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유튜버 및 트위치 스트리머에 대한 내용은 개리형 문서
, 1950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춘수(1950)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재 회원 | |||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유종호 | 전뢰진 | 안형일 | 김정옥 | |
김우창 | 이신자 | 황영금 | 임권택 | |
황동규 | 최종태 | 이경숙 | 조흥동 | |
이근배 | 윤명로 | 이재숙 | 최청자 | |
김원일 | 이종상 | 서계숙 | 박정자 | |
서정인 | 유희영 | 한명희 | 김숙자 | |
한말숙 | 박광진 | 윤대성 | ||
김후란 | 엄태정 | 나인용 | 김지미 | |
김화영 | 김숙진 | 나덕성 | 손숙 | |
김주연 | 강찬균 | 신수정 | 정승희 | |
오세영 | 최의순 | 이경숙 | 김민희 | |
정현종 | 정상화 | 김민 | 박명숙 | |
유안진 | 윤승중 | 이영자 | 손진책 | |
정연희 | 홍석창 | 백병동 | 정지영 | |
김주영 | 조정현 | 장혜원 | 이호재 | |
오정희 | 김형대 | 김성길 | 신영균 | |
신달자 | 이철주 | 윤미용 | 신구 | |
윤흥길 | - | 정진우 | 이강백 | |
천양희 | - | 이만방 | 안성기 | |
전상국 | - | 김우진 | 김긍수 | |
최동호 | - | - | - | |
권영민 | - | - | - | |
김광규 | - | - | - | |
작고 회원 | ||||
문학분과 | 미술분과 | 음악분과 | 연극·영화· 무용분과 | |
박종화 | 고희동 | 박태준 | 안종화 | |
염상섭 | 이상범 | 현제명 | 이규환 | |
조연현 | 장발 | 이주환 | 유치진 | |
유치환 | 손재형 | 김성태 | 이해랑 | |
서정주 | 배렴 | 김동진 | 오영진 | |
윤백남 | 김환기 | 성경린 | 변기종 | |
오상순 | 윤효중 | 김영의 | 서항석 | |
이헌구 | 노수현 | 김원복 | 이광래 | |
김동리 | 도상봉 | 정훈모 | 김동원 | |
황순원 | 김인승 | 이흥렬 | 박진 | |
김말봉 | 배길기 | 임원식 | 김정환 | |
곽종원 | 허백련 | 김생려 | 이진순 | |
모윤숙 | 이종우 | 김세형 | 조택원 | |
신석초 | 김은호 | 이혜구 | 유한철 | |
박영준 | 이병규 | 이상춘 | 이병일 | |
김광섭 | 장우성 | 장사훈 | 이원경 | |
이은상 | 김경승 | 김자경 | 김천흥 | |
박화성 | 이순석 | 김기수 | 김소동 | |
박목월 | 오지호 | 박민종 | 김충실 | |
백철 | 김종영 | 전봉초 | 차범석 | |
최정희 | 박영선 | 김성진 | 유현목 | |
안수길 | 박득순 | 정희석 | 송범 | |
윤석중 | 천경자 | 홍원기 | 장민호 | |
오영수 | 이유태 | 황병덕 | 김수용 | |
김기진 | 유영국 | 정회갑 | 최금동 | |
임옥인 | 류경채 | 김순열 | 임성남 | |
구상 | 김원 | 김순애 | 이근삼 | |
손소희 | 김기창 | 이성천 | 신봉승 | |
이범선 | 이종무 | 황병기 | 김기영 | |
조병화 | 김충현 | 이인영 | 박현숙 | |
김춘수 | 이준 | 백낙호 | 김문숙 | |
정한모 | 허건 | 권오성 | 강성희 | |
김윤성 | 박노수 | 강석희 | 김지헌 | |
박연희 | 권옥연 | 김남윤 | 임영웅 | |
선우휘 | 백문기 | 이규도 | 이병복 | |
정한숙 | 문학진 | 박노경 | 김기덕 | |
신동집 | 남관 | 백성희 | ||
강신재 | 이대원 | 박조열 | ||
박양균 | 권순형 | 황정순 | ||
한무숙 | 오승우 | 송수남 | ||
김성한 | 이광노 | 김학자 | ||
전숙희 | 윤영자 | 변장호 | ||
홍윤숙 | 권영우 | 남궁원 | ||
김남조 | 손동진 | 오현경 | ||
이호철 | 민경갑 | |||
김종길 | 조수호 | |||
김요섭 | 이수덕 | |||
홍성유 | 서세옥 | |||
문덕수 | 김흥수 | |||
이어령 | 김병기 | |||
박두진 | 한도용 | |||
서기원 | 송영방 | |||
조경희 | 권창륜 | |||
성찬경 | ||||
김윤식 | ||||
최일남 | ||||
박완서 | ||||
이청준 | ||||
박희진 | ||||
오탁번 | ||||
신경림 | }}}}}}}}} |
