待 기다릴 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彳,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タイ | ||||||
일본어 훈독 | ま-つ | ||||||
- | |||||||
표준 중국어 | dāi, dà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待는 '기다릴 대'라는 한자로, '기다리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기다리다 |
음 | 대 | |
중국어 | 표준어 | dài, dài |
광동어 | doi6 | |
객가어 | thoi, thai | |
민동어 | dâi[文] / dô̤i[白] | |
민남어 | tāi[文], tài[文1] / tē[白] | |
오어 | de (T3) | |
일본어 | 음독 | タイ |
훈독 | ま-つ | |
베트남어 | đại |
유니코드에는 U+5F8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GDI(竹人土木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彳(두인변)과 소리를 나타내는 寺(절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기대(期待)
- 냉대(冷待)
- 대기(待機)
- 대령(待令)
- 대망(待望)
- 대명(待命)
- 대우(待遇)
- 대접(待接)
- 대피(待避)
- 대합실(待合室)
- 박대(薄待)
- 초대(招待)
- 우대(優待)
- 응대(應待)
- 접대(接待)
- 존대(尊待)
- 천대(賤待)
- 초대(招待)
- 하대(下待)
- 학대(虐待)
- 홀대(忽待)
- 환대(歡待)
3.2. 고사성어/숙어
- 갈민대우(渴民待雨)
- 객인환대(客人歡待)
- 고대고대(苦待苦待)
- 문전박대(門前薄待)
- 석고대죄(席藁待罪)
- 세월부대인(歲月不待人)
- 수인사대천명(修人事待天命)
- 수주대토(守株待兔)
- 시각대변(時刻待變)
- 악언상대(惡言相待)
- 안면박대(顔面薄待)
- 의마가대(倚馬可待)
- 이일대로(以逸待勞)
-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 장립대령(長立待令)
- 장립대명(長立待命)
- 좌이대단(坐以待旦)
- 좌이대사(坐而待死)
-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 진인사이대천명(盡人事而待天命)
- 차별대우(差別待遇)
- 침과대단(枕戈待旦)
- 침과대적(枕戈待敵)
- 침과이대(枕戈以待)
- 하대명년(何待明年)
- 하대세월(何待歲月)
- 학수고대(鶴首苦待)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𥩳(기다릴 대)
- 時(때 시)
- 侍(모실 시)
- 恃(믿을 시)
- 詩(시 시)
- 𩶬(준치 시)
- 鼭(쥐 이름 시)
- 㭙(망치 적)
- 俦(무리 주)[6]
- 持(가질 지)
- 洔(섬 지)
- 跱(그칠 치)
- 𪗺(되새김질해서 먹을 치)
- 歭(머뭇거릴 치)
- 䝰(모을 치)
- 秲(벼 이름 치)
- 峙(언덕 치)
- 畤(제사터 치)
- 特(특별할 특)
- 𥹩(치)
- 𠱾
- 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