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23:09:36

이낙훈

이낙훈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S 로고.svg 연기대상 대상
유인촌
(1990년)
이낙훈
(1991년)
오현경
(1992년)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연기대상 남자 주연상[1]
신설 <colbgcolor=#FFFFA1,#5D5E00> 이낙훈
(1970년)
김순철
(1971년)
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 연기대상 최우수 남자 연기상[2]
김세윤
(1977년)
이낙훈
(1978년)
노주현
(1979년)[3]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13회
(1977년)
제14회
(1978년)
제15회
(1979년)
김진해
(처용무)
한진희
(맏며느리)
최불암
(당신)
이낙훈
(천녀화)
이정길
(뜨거운 손)
제27회
(1991년)
제28회
(1992년)
제29회
(1993년)
유인촌
(야망의 세월)
이낙훈
(옛날의 금잔디)
최재성
(여명의 눈동자)
최민수
(걸어서 하늘까지)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
정영숙
(1978년)
<colbgcolor=#FFFFA1,#5D5E00> 이낙훈
(1979년)
송재호
(1980년)
주현
고두심
(1991년)
이낙훈
윤여정
(1992년)
최재성
원미경
(1993년)

}}} ||
<colbgcolor=#595959><colcolor=#FFFFFF> 이낙훈
李樂薰|Lee Nak-hoon
파일:이낙훈.png
출생 1936년 3월 27일
경기도 경성부 아현정[4]
사망 1998년 10월 7일 (향년 62세)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 백병원
본관 전주 이씨[5]
가족 아내 최영복, 슬하 1남 1녀
학력 서울덕수국민학교[6]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50회 / 졸업)
서울대학교 (미학 / 중퇴)
마이애미 대학교 (사학 / 학사)
종교 가톨릭(세례명: 아우구스티노)
데뷔 1946년 KBS 라디오 드라마 <똘똘이의 모험>[7]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1

1. 개요2. 일생3. 활동 내역
3.1. TV 드라마/시트콤3.2. 영화3.3. 연극3.4. 라디오 드라마3.5. 광고
4. 수상 경력5. 선거 이력6. 참고 자료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배우, 정치인.

생전 이순재와 절친한 친구[8]였으며 서울대학교 동문인데다 커리어와 입지도 비슷하고[9], 동양방송 성우 출신이기도 하다. 1962년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데뷔한 것이 본격적인 커리어의 시작이었으며, 이순재, 김무생 등과 함께 초기 TBC 배우/성우계의 전담 간판이었다. 이후 드라마 외에도 영화, 연극 등 많은 작품에 꾸준히 출연했다.

2. 일생

1936년 경기도 경성부 아현정(현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서소문 근방에서 마루보시운수(조선운송)에 다니던 이재순(李載淳)[10]의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덕수국민학교 재학 중이던[11] 1946년 10월에 KBS 어린이 라디오극 <똘똘이의 모험>에서 2대 복남이 역을 맡아 연기계에 발을 들였으며, <학교일기>에서 노마 역까지 맡았다. 그러나 경기중학교 재학 시절이던 1950년 6.25 전쟁 때 북한군에 의해 아버지를 잃어 가세가 기울었으며, 피난 당시 경기고등학교 재학 중에도 연극을 하여 학교 내에서 유명인이 됐다. 졸업 후 연세대학교 영문과 시험에 합격했으나 어머니의 반대로 대신 서울대학교 미학과 시험을 치렀고, 한 차례 낙방 후 1954년에 합격했다.

대학 재학 중에도 연극에 몰두하다 어머니의 뜻에 따라 1957년에 화물선을 타고 미국 마이애미 대학교 사학과로 유학해 접시닦이 등으로 생계를 이어가며 학업에 몰두했다. 1960년 졸업 후 실험극단 '발코니'에 입단해 뉴욕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하다 1961년 귀국 후 이듬해 극단 '드라마 센터'의 개관공연에 참여했다. 뒤이어 '실험극장'에 입단하여 김순철오현경, 황은진, 김성옥 등과 인연을 맺기도 했다. 1963년 극단 '산하' 창립에 참여했으나 다시 실험극장으로 돌아왔고, 1964년 연극 <리어왕>에서의 열연으로 제1회 동아연극상을 받았다. 반공물형사물에도 많이 출연했는데, 최불암이 범인잡는 반장이라면 이낙훈은 간첩잡는 반장으로 유명했다.