김춘수 관련 틀 | |||||||||||||||||||||||||||||||||||||||||||||||||||||||||||||||||||||||||||||||||||||||||||||||||||||||||||||||||||||||||||||||||||||||||||||||||||||||||||||||||||||||||||||||||||||||||||||||||||||||||||||||||||||||||||||||||||||||||||||||||||||||||||||||||||||||||||||||||||||||||||||||||||||||||||||||||||||||||||||||||||||||||||||||||||||||||||||||||||||||||||||||||||||||||||||||||||||||||||||||||||||||||||||||||||||||||||||||||||||||||||||||||||||
|
<rowcolor=#fff>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김춘수 金春洙 | Kim Chun-soo | |
<colbgcolor=#0095DA><colcolor=#fff> 출생 | 1922년 11월 25일 |
경상남도 통영군 통영면 서정 (현 경상남도 통영시 동호동) | |
사망 | 2004년 11월 29일 (향년 82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서울대병원 | |
본관 | 광산 김씨 |
호 | 대여 (大餘)[1] |
학력 |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중퇴) 니혼대학 (창작과 / 중퇴) 경북대학교 (문학 / 명예박사)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1 |
최종 당적 | |
직업 | 시인, 정치인 |
경력 | 통영중학교 교사 마산중학교 교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 교수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 교수 제11대 국회의원 방송심의위원회 위원장 한국시인협회 회장 KBS 이사 |
데뷔 | 1946년 시화집 "애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정치인. 존재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다룬 시로 유명하다.2. 생애
1986년 4월 30일 KBS2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1922년 11월 25일 경상남도 통영군 통영면 서정(현 통영시 동호동)에서 아버지 김영팔(金永八)과 어머니 허명하(許命夏)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1년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대학 예술학부에서 공부했으나, 1942년에 천황과 조선총독부를 비판하여 1943년에 퇴학당했다. 1946년에 귀국하여 1951년까지 통영중학교, 마산고등학교에서 교사를 역임했다. 1946년에 시 <애가>를 발표하면서 등단, 이 때부터 시를 본격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1961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교단에 들어선 그는 1964년부터 1978년까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영남대학교의 문리대 학장을 지내다가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로 들어오며 교수직을 내려놓았다. 이후 정계에서 은퇴한 뒤에는 시인과 평론가로서 활동한다.
1948년 첫 시집인 〈구름과 장미〉 출간을 시작으로 시 〈산악(山嶽)〉, 〈사(蛇)〉, 〈기(旗)〉, 〈모나리자에게〉, 〈꽃〉, 〈꽃을 위한 서시〉 등을 발표하였다. 다른 시집으로는 〈늪〉,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타령조 기타〉, 〈처용(處容)〉, 〈남천〉, 〈비에 젖은 달〉 등이 있다.
1958년에 한국시인협회상, 1959년에 아시아 자유문학상을 받았다.
