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1:03:23

김순철(배우)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연기대상 남자 주연상[1]
이낙훈
(1970년)
<colbgcolor=#FFFFA1,#5D5E00> 김순철
(1971년)
김성원
(1971년)
<colbgcolor=#595959><colcolor=#FFFFFF> 김순철
金淳哲|Kim Soon-Chul
파일:99F5B33C5D198B9B23.jpeg.jpg
출생 1937년 5월 6일
강원도 통천군
(現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 통천군)
사망 2004년 2월 24일 (향년 66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가족 슬하 1녀
신체 170cm, 85kg, B형
학력 경복고등학교 (32회 / 졸업)
서라벌예술대학 (연극영화과 / 학사)
종교 개신교
데뷔 1957년 연극 <고래>

1. 개요2. 생애3. 활동 내역
3.1. 드라마3.2. 영화3.3. 연극3.4. 외화3.5. 광고
4. 수상경력5. 여담6.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배우.

2. 생애

1937년 5월 6일, 강원도 통천군에서 출생, 경성의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하여 경복고등학교 연극반 출신으로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과를 졸업했다. 1957년 연극계에 입문 후 국립극단과 동인극장 등지에서 활동했고, 1960년에 극단 '실험극장' 창립에도 참여하여 오현경, 이순재, 이낙훈 등과 한솥밥을 먹으며 <맹진사댁 경사>에서 맹 진사 역으로 출연하여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200여편의 연극에 출연하여 입지를 다졌다.

1964년 동양TV 1기 탤런트로 특채되어 1966년 드라마 <미스터 곰>의 주연으로 시청자들의 이목을 끌었으며, 그와 함께 가수 최희준이 부른 드라마 주제곡 <나는 곰이다>도 인기를 끌어 시너지 효과를 내었다. 그러나 김순철은 난데없이 TBC에서 쫓겨나는 소동이 벌어졌는데, 당시 동료 탤런트인 강부자의 증언에 따르면 어느 날 김순철이 TBC 본관의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의 전용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려다 제지당하자 "이 방송국이 우리가 벌어준 돈으로 돌아가는데 회장이 우선이냐 배우가 우선이냐" 라고 떠드는 바람에 TBC 전속 해지를 당했고 결국 1969년 개국한 MBC TV로 적을 옮겨 1971년까지 활동해야 했다고 한다.

이후 TBC로 돌아갔다가 1980년 11월 언론통폐합으로 KBS 소속으로 바뀌었다. 1984년 TV문학관 '인간과 전장' 편에선 중국어 연기를 선보였고, 1989년 주말연속극 <달빛가족>에서 택시기사 오장팔 역으로 열연하여 서민적 연기로 명성을 날렸다. 연기 외적으로는 인정이 많아 가난한 후배들에게 출연료를 봉투째 주기도 했다. 술을 매우 좋아하여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고 다음날 아침부터 촬영하는데도 대사 한 마디 틀리는 일이 없었을만큼 기억력이 좋고 머리가 비상했다고 한다. 성격이 꾸밈없고 직설적이라 위에 소개한 일화처럼 기행과 에피소드가 많았다.

그러나 1988년부터 당뇨병이 발병하여 1992년 이후 출연이 뜸해졌고, 1997년 KBS1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에서 홍무제 역으로 나온 것을 끝으로 연기 일선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2004년 2월 24일 서울 서빙고동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평소 장기기증에 뜻이 있어서 1991년부터 자신의 사후에 장기와 시신을 기증하기로 약속하였기 때문에 사후 시신이 서울대학교 병원에 기증되었다.

