. 1948년 도쿠시마의과대학을 거쳐 1949년 도쿠시마대학으로 통합.[34] 삿포로농학교가 전신으로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 (부설) 수산학과와 홋카이도제국대학 부속 수산전문부를 거쳐 1935년 하코다테고등수산학교로 분리독립. 1944년 하코다테수산전문학교.[35] 수업연한 4년에 어로학과, 제조학과, 양식학과 3개과로 구성. 1944년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되고 1945년 4월 수업연한 5년의 원양어업과를 설치[36] 부산고등수산학교의 일본인 재학생들을 도쿄 수산강습소(현 도쿄해양대학)로 전학시키던 농림성은 부산과 연계가 강하고 수산업과 해운업이 성행한 지역이면서 일본인 학생 상당수가 해당지역 출신이라는 점에 착안해 시모노세키에 1946년 수산강습소 시모노세키 분소를 설치했으며 1947년에는 도쿄의 수산강습소를 제1수산강습소로 삼고 시모노세키 분소를 제2수산강습소로 승격시켰다. 제1수산강습소는 1949년 도쿄수산대학으로 승격했으나 1950년 신제대학 전환심사에 통과한 제2수산강습소는 야마구치대학 수산학부가 되라는 문부성의 방침을 거부하고 농림성 소속으로 계속 남아있다가 1963년 수산대학교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문부성 이외 기관에서 직할하는 대학에만 '대학교'의 이름을 쓰기 때문에 수산대학이 아니라 수산대학교가 된 것이다.[37] 조선총독부제학교관제(1944.4.6) 참조.[38]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39] 1899년 대한제국 관립의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09년 대한의원 의육부, 1910년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를 거쳐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가 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개편될 때 의과대학 전문부로 흡수되었다. 참조.[40] 현재 KT 혜화타워 및 홍익대학교 대학로캠퍼스 자리이다.[41] 1899년 대한제국 한국상공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04년 농상공학교가 되었다. 1907년 농상공학교 공과가 경성공업전습소가 되었으며, 1916년에 경성고등공업학교로 승격되었다. 1944년 경성공업전문학교가 되었고,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42]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자리이다.[43] 1904년 대한제국 농상공학교로 설립되었으며, 이 중 농과가 1906년 농림학교로 독립하였다. 1910년 조선총독부 농림학교가 되었으며, 1918년 수원농림전문학교로 승격했다. 1922년에 수원고등농림학교로 개칭하였으나 1944년 다시 수원농림전문학교가 되었고, 해방 이후 1946년 수원농과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44] 현재 경기도업사이클플라자 자리이다. 2003년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이 있었다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였다.[45] 1895년 대한제국 법관양성소로 설립되었으며, 1909년 한성법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11년 경성전수학교가 되었다. 1922년 경성법학전문학교로 승격하였고,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46] 현재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여자중학교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자리이다.[47] 구 한국 농상공학교에도 상업전문과가 있었으나, 개별 전문학교로 발전한 농과, 공과와 달리 상과는 일제의 상업 억제 정책으로 인해 독자적인 전문학교로 발전하지 못하고 농상공학교 폐지와 함께 모든 시설 등이 신규 설립된 선립상업학교로 이관되었다. 이와 별도로 1907년 설립된 사립 동양협회 전문학교 경성분교가 1915년 동양협회 식민전문학교 경성분교로 개칭하였고, 1918년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로 독립하였다. 1920년 조선총독부, 조선은행, 남만주철도 3자가 출자한 재단법인 소속의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를 거쳐 1922년 조선총독부에 인수되어 관립 경성고등상업학교가 되었다. 1944년 경성경제전문학교가 되었으며,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48] 현재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자리이다.