한편 흑역사도 있는데, 1981년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11대 전국구(현 비례대표) 국회의원, 방송심의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대한민국 제5공화국에 대한 친군부 행위다. 등단 이후 시에 정치적 견해나 현실을 잘 드러내지 않고, 허무주의에 기반을 둔 인간의 실존과 존재를 노래했던 시인으로서는 실망스러운 행보였다. 전두환 대통령을 찬양하는
님이시여 겨레의 빛이 되고 역사의 소금이 되소서 님이 태어나신 곳은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 내동 마을 한반도의 등줄기 소백의 긴 매 뿌리 뻗어내려 후미지고 아늑한 분지를 이룬 곳 천구백삼십년대의 어느 날 님의 일가는 일본 제국주의의 그 악마의 등쌀을 견디다 못해 정든 땅 이웃을 버리고 머나먼 남의 땅 만주벌판으로 내쫓기는 사람들처럼 억울하게 억울하게 떠나가야만 했으니 그 때 가족들의 간장에 맺힌 한과 분은 아직도 여리고 어린 님의 두 눈과 폐부에 너무도 생생하게 너무도 깊이깊이 박히었을 것입니다 님이 헌헌장부로 자라 마침내 군인이 된 것은 그것은 우연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천구백칠십구년 가을에서 팔십년 사이 이 땅 이 겨레는 더할 나위 없는 위기를 맞고 있었습니다 발등에 떨어진 불은 우선 그것부터 끄고 봐야하듯이 우선 치안을 바로잡고 우선 인심을 안정시키고 우선 경제의 헝클어진 운행을 궤도위에 올려놓아야만 했습니다 이런 일들을 해내기 위하여 천구백팔십일년 새 봄을 맞아 마침내 제 5공화국이 탄생하고 님은 그 방향을 트는 가장 핵심의 자리에 앉았습니다 그리고 보십시오 님께서 단임으로 평화적 정부이양을 실천한 일 그것입니다 건국 이래 가장 빛나는 기념비적 쾌거라 아니 할 수가 없습니다 님은 선구자요 개척자가 되었습니다 그 자리 물러남으로 이제 님은 겨레의 빛이 되고 역사의 소금이 되소서 님이시여 하늘을 우러러 만수무강 하소서 |
이러한 친군부 행위는 〈꽃〉 등으로 단순히 김춘수를 서정시인 및 순수시인으로만 알고 있는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다(고교 문학 시간에도 이 행적을 언급하는 교사들도 있긴 하다). 다만 김춘수 본인은 이 시기를 두고, “한 마디로 100% 타의에 의한 것이었다. 처량한 몰골로 외톨이가 되어, 앉은 것도 선 것도 아닌 엉거주춤한 자세로 어쩔 줄 모르고 보낸 세월”이라 회고하면서 사과했다고 전해진다. 출처.
2004년 8월, 기도폐색으로 쓰러져 호흡곤란으로 인한 뇌 손상을 입어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했지만, 2004년 11월 29일 아침 9시에 82세로 별세했다.
3. 대표작
4.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 기간 | 비고 |
| 1981 - 1990 | 정계 입문 |
[[민주자유당|]] | 1990 - 1995 | 합당 |
[[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1997 - 2004 | 합당 작고 |
5.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락 | 비고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 5,776,624 (35.6%) | 당선 (30번) | 초선 |
6. 여담
-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시 〈꽃〉과 2004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문학파트 중 시 지문에 〈내가 만난 이중섭〉이 수록되어서, 학생들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 시인이다. 〈꽃〉 자체도 연시(戀詩)처럼 보일 정도로 간결하면서도 서정적이라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하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와는 다르게 김춘수의 시풍은 사물의 본질과 인간의 실존, 존재의 세계 등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있다.
- 강동구 명일동 우성아파트에서 오랜 기간 동안 거주했는데, 인근의 원터근린공원에서 가끔씩 산책하던 모습이 명일동 주민들에 의해 목격되기도 했다. 그의 시 중 '명일동 천사의 시', '거울 속의 천사' 등 생전 거주했던 명일동을 배경으로 쓴 작품도 있다. 2001년경 명일동을 떠나 경기도 성남시의 분당신도시로 이사했고, 이후 사망하기 전까지 분당에 거주했다. 2012년 강동구는 원터근린공원 한켠에 김춘수 시인을 기리는 의미로 기념판을 세웠다.
-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김춘수의 시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이 출제되었다.
- 2011학년도 6월 대수능 모의평가와 2018학년도 수능특강과 2023학년도 수능완성에 김춘수의 시 '강우'가 출제되었다.
- 2024학년도 수능특강에 김춘수의 시 '능금'이 출제되었다.
- 2025학년도 수능특강에 김춘수의 시 '꽃을 위한 서시'가 출제되었다.
