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11:36:38

현진건

파일:은관문화훈장 약장.png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박화성
소설가
1978
김환기
화가
1978
나운규
영화감독
1978
이중섭
화가
1978
현진건
소설가
1980
박수근
화가
1980
조치훈
바둑기사
1984
박두진
시인
1988
김광균
시인
1988
김중업
건축가
1988
이봉상
화가
1989
조남철
바둑기사
1989
조훈현
바둑기사
1992
김영주
화가
1992
김춘수
시인
1992
장리석
화가
1992
전광용
소설가
1992
한갑수
교수
1995
박노수
화가
1995
전왕영
시인
1996
이창호
바둑기사
1998
김남조
시인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2001
권영우
화가
2001
박용철
시인
2001
박태현
작곡가
2001
신경림
시인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2001
최일남
소설가
2001
홍연택
지휘자
2002
고은태[1]
시인
2002
김종하
화가
2002
나춘호
출판가
2002
민경갑
화가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2002
이형기
시인
2002
이호철
소설가
2002
정수봉
교육인
2003
박봉석
사서, 국립도서관학교 교장
2003
신동엽
시인
2003
이종상
화가
2003
천상병
시인
2003
황병기
국악인
2004
김동혁[2]
연극인
2004
김사엽
국문학자
2004
김서봉
화가
2004
김충현
서예가
2004
김희조
지휘자
2004
박연희
소설가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2004
임동권
민속학자
2005
고우영
만화가
2005
김성구[3]
불교인
2005
김충실[4]
무용가
2005
전숙희
수필가
2005
이문열
소설가
2006
이규태
언론인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2006
홍기삼
교육인
2007
김주영
소설가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2007
안병희
국어학자
2008
박광진
예술인
2008
오세영
시인
2008
최종태
조각가
2008
한백유[5]
화가
2009
이미자
가수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2010
백성희
연극배우
2010
장민호
연극배우
2010
전혁림
화가
2011
신영균
영화배우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2011
하춘화
가수
2011
이근배
시인
2011
해의만
국악인
2012
최영필[6]
가수
2012
김기덕
영화감독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2012
손숙
연극배우
2012
윤일봉
배우
2013
구봉서
희극인
2013
안성기
영화배우
2013
조용필
가수
2013
최인호
소설가
2013
김혜자[8]
가수
2014
김승옥
소설가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2014
송해
희극인
2014
최영한[9]
배우
2015
이천백[10]
희극인
2015
이덕화
배우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2016
백영수
화가
2016
홍경일[11]
배우
2016
김명자[12]
배우
2016
김덕용[13]
희극인
2017
김남진[14]
가수
2017
박근형
배우
2017
윤여정
배우
2018
이순재
배우
2018
김민기
가수
2018
조동진
가수
2019
김혜자
배우
2019
양희은
가수
2019
봉준호
영화감독
2020
변인철[15]
배우
2020
고두심
배우
2021
김병기
화가
2021
이장희
가수
2021
이춘연†
영화인
2021
안숙선
국악인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2022
강수연
배우
2022
박찬욱
영화감독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2024
신순기[16]
배우
2024
강부자
배우

[1] 필명 고은[2] 예명 김동원[3] 법명 월운[4] 예명 김백봉[5] 예명 한묵[6] 예명 금사향[7] 필명 김수현[8] 예명 패티김[9] 예명 최불암[10] 예명 남성남[11] 예명 남궁원[12] 예명 김지미[13] 예명 남보원[14] 예명 남진[15] 예명 변희봉[16] 예명 신구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일제강점기의 소설가
현진건
玄鎭健 | Hyun Jin-Gun
파일:bingheo_3.jpg
족보명 현준건(玄濬健)
문약(文若)
운제(雲齊)·빙허(憑虛, 憑許)[1]
본관 연주 현씨[2]
출생 1900년 8월 9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상면 계산동
(現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 169번지)[3]
사망 1943년 4월 25일[4] (향년 42세)
경기도 경성부 동대문구 제기정
(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5]
본적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 관훈동 52
학력 보성고등보통학교 (2학년 / 중퇴)
일본 세이소쿠 영어학교 (2학년 / 중퇴)
일본 세이조 중학교 (4학년 / 중퇴)
상하이시 호강대학 (독일어 전문부 / 졸업)
직업 독립운동가, 소설가
주요 작품 운수 좋은 날》 (1924)
B사감과 러브레터》(1925)
상훈 은관문화훈장 추서
대통령표창 추서
파일:bingheo_4.jpg

1. 개요2. 일생
2.1. 출생 및 가계2.2. 유년기2.3. 청년기2.4. 말년
3. 문학적 가치4. 작품 목록5. 현진건문학상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bingheo_1.jpg
파일:bingheo_2.jpg
1919년 전후 대구노동학교 춘기 청년회의소 기념사진.
앞줄 왼쪽 넷째 인물이 현진건.
앞줄 왼쪽부터 현진건, 김일엽, 이선희, 최정희.
뒷줄 왼쪽부터 김억, 김동인, 최서해, 김동환
설렁탕을 사다놓았는데 왜 먹지를 못하니, 왜 먹지를 못하니...
괴상하게도 오늘은 운수가 좋더니만...
운수 좋은 날
그 몹쓸 사회[6]가, 왜 술을 권하는고!
술 권하는 사회

일제강점기 조선소설가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2005년 8월 15일, 독립운동의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한국 현대문학에서 리얼리즘의 시초이자 가장 한국적인 문학을 쓴 한국문학의 거성이다. 사회와 인간 개인에 대한 고찰을 소설에 담아내었다고 평가받는다.

가수 현인[7]은 그의 5촌 종질(從姪)이며, 월탄 박종화와는 사돈 지간이며, 현정주 전 국회의원은 그의 9촌 삼종질(三從姪)이다.