[49] 1916년 설립된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과를 모체로 하며, 1939년 경성광산전문학교로 독립하였다. 해방 이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흡수되었다.[50]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리이다.[51] 부산고등수산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44년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46년 5월 15일 국립부산대학교 설립의 모체가 되어 부산대학교 수산학부로 개편되었으나, 신설된 인문학부에 대해 모체인 수산학부가 가지고 있던 우월감 및 상호 이질성으로 인해 갈등을 겪다 수산학부가 다시 부산수산대학으로 독립하였고, 1961년 군사정권에 의해 다시 부산대학교와 강제 통합하였다가 1963년 부산수산대학으로 재차 독립하였다(부산대학교/역사 참조). 1996년 부산공업대학교와 통합하여 부경대학교가 되었다.[52] 현재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자리이다.[53] 폐교된 숭실전문학교의 자산을 대동학원이 인수하여 설립한 대동공업전문학교를 모체로 하며, 1944년 조선총독부로 이관되어 관립 평양공업전문학교가 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평양의학전문학교와 함께 김일성종합대학을 만드는 데 모체가 되었다. 1948년 평양공업대학으로 다시 분리되었고, 1951년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4] 숭실전문학교, 대동전문학교와 같은 자리이다.[55] 대구농업전문학교로 설립되었으며, 해방 이후 1946년 대구농과대학을 거쳐 1951년 경북대학교에 흡수되었다.[56] 현재 대구은행 본점 자리이다.[57]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58] 1905년 4월 동인회 파견 평양의학교가 시초로 평양동인의원 부속 의학교에사 교육이 이뤄지다가 1911년 폐교되었다. 이후 다시 자혜의원 의학강습회를 모체로 1923년 평안남도 지방비로 운영되는 도립 의학강습소가 창설되었고, 1929년부터 전개된 평양의전 설립운동 결과 1933년 예산은 도에서 지방비로 충당하되 교수진 인선 등 인사는 총독부 학무국에서 하는 공립 평양의학전문학교가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평양의과대학이 되었다가 1946년 김일성종합대학 의학부로 흡수되었다. 1948년 평양의학대학으로 독립하으나, 2010년 다시 김일성종합대학 내의 단과대학이 되었다가 2019년 재차 독립하였다.[59] 1923년 대구자혜의원 의학강습소가 창설되어 1924년 4월 경상북도 도립 대구의학강습소를 거쳐 1929년 경상북도 도립의학강습소가 되었다. 평양의전과 함께 1933년 3월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고, 1945년 대구의과대학이 되었으며 1951년 경북대학교에 흡수되었다.[60] 현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자리이다.[61] 2차대전에 따른 군의관 충원을 목적으로 함흥의 함남도립의원과 연계해 1944년 공립 함흥의학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함흥의과대학이 되었고 1960년 함흥의학대학으로 이름을 바꿨다.[62] 군의관 충원을 위해 광주의 전남도립의원과 연계하여 1944년 공립 광주의학전문학교로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광주의과대학을 거쳐 1952년 전남대학교에 흡수되었다.[63] 현재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자리이다. 1948년 학동으로 이전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64]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65] 의과대학을 제외한 연세대학교의 직접적인 전신은 1915년 설립된 YMCA 내의 조선기독교대학이다. 1917년 4월 총독부 학무국의 인가를 받아 연희전문학교로 출범하였다. 대전 말기인 1944년 일본 제국의 법문계 학교를 이공계/실업계로 전환한다는 지침에 따라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가 광복 후 연희전문학교로 복원되었다. 광복 이후인 1946년 신제 연희대학교로 개편되었고, 1957년 세브란스의과대학과 통합하여 연세대학교가 되었다.[66] 의학전문학교 인가는 1922년. 광혜원제중원을 모체로 하며, 1899년 제중원의학교가 되었다. 1909년 세브란스의학교에 이어 1913년 세브란스연합의학교로 개편하고, 1917년 5월 14일 재단법인을 인가받아 '사립학교 규칙'에 준거한 사립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가 되었다. 1922년 5월 조선총독부로부터 의학전문학교로 인가받아 5월 15일을 개교기념일로 지정했다. "연세의사학" 제20권 1호에 실린 신규환(연세의대 의사학과)의 논문 '일제시기 '의전체제'로의 전환과 의학교육' 18~20쪽 참조. 