3. 활동 내역

3.1. 드라마

<rowcolor=#ffffff> 연도 방송사 방송명 배역 비고
1964년 파일:동양방송 로고.svg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초설
민며느리
TV지정석: 여성이 가장 아름다울때 1965년까지 방영
1965년 TV소설: 안네의 일기
어린이극장: 잃어버린 저금통
TV지정석: 안녕합숙소
TV지정석: 부부
TV지정석: 6238호
TV지정석: 계산착오
바이엘 극장: 끈덕진 복수
형사수첩 김 형사 1966년까지 방영
한양낭군
1966년 맞벌이 부부
파문
누가 너냐?
조용한 파문
미스터 곰
대원군 1967년까지 방영
1967년 TBC극장: B사감과 러브레터
TBC극장: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TBC극장: 뽕
TBC극장: 배따라기
두 나그네
TBC극장: 산제
TBC극장: 봄봄
TBC극장: 암사지대
TBC극장: 성황당
2남3녀
TBC극장: 육표
TBC극장: 자유만복
태양이 뜨거울때[2]
TBC극장: 물레방아
TBC극장: 새벽
TBC극장: 왕손
1968년 조선총독부
TBC극장: 추산당과 곁사람들
TBC극장: 고래
TBC극장: 보석과 청부
TBC극장: 불꽃
TBC극장: 매화틀
원십년(怨十年)
짚세기 신고왔네
헬렌공 1969년까지 방영
금고할아버지
산비둘기집
1969년 파일:MBC 로고(1969-1974).svg 이상한 아이
회심곡
형사
태평천하
유랑극단 1970년까지 방영
이발관장 변덕길
암살
1970년 홍콩 101번지
그 머슴애
석양의 나그네
피양서 왔수다
빼고 셋이요
두 녀석 1971년까지 방영
1971년 파일:동양방송 로고.svg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양반전
솔아비
상감마마 미워요
유호극장: 봄나들이
유호극장: 돼지 돼지
청춘극장 박준길
1972년 여보 정선달 왕손
불어라 봄바람
형제 왕학서
1973년 재혼
1974년 추풍령
인목대비 1975년까지 방영
1975년 억보 억보
토요무대: 곰네
오늘도 남풍
시집가는 날
1976년 토요무대: 구닥다리
풍운백년: 횃불
풍운백년: 젊은 그들
결혼행진곡 1977년까지 방영
1977년 부부
서울야곡 보불영감
1978년 무쇠도령 이완대장
종가할머니
여자의 얼굴
통곡 김일성
1979년 야 곰례야 황대목
추적: 초승달 3부작
1980년 동녀미사
노을
축복 언론통폐합 후 KBS2에서 방영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을화
1981년 TV문학관: 횃불 위안스카이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대명 김자점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징소리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고개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물망초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나룻배이야기
TV문학관: 봉순의 하늘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옥동이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 20주년 드라마 걸작집: 탑 마 서방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신촌 억순이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외돌괴 할망 김인제
TV문학관: 흑조 윤 노인
TV문학관: 사람의 아들 조동팔의 아버지
1982년 TV문학관: 부초 오윤재
TV문학관: 심마니 온보
TV문학관: 산골 나그네
풍운 이동인
TV문학관: 잔인한 도시
TV문학관: 창부타령 최부자
우둥불 우쓰노미야 다로
TV문학관: 외출 역장
TV문학관: 취국
지금 평양에선 최현 1983년 하차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현대입지전: 북청 물장수 1983년까지 방영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바보 용칠이
1983년 어머님 날 낳으시고
TV문학관: 단독강화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청춘행진곡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여명
사통발달 황 노인
TV문학관: 필묵장수 서 영감
1984년 TV문학관: 천망 성 참봉
TV문학관: 인간과 전장 췌유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미로 박도근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독립문 이용구
함정 최현
TV문학관: 언젠가는 다시 만나리
TV문학관: 병어회
TV문학관: 곰네
TV문학관: 실반지
파일:KBS 2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2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불꽃놀이 고경애의 아버지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파일:KBS 1TV 로고(1980-1984) 화이트.svg TV문학관: 모자
1985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TV문학관: 천국에서 온 광대 조만득
TV문학관: 인생차압 이중생
드라마게임: 법원가는 길
TV문학관: 미명의 하늘
TV문학관: 인동
TV문학관: 산곡의 백합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드라마게임: 서울 뻐꾸기
초원에 뜨는 별 1986년까지 방영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티 없는 미소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드라마게임: 어제 불던 바람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TV문학관: 사평역 역장
해돋는 언덕 1989년까지 방영
1986년 TV문학관: 서울 하늘 아래
TV문학관: 하늘만큼 먼 나라
역사드라마 선구자: 생명의 손 백광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내 마음 별과 같이 1987년까지 방영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달맞이꽃 윤상도
TV문학관: 신들의 주사위
TV문학관: 젊은 느티나무 할아버지
1987년 '87 행복을 찾습니다: 꿈꾸는 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형사 25시: 갈림길
큰 형수
형사 25시: 저녁에 우는 까치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환멸을 찾아서 오윤기의 아버지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타인
1988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드라마초대석: 슈퍼스타를 위하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형사 25시: 빛을 찾는 사람들
형사 25시: 마지막 연가
형사 25시: 뿌리깊은 유혹
형사 25시: 한랭전선
드라마게임: 높이나는 새
드라마게임: 3세대를 위하여
1989년 드라마게임: 별하나 나하나
달빛가족 오장팔 1990년까지 방영
1990년 드라마게임: 노끈과 강냉이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징검다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불의 나라 정경후
1991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너두 늙어봐라 김정수
TV문예극장: 검은 양복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드라마게임: 축대
1992년 파일:SBS 로고(1991-1994).svg파일:SBS 로고(1991-1994) 화이트.svg 다시 열리는 세월
파란눈의 며느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드라마게임: 어른의 아버지
1993년 미스터리 멜로 금요일의 여인: 홍리나의 위험한 선택 이철우
1997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용의 눈물 홍무제 은퇴작