1962년 KBS-TV 개국 때 TV 탤런트와 외화 번역을 맡기 시작했으며, 1964년 동양TV 개국 때 이적해 <남과 북>과 <돼지>, <아내의 모습>, <달동네> 등 숱한 드라마에 얼굴을 많이 내밀었으며, 미국유학 때 갈고 닦은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6백만불의 사나이라든지 형사 콜롬보 같은 미국 드라마들을 꽤 많이 번역하기도 했다. 1965년 김기덕 감독 작품 <용사는 살아있다>로 은막에서도 데뷔해 <청춘극장> 같은 굵직한 영화에도 모습을 드러냈으며, <킹콩의 대역습>과 <오! 인천>에선 유창한 영어 솜씨를 선보였다. 그 외에 1979년부터 3년간 한국텔레비전방송연기자협회(현 한국방송연기자협회) 회장도 지냈다.

1981년엔 권정달의 권유로 정치권 진출을 시도해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후보로 나가 당선했으며, 임기 4년 동안 국회 문공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 한-멕의원친선협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퇴임 후 1987년에 영화제작/수입사 현대필코를 세워 1989년에 박범신 소설 <밀월>을 영화화했으나 기획 미스로 흥행에 실패했고, 1990년에 외화수입사 범진영화사도 세웠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으며 혈관수술까지 받는 등 건강에도 잠깐 적신호가 켜졌다. 1991년에 KBS1 일일연속극 <옛날의 금잔디>에서 칠순이 넘은 전직 교사 역으로 열연하여 KBS 일일연속극의 부활[12]을 이끌어내 그해 KBS 연기대상 대상을 받았다.[13][14]

그 뒤에도 배우로서 연기에 계속 전념하며 1991년부터 4년 동안 모교인 경기고 연극반 출신들이 만든 '화동연우회'의 초대 회장을 맡았고, 1998년 10월에 연극 <대한국인 안중근>에서 홍석구 신부 역으로 출연하려 했지만, 동월 4일 추석연휴를 보내다 호흡곤란으로 입원하면서 출연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며칠 후 지병이던 당뇨병 등의 합병증으로 회복의 기회까지 놓쳐 7일 밤 8시 40분, 서울 백병원에서 사망하였다. 결국 홍석구 신부 역은 프랑스인 사제 마르셀 펠리스(배세영) 신부가 대신 맡게 되었다.

그의 시신은 서울 강남성모병원에 안치된 후 빈소가 차려졌으며, 강우일 주교와 오웅진 신부, 전두환 전 대통령, 동료 연예인들 등이 조문을 왔으며, 김대중 대통령도 조화를 보냈다. 살아생전에 가톨릭 신자였던 만큼 9일에 압구정동 성당에서 장례 미사를 치르고 용인 천주교 묘지에 안장됐다. 더불어 KBS 연기대상의 역대 대상 수상자들 중 최초로 고인이 된 배우이며, 26년 뒤인 2024년에 오현경마저 별세하여 사망자는 2명으로 늘었다.

생전에 이순재와는 막역한 사이였다. 실제로 이순재가 정계에 입문한 것도 이낙훈의 권유가 있었다고 한다. MBC <황금어장> '무릎팍도사' 코너 2009년 1월 14일 방영분에서 이순재가 직접 회고한 바, 기수 상 이낙훈이 선배였고 이낙훈이 좀 노안이였던지라 당연히 나이도 자기보다 인 줄 알고 이순재가 늘 ‘이 선생’, ’이 형’이리고 부르며 선배 대접을 해주었다.[15] 어느 날 사주를 같이 보러 갔는데 그곳에서 이낙훈이 자기보다 나이가 어린 걸 알고 나오자마자 그 자리에서 욕 한 사발 한 다음 바로 말을 놓고 친구를 먹었다고 한다.