7. 둘러보기
전국구 제11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민주정의당 61석 | |||||||
이재형 | 나길조 | | 이용훈 | |||||
김기철 | ~~~~ | | ~~~~ | | 박동진 | |||
정원민 | 김정호 | 윤석순 | 김종호 | |||||
최상업 | 황병준 | 류근환 | 김용수 | |||||
박태준 | 박경석 | ---- | | 이춘구 | ||||
김현자 | ~~~~ | | 배성동 | 김사용 | ||||
이건호 | 신상초 | ---- | | 김윤환 | ||||
정희채 | 김춘수 | 박현태 | 이양우 | |||||
박종관 | 고귀남 | ~~~~ | | 김집 | ||||
지갑종 | 허청일 | 이상선 | 손춘호 | |||||
정시채 | 안교덕 | 최낙철 | 김모임 | |||||
~~~~ | | 이윤자 | 이민섭 | 이영희 | ||||
김종인 | 박원탁 | 이상희 | 이영일 | |||||
이경숙 | 조남조 | ~~~~ | | 이낙훈 | ||||
김영구 | 황설 | 하순봉 | 곽정현 | |||||
전병우 | 정창화 | 문용주 | 김유상 | |||||
장경우 | 유수환 | 김지호 | ~~~~ | | ||||
강창희 | 이성배 | |||||||
민주한국당 24석 | ||||||||
~~~~ | | 이태구 | 김문석 | 황산성 | ||||
양재권 | 정규헌 | 손태곤 | 신재휴 | |||||
이정빈 | 김진기 | 이중희 | 연제원 | |||||
최수환 | 서종렬 | 손정혁 | 김노식 | |||||
이의영 | 조주형 | 강원채 | 이윤기 | |||||
윤기대 | 이홍배 | 김형래 | 김덕규 | |||||
이용곤 | ||||||||
한국국민당 7석 | ||||||||
김영광 | 이필우 | 노차태 | 조정구 | |||||
김한선 | 김유복 | 강기필 | ||||||
제12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C97><tablebgcolor=#004C97>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C97><tablebgcolor=#004C9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창희 | 고귀남 | 고원준 | 고판남 | 곽정출 |
곽정훈 | 구용현 | 권영우 | 권익현 | 권정달 | |
김기철 | 김모임 | 김사용 | 김숙현 | 김식 | |
김영구 | 김영선 | 김용대 | 김용수 | 김용태 | |
김유상 | 김윤환 | 김재호 | 김정남 | 김정례 | |
김정호 | 김종기 | 김종인 | 김종호 | 김중권 | |
김지호 | 김진재 | 김집 | 김춘수 | 김현욱 | |
김현자 | 나길조 | 나석호 | 남재두 | 남재희 | |
류근환 | 류수환 | 문병량 | 문용주 | 박경석 | |
박권흠 | 박동진 | 박원탁 | 박유재 | 박윤종 | |
박익주 | 박재홍 | 박종관 | 박태준 | 박현태 | |
배명국 | 배성동 | 봉두완 | 손춘호 | 신능순 | |
신상식 | 신상초 | 심명보 | 안갑준 | 안교덕 | |
안병규 | 양창식 | 염길정 | 오세응 | 오한구 | |
왕상은 | 유경현 | 유상호 | 윤국노 | 윤길중 | |
윤석순 | 이건호 | 이경숙 | 이낙훈 | 이대순 | |
이민섭 | 이범준 | 이병직 | 이상선 | 이상익 | |
이상희 | 이성배 | 이세기 | 이양우 | 이영일 | |
이영희 | 이용호 | 이용훈 | 이윤자 | 이자헌 | |
이재우 | 이재형 | 이재환 | 이종찬 | 이진우 | |
이찬혁 | 이춘구 | 이치호 | 이태섭 | 이한동 | |
이해원 | 이효익 | 이흥수 | 임방현 | 임철순 | |
장경우 | 장성만 | 전병우 | 정남 | 정동성 | |
정석모 | 정선호 | 정시채 | 정원민 | 정재철 | |
정종택 | 정창화 | 정휘동 | 정희채 | 조기상 | |
조남조 | 조상래 | 조정제 | 조종호 | 지갑종 | |
진의종 | 채문식 | 천영성 | 최낙철 | 최명헌 | |
최상업 | 최영철 | 최창규 | 하순봉 | 한병채 | |
허청일 | 현경대 | 홍성우 | 홍우준 | 홍종욱 | |
황병준 | 황설 | 황인성 | }}} }}}}}} |
[1] 친일 시인으로 유명한 미당 서정주가 지어준 아호라고 한다.[2] 물론 서정주는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전적이 참으로 화려했던지라 이 방면에서도 독보적으로 까이고 있지만 김춘수는 적어도 그 짓은 하지 않았다. 오히려 일제를 비판하다가 퇴학당하기까지 했다.[3] 1988년 2월에 있었던 퇴임 만찬 때 낭독되었던 시다. 흡연에 매우 관대하던 1980년대답게, 공식 석상임에도 너무나 태연자약하게 담배를 꼬나무는 전두환의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영상을 잘 보면 객석에서도 연기가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다.[4] 참고로 낭독하는 사람은 성우 고은정이다.[5] KNU 센트럴 파크에는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은 정치인으로 유명한 김윤환의 시비도 있다. 참고로 김윤환은 영문과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