구제전문학교로 지정된 후 1923년 졸업생부터는 조선 내에서 의사로 개업할 수 있는 조선총독부의 의사면허가 주어졌고, 1934년 4월 10일에는 내무성의 인가를 받아서 이후 졸업생부터는 관공립의학전문학교와 마찬가지로 일본 제국 어디서든 의사로 활동할 수 있는 의사 면허가 발급되었다. 태평양전쟁 개전 후 적국이 되어버린 영미의 영향을 사회로부터 일소하는 과정에서, 1942년 미국식 영어 이름을 제거하고 아사히의학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가 1945년 해방 후 세브란스의과대학을 칭했으며 구제 의전에서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57년 연희대학교와 합병하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 되었다.[67] 현재 연세세브란스빌딩 자리이다.[68] 1905년 충숙공 이용익이 보성전문학교로 설립하였으며, 1915년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규칙이 시행됨에 따라 보성법률상업학교로 교명이 격하되었다. 이후 천도교 총부의 손병희에 인수되어 전문학교 승격 노력 끝에 1921년 보성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일제에 의해 1944년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개편되면서 법과는 척식과로, 상과는 경제과로 바뀌었다가 해방 후 1945년 9월 보성전문학교로 교명을 환원하고 각각 정법과와 경상과로 개칭하였다. 1946년 정법대학, 경상대학, 문과대학의 3개 단과대학에 8개 학과로 편성된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며 고려대학교로 교명을 개칭하였다.[69] 본래 이용익의 설립 당시에는 종로구 조계사 자리에 보성중학교, 보성고등학교와 함께 있었으나, 인촌 김성수가 보성전문학교만 인수한 이후 안암동5가로 확장 이전하였다.[70] 1897년 평양에서 숭실학당으로 설립되었으며, 1906년 대학부를 설치하였다. 1907년에는 합성숭실대학(대학 미인가)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고등보통학교 신청을 거부하고 각종학교(各種學校) 또는 잡종중등학교(雜種中等學校)로 남아있다가 1925년 3월 숭실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38년에는 종교적인 이유로 신사 참배를 거부하고 자진 폐교하였으며, 남은 자산은 대동전문학교와 대동학원에 인수되었다. 6.25 전쟁이 끝나자 영락교회 한경직 목사 등 졸업생들과 교직원들에 의해 1954년 서울에서 재건되었다.[71] 현재 숭실대학교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상도동)에 있다.[72] 1886년 세워진 이화학당을 모체로 하며 1925년 12월부 이화학당 대학부가 전문학교로 인가받아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46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73] 1935년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등과 재단이 분리되어 정동에서 신촌으로 이전하였다.[74] 1922년 경성치과의학교로 설립, 1929년 전문학교로 승격[75] 1969년까지 후신인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이 있었다가 연건동으로 이전하였고, 현재는 한국은행 부지가 되어 있다.[76] 1915년 조선약학강습소로 설립, 1930년 전문학교로 승격[77] 현재 서울시 중구 구민회관 자리이다.[78] 1906년 명진학교로 설립되었으며, 1930년 중앙불교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1940년 혜화전문학교로 개칭하였으며, 6.25 전쟁 이후 동국대학교로 승격되었다.[79] 본래 현재 서울창신초등학교 자리의 원흥사에서 개교하였으며, 명륜1가 1번지로 이전하여 보성고등보통학교 등과 함께 있었다. 해방이 되자 1947년 현재 자리인 필동으로 이전하였다. 명륜동 자리는 보성고등학교의 송파구 이전 이후 서울과학고등학교에서 사용 중이다.[80] 1928년 조선여자의학강습소로 설립되었으며, 1938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로 인가받았다. 1948년 서울여자의과대학으로 승격, 1957년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며 수도의과대학으로 개칭, 1966년 국학대학 인수합병 후 종합대학 우석대학교로 개편되었다. 우석대학교 의과대학은 1971년 학교법인 우석학원과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의 합병으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이 되었다.