동료 원로 배우 선우용여도 이순재와 함께 나온 예능에서 회고를 하기를 순풍산부인과에서 이낙훈이 박영규(박영규)의 아버지 역으로 나왔을 때 극중 손녀 박미달을 안아야 하는 씬이 있었는데, 땀을 뻘뻘 흘리며 힘이 없어서 안지를 못했다고 하며, 그 후 일주일 뒤 바로 사망했다고 안타까워 했다.[16] 영상

KBS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모던코리아에도 의외로 자주 등장한다. 다만 인용된 자료들을 보면 배우로서가 아니라 프로그램 진행자(특히 다큐멘터리)로서도 많은 활약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3. 활동 내역

3.1. TV 드라마/시트콤

3.2. 영화

3.3. 연극

3.4. 라디오 드라마

3.5. 광고

4. 수상 경력

5. 선거 이력

<rowcolor=#FFF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1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76,624 (35.60%) 당선 (56번) 초선

6. 참고 자료

7. 둘러보기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전국구 제11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정의당
61석
이재형 나길조 김종경 이용훈
김기철 ~~~~ 송지영 ~~~~ 정희택 박동진
정원민 김정호 윤석순 김종호
최상업 황병준 류근환 김용수
박태준 박경석 ---- 이우재 이춘구
김현자 ~~~~ 정순덕 배성동 김사용
이건호 신상초 ---- 오제도 김윤환
정희채 김춘수 박현태 이양우
박종관 고귀남 ~~~~ 나웅배 김집
지갑종 허청일 이상선 손춘호
정시채 안교덕 최낙철 김모임
~~~~ 이헌기 이윤자 이민섭 이영희
김종인 박원탁 이상희 이영일
이경숙 조남조 ~~~~ 김행자 이낙훈
김영구 황설 하순봉 곽정현
전병우 정창화 문용주 김유상
장경우 유수환 김지호 ~~~~ 이성재
강창희 이성배
민주한국당
24석
~~~~ 유옥우 이태구 김문석 황산성
양재권 정규헌 손태곤 신재휴
이정빈 김진기 이중희 연제원
최수환 서종렬 손정혁 김노식
이의영 조주형 강원채 이윤기
윤기대 이홍배 김형래 김덕규
이용곤
한국국민당
7석
김영광 이필우 노차태 조정구
김한선 김유복 강기필
}}}
}}}}}}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재형 나길조 김종경[A] 이용훈 김기철 송지영[B]
정희택 박동진 정원민 김정호 윤석순 김종호
최상업 황병준 류근환 김용수 박태준 박경석
이우재[B] 이춘구 김현자 정순덕[B] 배성동 김사용
이건호 신상초 오제도 김윤환 정희채 김춘수
박현태 이양우 박종관 고귀남 나웅배[B] 김집
지갑종 허청일 이상선 손춘호 정시채 안교덕
최낙철 김모임 이헌기[B] 이윤자 이민섭 이영희
김종인 박원탁 이상희 이영일 이경숙 조남조
김행자[A] 이낙훈 김영구 황설 하순봉 곽정현
전병우 정창화[C] 문용주[C] 김유상[C] 장경우[C] 류수환[C]
김지호[C] 이성재[14] 강창희[C] 이성배[C]

[A] 임기 중 사망.[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A] 임기 중 사망.[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14] 승계 전 사퇴.[C] 승계.[C] 승계.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C97><tablebgcolor=#004C97>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C97><tablebgcolor=#004C97>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이종찬 봉두완 이세기 권영우 김정례
홍성우 윤길중 남재희 최명헌 이찬혁
조종호 임철순 이태섭 정남 왕상은
곽정출 구용현 김진재 이흥수 장성만
김숙현 이병직 오세응 홍우준 윤국노
신능순 김영선 정동성 이자헌 이용호
이한동 홍종욱 김용대 김정남 이범준
정재철 심명보 정종택 이해원 박유재
안갑준 남재두 이재환 정선호 천영성
정석모 이상익 최창규 김현욱 임방현
고판남 문병량 황인성 양창식 진의종
조상래 박윤종 최영철 김재호 유경현
나석호 이대순 김식 조기상 한병채
김용태 이치호 이진우 박권흠 정휘동
권정달 박재홍 오한구 김종기 김중권
염길정 채문식 조정제 고원준 안병규
배명국 이효익 유상호 신상식 이재우
박익주 권익현 현경대 이재형 나길조
이용훈 김기철 박동진 정원민 김정호
윤석순 김종호 최상업 황병준 류근환
김용수 박태준 박경석 이춘구 김현자
배성동 김사용 이건호 신상초 김윤환
정희채 김춘수 박현태 이양우 박종관
고귀남 김집 지갑종 허청일 이상선
손춘호 정시채 안교덕 최낙철 김모임
이윤자 이민섭 이영희 김종인 박원탁
이상희 이영일 이경숙 조남조 이낙훈
김영구 황설 하순봉 곽정훈 전병우
정창화 문용주 김유상 장경우 류수환
김지호 강창희 이성배 }}}
}}}}}}



