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2:53:30

김달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303, #DB1F26 20%, #DB1F26 80%, #a6030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2대
고병간
제3대
김상열
제4대
계철순
제5대
박정기
제6·7대
김영희
제8대
서돈각
제9대
한명수
제10대
서원섭
제11대
천시권
제12대
김익동
제13·14대
박찬석
제15대
김달웅
제16대
노동일
제17대
함인석
제18대
김상동
제19대
홍원화
제20대
허영우
}}}}}}}}} ||

<colcolor=#fff><colbgcolor=#DB1F26>
제15대 경북대학교 총장
김달웅
金達雄 | Kim Dal-woong
파일:김달웅.jpg
출생 1943년 2월 10일 ([age(1943-02-10)]세)
경상북도 김천시
학력 대구수창국민학교[1] (졸업 / 40회)
경북고등학교 (졸업)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 / 학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농학 / 석사[2])
오리건 대학교 대학원 (농학 / 석사 · 박사)
경력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교수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생과장
경북대학교 기획연구실장
경북대학교 교수협의회 의장
제15대 경북대학교 총장
제10대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장
농업과학기술연구소 국제협력부장
교육인적자원부 대학종합평가위원회 위원
한국문화재단 이사
한국청년취업연구원 이사장
대구경북미래연구원 이사장
농어촌희망재단 이사장

1. 개요2. 연구 및 교육활동3. 총장 재임기 행적
3.1. 경북대의 미래계획을 설계
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2002년~2006년 동안 제15대 경북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출생하였다. 대구수창국민학교(40회)와 경북고등학교,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서 오리건 대학교에서 농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 연구 및 교육활동

3. 총장 재임기 행적

3.1. 경북대의 미래계획을 설계

4. 여담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50><tablebordercolor=#fff> 파일:정부상징.svg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역대 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08080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경북대
김익동
부산대
장혁표
전남대
최한선
경북대
박찬석
충남대
윤형원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충북대
주자문
전북대
신철순
전남대
정석종
충남대
이광진
경북대
김달웅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충북대
신방웅
부산대
김인세
강원대
최현섭
경북대
노동일
전북대
서거석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강릉원주대
한송
전남대
김윤수
공주대
서만철
목포대
고석규
전남대
지병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부산대
김기섭
전남대
지병문
한경대
태범석
충북대
윤여표
충남대
오덕성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부경대
김영섭
전남대
정병석
충북대
김수갑
창원대
이호영
충남대
이진숙
제31대
제32대
전남대
정성택
공주대
임경호
}}}}}}}}}}}}}}} ||


[1] #[2] 석사 학위 논문: 고추에 있어서 毛茸과 色素의 遺傳에 관한 연구 (1969. 02.)[3] 이 때 상주대와 통합을 성사했더라면, 한의학전문대학원을 경북대가 유치했을 것이라고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당시 참여정부에서 국립대에 한의학전문대학원 유치를 추진하였고, 서울대는 의과대학의 반대로 불참을 선언하였으며 전남대 역시도 의과대학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었다. 경북대, 경상대, 부산대 등이 유력한 후보였는데, 당시 경북대가 여러 부문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립대 간 통합을 하지 않아서 결정적으로 밀리게 되었다. 당시 부산대는 밀양대와 이미 통합을 완료한 상황이었다.[4] 널리 알려져있다시피 2008년 제18대 총선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직후였고, 당시 친박계 국회의원들이 대거 공천탈락하는 사태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