[81] 1991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이 안암동으로 이전하면서 아파트가 세워졌다.[82]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1937년 10월 폐교원을 제출하여 1938년 3월 폐교된 숭실전문학교의 건물, 부지 등의 자산 및 교수진 등을 광산왕 이종만의 대동학원이 인수하여 1938년 6월 총독부의 인가를 받았다. 대동콘체른의 파산으로 대동학원 역시 1943년 공중분해되면서, 대동공업전문학교는 1944년 조선총독부 소관의 관립 전문학교로 이관되어 평양공업전문학교가 되었다. 평양공전은 해방 후 1946년 김일성종합대학을 구성하면서 그 공학부가 되었다. 이후 1948년 평양공업대학으로 분리되었으며, 1951년 김책공업종합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83] 1906년 순헌황귀비 엄씨가 명신여학교로 설립하였으며, 1938년 숙명학원에서 모금운동을 통해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설립한 데 이어 1938년 12월 숙명여자전문학교 설립을 인가받고 1939년 4월 개교하였다.[84] 명신여학교 당시에는 용동궁 자리에 있다가 1938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85] 1398년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하며 성균관으로 설립했으며,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 의해 경학원(經學院)이 되면서 교육기능이 폐지되고 규모도 축소되었다. 그러나 1930년 경학원 내에 명륜학원(明倫學院)을 설립하였고, 1939년 이 명륜학원이 총독부의 인가를 얻어 명륜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86] 성균관이 그대로 남아있다.[87]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88] 1919년 4월 1일 다이쇼 8년 칙령 제61호 대만총독부고등상업학교관제(臺灣總督部高等商業學校官制)에 의거 설립. 이와 함께 1919년 타이난에 설립된 대만총독부상업전문학교(臺灣總督部商業專門學校)가 1926년 8월 다이난고등상업학교(臺南高等商業學校)로 개칭하자 대만총독부고등상업학교는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臺北高等商業學校)로 교명을 바꾸고, 1929년 3월 다이난고등상업학교를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 다이난분교(臺南分校)로 흡수, 1930년 3월 다이난분교 폐쇄. 1944년 다이호쿠경제전문학교(臺北經濟專門學校)로 개칭하고 중화민국 접수 후 1946년 9월 대만성립법상학원(臺灣省立法商學院)이 되었다가 1947년 국립대만대학 법학원에 접수되어 상학계(國立臺灣大學 法學院 商學系)를 구성, 1987년 법학원에서 분리되어 국립대만대학 관리학원으로 독립.[89] 국립대만대학 사회과학원(=사회과학대학)이 공관캠퍼스로 이전하기 전까지 사회과학원 캠퍼스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국립대만대학 인문사회고등연구소가 위치해있다.[90] 1897년 다이호쿠병원 의학강습소(臺北病院醫學講習所)로 개설되어 1899년 개편된 대만총독부의학교(臺灣總督部醫學校)를 모체로 1919년 4월 1일 다이쇼 8년 칙령 제62호 대만총독부의학전문학교관제(臺灣總督部醫學校官制)에 의거 설립 인가. 1927년 다이호쿠의학전문학교(臺北醫學專門學校)로 개칭되었고 1936년 다이호쿠제국대학 의학부 설치의 모체가 되어 부속 의학전문부로 흡수.[91] 현재 국립대만대학 의학인문박물관 건물로 사용 중.[92] 1919년 4월 19일 농업과, 임업과로 구성된 대만총독부농림전문학교로 개교하여, 1922년 대만총독부고등농림학교를 거쳐 1927년 다이호쿠고등농림학교로 개칭. 1928년 설립된 다이호쿠제국대학 이농학부 농학계열의 모체가 되어 부속 농림전문부로 흡수(다이호쿠고등농림학교 교사는 현재 국립대만대학 본부건물(행정대루, 行政大樓)로 사용 중). 이 부속 농림전문부는 1942년 4월 다이호쿠제국대학에서 독립하여 1943년 10월 농업과, 임업과, 농예화학과로 구성된 다이주고등농림학교로 독립. 중화민국 접수 후 1946년 대만성립농학원(臺灣省立農學院), 1961년 대만성립중흥대학(臺灣省立中興大學)을 거쳐 1971년 국립중흥대학.[93] 1919년 설립된 대만총독부상업전문학교가 1926년 다이난고등상업학교(臺南高等商業學校)를 거쳐 1929년 다이호쿠고등상업학교로 흡수되어 1930년 폐교된 후, 타이난에는 1931년 1월 15일 쇼와 6년 칙령 제2호로 다이난고등공업학교(臺南高等工業學校)가 설립되었다, 1944년 다이난공업전문학교(臺南工業專門學校)로 개칭했고, 종전 후 중화민국에 접수되어 1946년 대만성립공학원(臺灣省立工學院), 1956년 대만성립성공대학(臺灣省立成功大學), 1971년 국립성공대학이 되었다.[94] 현재 국립성공대학 박물관 건물로 사용 중.