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2:35

김상철(1947)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형민
제2대
윤보선
제3·4대
이기붕
제5·6대
김태선
제7대
고재봉
제8대
허정
제9대
임흥순
제10대
장기영
제11대
김상돈
제12대
윤태일
제13대
윤치영
제14대
김현옥
제15대
양택식
제16대
구자춘
제17대
정상천
제18대
박영수
제19대
김성배
제20대
염보현
제21대
김용래
제22대
고건
제23대
박세직
제24대
이해원
제25대
이상배
제26대
김상철
제27대
이원종
제28대
우명규
제29대
최병렬
제30대
조순
제31대
고건
제32대
이명박
제33·34대
오세훈
제35-37대
박원순
제38·39대
오세훈
파일:SEOUL MY SOUL 한글병기.svg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경기도 경성부윤 }}}}}}}}}

<colbgcolor=#ae1932><colcolor=#fff> 제26대 서울특별시장
김상철
金尙哲 | Kim Sangcheol
파일:/image/038/2012/12/15/bbuheng201212142107060_59_20121215023609.jpg
출생 1947년 3월 15일
평안북도 태천군
사망 2012년 12월 13일 (향년 65세)
서울특별시
본관 수안 김씨
재임기간 제26대 서울특별시장
1993년 2월 26일 ~ 1993년 3월 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e1932><colcolor=#ffffff> 배우자 최원자
자녀 슬하 1남 1녀
친인척 사위 김범수
학력 서울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 박사)
종교 개신교
약력 제13회 사법시험 합격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 판사
김상철 법률사무소 변호사
월간 고시계 발행인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숭실대학교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한미우호협회 회장
제26대 서울특별시 시장
태평양아시아협회 회장
탈북난민보호운동본부 총재
한미우호협회 명예회장
미래한국 CEO 회장
미래한국 대표발행위원장
}}}}}}}}}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법조인, 관료로, 서울특별시장으로 고작 7일간 재임하여 최단명 서울특별시장으로도 유명하다.

2. 생애

1947년, 평안북도 태천군에서 태어났다. 이후 월남하여 서울고등학교를 나왔다. 197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1971년 제1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를 지내다가 1980년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1980년대 중반까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의 전신 정법회를 조직하였고 김근태 등을 변호하며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1988년부터 운동권 대학생들을 비판하며 보수 노선으로 변하였다. 한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지역구에 우리정의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통일민주당 황병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3년 김영삼 정권이 출범하면서 관선 서울특별시장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그린벨트를 무단 형질변경했다는 이유로 7일만에 경질되면서 가장 짧은 기간 동안 재임한 서울특별시장이라는 기록을 세운다.[1]

이후로는 잡지 미래한국을 발행하며 계속 우익 인사로 활동하였고, 이후 2012년 12월 13일에 지병으로 사망했다.[2]

3.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얼마 되지 않아 1994년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사고 직후 당시 경북지사였던 우명규가 서울시장에 임명되었으나 11일 만에 사직하며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2] 미래한국은 사위인 김범수가 운영한다. 사위인 김범수도 21대 총선에서 용인시 정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