3.2. 영화

<rowcolor=#fff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63년 새벽의 비상선
1965년 잃어버린 세월 송재철
란의 비가 중대장
1966년 여대생 사장 미스터 공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 박 하사
백발백중 정동선
나운규 일생 이금룡
댁의 부인은 어떠십니까 길성기(재석의 친구)
딸이면 어때 장일호
초연 털보 운전수
소금장수
오인의 건달 춘식
1967년 마지막 요일 두수
형사수첩 김 형사
지상에서 영으로(지상에서 0(제로)로) 박 형사
삼등여관 박용곤
암행어사: 쌍마패 편 호리병
종자돈 안만석
강명화 이 주사
열정 박준하(미화의 동향선배 기자)
치맛바람 차(장의 동생, 실업자)
1968년 고칠(좀도둑)
무숙자 양(마적의 대교파)
동문서답 장대섭
나무들 비탈에 서다 남윤구
사랑하고 있어요 김순철
천하장사 임꺽정 대갈쇠
휴일 한규제
태자바위 유리왕
팔푼이 며느리 태평
화초기생 맹 진사
아네모네 마담 숙을 사모하는 뚱보
감자 왕 서방
내 목숨 다하도록 최 선달
구슬공주 오 주부
이상의 날개
칠보반지 양 주부
대머리총각 육동태
풍랑객 혹뿌리
1969년 역전파출소
내실 김 생원
상해탈출 독비
명동삼총사 김정룡(레슬링협회 이사)
사랑이 미워질 때 과장
전하 어디로 가시나이까 청국 통리
원님댁 정 사또(충주 사또)
팔도검객 마평
장한몽 경태(수일의 친구)
서울야화 장기택(동숙의 남편)
명동나그네 차인걸(지배인)
월하의 검
사나이 U.D.T. 권성진 하사
사나이 세계 뱁새
재생 김연호(미두중개소 주인)
1970년 누가 그 여인을 모르시나요 이탁(진구의 친구)
한양건달 덕호
민비와 마검 흥선대원군
꼬마검객 박달
탑골아씨 곰이(탑골 총각)
무작정 상경 대건(곰팔의 숙부, 덕풍옥 주인)
1971년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데라우치 마사타케
경복궁의 여인들 이노우에 가오루
대감신랑
상감마마 미워요 복돌
늑대와 고양이들 늑대
열두 여인 삼용
1972년 유령소동 임꺽정(유령)
1973년 야간비행
청춘 25시 김 교수
시거든 떫지나 말지 고점득
천동 천동
1974년 어둠속의 목격자
1975년 태백산맥 만길
1976년 생일선물
1977년 별명붙은 운전사 최 영감
1978년 에너지선생 에너지선생
1979년 12인의 하숙생 허일만
1985년 장남
1988년 아스팔트위의 동키호테
1992년 시비시비 양정오 제작 1989년

