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2:09:30

김처선

金處善
1421년(세종 3년) ~ 1505년(연산군 11년) 5월 14일 (향년 84세)[1]

1. 소개2. 생애3. 대중매체에서

1. 소개



조선시대의 유명한 환관.

세종대왕부터 연산군까지 일곱 왕을 섬겼으며 최고위 내시인 판내시부사 겸 상선을 역임한 인물. 충청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2] 사람이다.

2. 생애

내시는 일반적으로 10세 전후에 소환되어 17세~21세 전후에 정식 품계를 받았다는 것을 근거로 볼 때 세종 말년에 내시로 입궐한 것으로 추정된다. 죄명은 알 수 없으나 문종 때 내시에서 쫓겨나 경상도 영해(寧海, 지금의 영덕)로 유배되었다가, 단종이 즉위할 때 사면되어 1453년(단종 1년) 유배에서 풀려나고 1454년(단종 2년) 내시에 복직되었다. 1455년(단종 3년) 수양대군에 의해 금성대군이 죄명을 받아 유배된 일에 연루되어 다시 내시에서 쫓겨나 유배되어 본향의 관노가 되었다가, 계유정난 이후 1457년(세조 3년)에 유배에서 풀려나 1460년(세조 6년) 음력 5월 원종공신(原從功臣) 3등에 추록되었다. 그러나 1460년 음력 10월과 1464년(세조 10년)에는 내시 일에 태만했다는 이유로 곤장을 맞았고, 1465년(세조 11년)에는 시녀를 데리고 한양에 가다가 환관 이운, 최해와 막걸리를 마신 후 취해서 길 한복판에 뻗어있던 사건을 일으켜 국문을 당하고 이운, 최해와 함께 감금당하는 등[3] 세조 때는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 그러다가 성종 때에 이르러서는 말을 전달한 공로와 의술로 대비를 치료한 공로 등으로 다시 인생 역전하여 자헌대부에 올랐다.

연산군이 즉위한 이후에는 1504년(연산군 10년) 음력 7월 16일 무례한 일을 했다는 이유로 하옥되어 곤장 100대를 맞았고, 1505년(연산군 11년) 음력 4월 1일 술을 마시고 취해서 임금을 꾸짖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했다. 김처선의 죽음에 대해 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환관 김처선을 궁궐 안에서 죽이고, 아울러 그 양자 이공신(李公信)도 죽였다. <연산군일기 연산군 11년 음력 4월 1일자 1번째 기사>
"내관 김처선이 술에 몹시 취해서 임금을 꾸짖었으니, 가산을 적몰하고 그 집을 헐어 물웅덩이로 만들고 그 본관인 전의(全義)를 혁파하라."라고 전교하였다. <연산군일기 연산군 11년 음력 4월 1일자 2번째 기사>
처선의 죄는 바깥 사람들이 알지 못하나, 사람들이 말하기는 "왕이 처선에게 술을 권하매, 처선이 취해서 옳은 도리로 간언하는 말을 하니, 임금이 노하여 친히 칼을 들고 그의 팔다리를 자르고서 쏘아 죽였다."라고 한다. <연산군일기 연산군 11년 음력 4월 1일자 3번째 기사>

김처선이 연산군을 꾸짖은 구체적인 언사나 연산군이 김처선을 죽인 구체적인 행위는 실록에 명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궁궐 안(禁中)에서 죽였다는 기록을 보면 국법에 따라 공식적으로 처형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리고 3번째 기사를 통해 궁궐 밖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김처선이 옳은 도리로 간언을 했고 연산군이 노하여 칼로 팔다리를 자르고 활로 쏘아 죽였다는 소문이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소문을 근거로 해서인지 중종 때는 찬집청에서 김처선이 베임을 당했다는(被誅) 말을 들었다고 기록되었고, 한참 시간이 흘러 200년 뒤 영조 때는 김처선을 복권하면서 활에 맞아 죽었다(被射殺)고 기록되었다.