[95]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96] 1931년 4월 설립된 사립 다이호쿠여자고등학원의 시설을 활용하여 1944년 설립. 종전 후 중화민국에 접수되어 1946년 폐교.[97]타이베이시국어실험국민소학(臺北市國語實驗國民小學).[98]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99] 1936년 11월 17일 사립 고등상업학교로 설립되어 1941년 4월 2일 쇼와 16년 칙령 제366호 대련고등상업학교관제에 의거 관동주청으로 관립 이관되었다. 1944년 대련경제전문학교(大連經濟專門學校)로 개칭되었으며 1945년 8월 소련군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만주가 점령당한 후 1946년 5월 폐교되었다. 사진https://www.baguadi.com/articles/N4PDMVH5.html 참조.[100] 1900년 제정 러시아 시대 여순에 건설된 적십자병원이 러일전쟁 이후 일본적십자사 만주위원부에 접수되어 1907년 2월 일본적십자사관동주병원으로 개칭되었고 동년 11월 관동도독부로 이관되어 여순의원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1921년 9월 증축을 거쳐 1922년 5월 관동주청 여순병원으로 확장되었다(#1, #2참조). 1937년 7월 여순병원 부속으로 여순의학교(旅順醫學校)가 설치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1942년 여순의학전문학교(旅順醫學專門學校) 승격이 인가되었다. 1945년 8월 소련군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점령당한 후 폐교되었다.[101]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102] 1911년 5월 대련공업실무학교(大連工業實務學校)로 설립되어 1922년 구제전문학교로 승격 인가되었다. 1945년 8월 소련군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점령당한 후 폐교되었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대련이공대학 화공학원으로 사용되었다. #1, #2 참조.[103] 현재는 재개발된 것으로 추정. 링크 참조.[104]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대련병원(大連病院)에 설립되었다. 1945년 8월 소련군만주 전략 공세 작전으로 점령당한 후 폐교.[105] 현재 다롄대학 부속 중산의원으로 사용 중.[106]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107] 1941년 8월 30일 가라후토청 도요하라의원 내에 설치된 부설 의학강습소(豊原醫院附設醫學講習所)를 근간으로 1943년 4월 가라후토의학전문학교(樺太醫學專門學校)로 승격. 1945년 4월 문부성 소관으로 변경되었으며 1945년 8월 11일 시작된 소련군의 침공을 받아 점령당해 사실상 폐교되었고, 문부성 방침에 따라 내지로 귀환한 학생들은 홋카이도제국대학 부속 의학전문부로 편입 조치되었다. 행정적 폐교는 국립학교설치법이 시행되는 1949년.[108] 가라후토의학전문학교가 설립된 도요하라의원 부지로 현재는 유즈노사할린스크의 러시아 군병원(военный клигический госпиталь)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글지도 참조.[109] 전문학교령에 따른 구제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은 연도[110] 1907년 발족한 러일협회에 의해 하얼빈시에 일로협회학교(日露協會學校)로 설립되어 1932년 4월 하얼빈학원으로 개칭한 외무성 소관의 구제전문학교이다. 1940년 3월 만주국으로 이관되어 만주국의 국립대학인 만주국립대학 하얼빈학원(滿洲國立大學ハルピン學院)이 되었다. 만주국립대학 하얼빈학원은 1945년 8월 만주국 멸망 후 해산되었다.[111] 1903년 세워진 어학원을 기초로 1939년 북경동문학회(北京同文學會)에 의해 북경흥아학원이 설립되었으며 고등상업학교에 준하는 학과 과정으로 1941년 구제전문학교 인가를 받았다. 1943년부터는 동아동문회(동아동문서원 참조)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1944년 북경경제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가 1945년 8월 일본제국 패망 후 폐교되었다.[112] 남방 작전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점령한 일본은 인도차이나 경영을 위해 베트남어, 프랑스어, 농업, 경제 등을 교육하는 남양학원(프랑스어로 Institut Nanyo-Gakuin)을 재단법인 남양협회에서 설립하고 문부성외무성이 공동 관리하며 지원했다. 1945년 8월 14일 일제의 항복 예고에 따라 폐교되어 학생들은 내지의 구제전문학교로 전학조치되었고, 1946년 최종적으로 행정 폐교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