[1] 당시에는 대상이 따로 없었고, 남자·여자 주연상이 최고의 상이었다.[2] 당시에는 대상이 따로 없었고, 최우수 남자·여자 연기상이 최고의 상이었다.[3] 다만 이 해에는 최고의 상으로 대상이 부활하여 강부자가 대상을 수상했다.[4]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5] 시조 39세, 안천대군파 20세손 낙(樂) 항렬. 아버지 이재순(李載淳)은 19세손 순(淳) 항렬.[6] 現 서울덕수초등학교[7] 이 인터뷰에서 이 때부터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고 간주하고 있다.[8] 이순재는 무릎팍도사 출연 당시 이낙훈이 젊을때 연기하다가 NG를 내던 일화를 회고할 때 “이낙훈 군”이라고 불렀다.[9] 단, 나이는 이순재가 위지만, 이낙훈은 10살 때 아역 배우로 일찌감치 연기 커리어를 시작했기 때문에 경력상으로는 훨씬 더 선배다.[10]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하고 한동안 마루보시운수(조선운송)에서 일했다. 8.15 광복 후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조선운수주식회사 사장으로 재직했다.[11] 4학년 때 그를 가르친 은사가 아동문학가 방기환(1923~1993)이었다.[12] 원래 TBC와 MBC가 치열하게 싸우던 장르였으나 경쟁과다를 이유로 박통시절 정부가 금지크리를 먹였고 1995년까지 지상파 일일극은 없었다. 지금은 넷플릭스 같은 OTT로 인해 KBS를 제외하면 거의 자멸 위기이기는 하지만....[13] 여담으로 KBS 9시 뉴스뉴스 방영 직전에 편성된 이 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시청률 1위로 올라선 후 현재까지 20년 넘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지키고 있다.(...)[14] 소감으로 연초에 연기했던 설특집 드라마 너두 늙어봐라에 같이 출연했던 선배 석금성처럼 70이 넘어서도 연기를 계속하고 싶다는 소망을 밝혔는데 안타깝게도 60대 초반에 사망하면서 이루어지지 못했다.[15] 아닌게 아니라 이낙훈이 사망하기 전에 막 환갑을 겨우 넘긴 나이였는데 당시 드라마를 보면 나이가 더 들어보였다. 건강이 좋지 못한데다 일찍 머리가 새서 그런 듯. 그 뿐만 아니라 이낙훈은 위에도 적혀있듯이 유년 시절에 아역 성우로 방송계에 발을 일찍 들인 케이스라 대학 이후에 연기 커리어가 시작된 이순재보다 경력이 위이긴 했다.[16] 정확한 사망일자는 마지막 순풍산부인과 촬영일인 7월로부터 약 2개월 후에 사망했다. 아무래도 촬영을 같이 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고인이 바로 사망해 기억에 약간 오류가 있었는 듯 하다.[17] 12회, 110회.[18] 선우용여의 말에 의하면 극중 손녀인 미달이를 들어 올리는 장면이 있었는데 힘이 들어 그러지 못했고 출연 이후 2달 뒤에 별세했다. 고인의 유작인 셈.[19] 홍콩과의 합작 영화.[20] 이탈리아와의 합작 영화.[21] 국립영화제작소 홍보영화.[22] 문화영화.[23] 저 당시 남자 주연상이 실질적인 연기대상이었다.[24] 저 당시 최우수남자연기상이 실질적인 연기대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