그리고 소문이 확장되어 조신의 <소문쇄록>에는 다음과 같은 야사까지 기록되어 있다. 연산군은 음란한 춤인 처용희를 추며 방탕하게 놀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김처선이 술을 먹고 몹시 취해 왕에게 "이 늙은 신(臣)이 네 분의 임금을 섬겨왔으나 고금을 돌이켜도 이토록 음란한 왕도 없었사옵니다."라고 간언하였다. 김처선이 내뱉은 이 말에 노한 연산군은 직접 김처선에게 활을 쏘아 쓰러뜨린 다음 다리를 잘랐다. 아래는 연산군이 그의 다리를 벤 후의 상황.
연산군 : 어명이다! 일어나서 걸으란 말이다!
김처선 : 전하께서는 다리가 부러져도 걸으실 수 있겠습니까?
이는 신하들을 밥먹듯이 죽여대는 연산군에게 "신하는 왕의 팔다리와도 같은데 그런 신하들을 함부로 죽이면 왕이 제대로 된 정치를 할 수 있겠는가?"라는 의미로 말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자 연산군은 김처선의 혀를 자르고 직접 칼로 그의 배를 갈라 창자를 끄집어냈다고 한다.

사건 이후로도 연산군은 김처선을 극도로 혐오하였으며 밑도 끝도 없이 복수를 꾀하였다. 김처선의 아내와 이공신의 아내를 관비로 삼고 7촌 관계의 친족들까지 벌을 주는가 하면, 김처선 부모의 도 뭉개버리고 집은 헐어버린 후에 집터를 물웅덩이로 만들었으며 김처선의 본관인 전의(全義)도 없애버렸다. 김처선의 이름에 들어갔던 '처(處)'자의 사용을 기피하여 24절기 중 하나인 처서(處暑)를 조서(徂暑)로 바꾸고 그토록 좋아하던 처용무(處容舞)의 이름까지 풍두무(豊頭舞)로 바꿔버릴 정도였다. 또한 관리나 군사들 중 김처선이란 이름을 가진 사람들에게 개명을 명하는가 하면 권벌이라는 사람이 과거 시험에서 처(處)자를 썼다고 '합격을 취소하는 사례'(이 사람은 3년 뒤인 정묘년에 재수하여 붙었다고 한다.)도 있었으며 성몽정이 상소에 처(處)자를 써서 국문을 당하다가 천만다행히도 법 제정 이전에 썼다고 국문을 취소한 사례도 있었다.

그가 세상을 떠난지 1년 후 중종반정이 일어나면서 다시 복권되기에 이르지만 중종은 그를 썩 좋게 보지 않았던 것 같다. "김처선은 술처먹고 주정부리다가 죽은 건데 무슨 놈의 공신?"이라고 반문했다는 기록이 있어서인지 중종은 김처선의 행적을 기리고자 하는 사림들의 상소를 모두 무시한다.[4] 그 역시 왕자에서 임금이 된 만큼 왕실의 권위를 추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아무래도 중종의 생각으로는 연산군이 아무리 폭군이라 해도 일개 내시가 감히 왕에게 폭언을 퍼부은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여겼던 듯하다. 일각에서는 환관을 공신으로 추증하였다가 향후 환관들의 권력이 세질 것을 염려한 중종이 어쩔 수 없이 못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인종 사후 명종이 즉위하여 수렴한 성렬대비(문정왕후)를 등에 업고 권력을 휘두른 박한종이라는 환관이 나타났음을 생각해보면 일리있는 주장이다. 어쨌든 김처선은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고 향락에 빠진 연산군에게 직언을 한 충신"이라는 식의 소문이 퍼져 있어서 중종반정 직후부터 그의 재평가가 이루어졌으며 240년 뒤 영조에 이르러 그의 고향에 공적을 기리는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3. 대중매체에서



[1] 현재는 평균보다 조금 더 긴 수준이지만 당대 기준으론 굉장히 장수한 나이다. 세종 때 태어나서 연산군 때 죽었으니 7명의 임금 시절을 살았고 7명의 임금을 모셨으니... 거기다 연산군에 살해당하지 않고 1년만 더 버텼다면 중종반정으로 중종 때까지 살았을 가능성도 있다.[2] 1914년 전의현이 연기군으로 편입되어 전의면이 되었다.[3] 다만 그 다음날 세조가 더 큰 죄를 지은 환관 최호, 김중호를 때려죽이면서 김처선 등은 용서해 주었다.[4] 《중종 실록》 권17 7년 12월 4일 갑진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712004_002[5] 이 소설의 연산군은 21세기 현대 시대에서 온 주인공이 빙의하여, 폭군은 커녕 명군이 된 상태였다. 그래서 승하한 후에 무종(武宗)이라는 그럴싸한 묘호까지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