3.3. 연극

<rowcolor=#ffffff> 연도 극단 제목 배역 비고
1957년 고래 데뷔작
1958년 국립극단 릴리옴 천국의 노순경
1962년 산불 사병 A
1963년 극단 동인극장 죽음 앞에 선 사람들 미어즈
국립극단 아리나의 승천 채전감
세인트 죤 죤 두 스토캄버
해풍 오가
결혼중매 밴더겔더
극단 동인극장 느릅나무 그늘 밑의 욕망 이프레임 캐봇
1964년 국립극단 욕망 이민협
베니스의 상인 란슬롯
극단 동인극장 안토니오와 클레오파트라 폼피
국립극단 만선 도삼
극단 동인극장 태양을 잃은 영웅들
국립극단 순교자 고군목
극단 실험극장 갈대의 노래 관리부장
1965년 청혼소동 문서장
토요싸롱(6개 단막) - 신생공화국
안도라 주인
1966년 증인 박행도 미공연
아들을 위하여 조우켈러
해뜨는 섬 경운
무익조 전대장 재정 스태프로 참여
1967년 화니 에스칼도피그
동키호테 무어인
1968년 신연극60년축전위원회 그래도 막은 오른다 제5부: 시집가는 날
극단 실험극장 상아의 집 신부
1969년 맹진사댁 경사 맹진사
3개의 단막무대 - 비석 전첨지
맥베스 맥베스 이낙훈과 더블캐스팅
1970년 우리읍내 깁스 정해창과 더블캐스팅
1971년 씨라노 드 벨쥬락 라그노오 김진해와 더블캐스팅
극단 동양 말똥
극단 실험극장 알 수 없는 노릇이군 거물 무하임
극단 동양 여름과 연기 그리고 바람
1972년 극단 실험극장 황혼녘에 생긴 일
맹진사댁 경사 맹진사
1973년 춘향전 변학도 이순재와 더블캐스팅
동천홍 다께소에
1974년 일요일의 불청객 오충돌
1975년 맹진사댁 경사 맹진사 서인석과 더블캐스팅
에쿠우스 프랑크 스트랑
일요일의 불청객 오충돌 수원시민회관 특별초청공연
1977년 파일:동양방송 로고.svg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토끼와 포수 동양방송 창립 12돌 기념 탤런트 워크샵 공연

3.4. 외화

<rowcolor=#ffffff> 연도 방송사 방송명 배역 비고
1964년 파일:동양방송 로고.svg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보난자 호스 카트라이트(댄 블로커) 1975년 이후 김병관으로 교체.
1968년 순애[3] TBC 할리우드극장 방영
해저탐험[4]
프랑켄슈타인 1970년[5]
서부의 사나이[6]
1969년 버스 정류장[7]

3.5. 광고

4. 수상경력

5. 여담

6. 참고 자료



[1] 당시에는 대상이 따로 없었고, 남자·여자 주연상이 최고의 상이었다.[2] 당초 제목은 <여자가 뜨거울때>였다.[3] 원제 <Private Number>[4] 원제 <Voyager to the Bottom of the Sea>[5] 원제 <Frankenstein 1970>[6] 원제 <Man of the West>[7] 원제 <Bus S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