2. 일생

2.1. 출생 및 가계

1900년 8월 9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상면 계산리(現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에서 아버지 현경운(玄擎運)[8]과 어머니 전주 이씨 이정효(李貞孝)[9] 사이의 5형제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위로 형 현홍건(玄鴻健), 현석건(玄奭健), 현정건, 아래로 남동생 현성건(玄聖健)이 있었다.

그는 구한말 득세한 개화파 집안 출신인데, 가문이 득세한 배경은 둘째 작은아버지 현영운(玄暎運)[10]의 출세와 관련이 깊다. 현영운은 게이오의숙을 졸업한 당대의 지식인으로, 일본에서 귀국한 1885년 박문국 주사(主事)#를 시작으로 1904년 차관급인 군부 협판(軍部協辦)과 1905년 마찬가지로 차관급인 농상공부 협판(農商工部協辦), 1906년 봉상사 제조(奉常司提調) 등에 오른 관료이다.[11][12] 그의 출세에 힘입어 현영운의 첫째 남동생인 현양운(玄暘運)은 1903년 예식원 주사(禮式院主事), 1906년 탁지부 세무주사(度支部稅務主事), 1907년 태복사 기사(太僕司技師)·장례원 전사(掌禮院典祀) 등을 역임했고, 둘째 남동생인 현붕운(玄鵬運) 또한 1907년 궁내부 조마사(宮內部調馬師)에 임명되어 관직생활을 했다.

한편 현영운의 맏형이자 현진건의 친아버지 현경운 또한 구한말 출사하여 6품의 관리로 있던 1904년 3월 26일 영릉의 주산(主山)인 여주군 칭성산(稱城山) 능선 아래에 무너진 곳을 보수하는 데에 참여한 공로로 품계가 더해졌으며#, 대구전보사 주사(大邱電報司主事)로 근무하다가 같은 해 4월 1일 대구전보사장(大邱電報司長)에 임명되었다.# 할아버지 현학표(玄學杓) 또한 무관 출신의 관료로, 종4품 부호군(副護軍), 정3품 오위장(五衛將) 등 무관직을 지내다가[13], 대한제국 때는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 내장원경(內藏院卿), 창원감리(昌原監理), 창원항재판소 판사(昌原港裁判所判事) 등을 역임했다. 증조부 현경민(玄敬敏) 또한 감역 장교(監役將校)를 지내다가 절충장군(折衝將軍)의 품계에 오른 무관으로, 사후 차남 현학표가 내장원경에 오르자 내부협판(內部協辦)에 추증되기도 했다.

맏형 현홍건은 러시아 제국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대한제국 육군 부위(副尉)에 임명되었고, 외국어학교 부교관(外國語學校副敎官)으로 있던 1902년 칭경시 예식사무위원(稱慶時禮式事務委員)를 지내고 이후 학부(學部) 교관·러시아공사관의 통역관을 역임하는 등 관직생활을 했고, 둘째 형 현석건 또한 메이지대학을 졸업한 일본 유학파 출신으로 1908년 판사(判事)에 임명되어 부산구 재판소 판사(釜山區裁判所判事)에 보직되었다가 경술국치 후에는 대구부에서 변호사로 일했다.

셋째 형 현정건[14]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경상도 대표 의원, 개조파 의원 등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고생하다 출옥한 지 반 년만에 사망했으며, 현정건의 아내인 윤덕경(尹德卿)도 현정건이 사망한 지 41일 만에 음독 자살하였기에[15] 현진건은 더더욱 일본을 증오하게 된다. 이렇다보니 같은 시대를 살아간 많은 문인들이 친일반민족행위자 논란이 있던 것과는 달리 현진건은 그런 논란이 아예 없다. 아예 목숨걸고 독립운동에 나선 이육사와 더불어 문인으로서 글로 항일하던 인물로 많이 평가받는다.

2.2. 유년기

1915년 경주 이씨 이순득[16]과 결혼 후 그해 11월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16년 2학년 재학 중에 자퇴 후 도쿄로 가 세이소쿠 영어학교(正則英語學校)에 입학했다. 1917년 다시 귀국하였는데, 이때 대구에서 백기만·이상화 등과 습작 동인지 『거화(炬火)』를 발간하였다. 그해 4월에 현진건은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5년제 세이조(成城) 중학교에 3학년으로 편입하였다. 1918년 상하이 호강대학(滬江大學)[17] 독일어 전문부에 입학하여 1920년 졸업 후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자식 없이 별세한 5촌 당숙(堂叔) 현보운(玄普運)[18]에 입양되어 경성부 관훈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으로 이주하여 이곳에 본적을 두었으며, 이에 친형들과는 6촌 형제가 되었다.

2.3. 청년기

귀국 후 극작가인 7촌 재종숙(再從叔) 현희운(玄僖運)[19]의 추천으로 개벽 5호에 "희생화"를 게재하여 문단에 등단했지만, 현진건 본인이 "희생화"를 습작으로 간주하여 일반적으로 현진건의 첫 작품은 동지 7호에 오른 "빈처"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20] "빈처"가 염상섭의 극찬을 받으면서 현진건은 문학 동인 "백조"에 들어가게 되어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의 사실주의적 소설들을 잇달아 발표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1921년 조선일보에 입사하여 언론인의 길을 걷게 된다. 1924년 조선일보 사회부 기자로 있다가 1927년 퇴시하고 동아일보에 입사하였다. 이때 고양군 은평면 부암리(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로 이주하였고, 동아일보에서는 1936년까지 사회부 부장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1936 베를린 올림픽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 선수의 사진에서 일장기를 삭제한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년 간 옥살이를 해야 했다. 출옥 후에는 동아일보를 퇴사하고 양계업을 경영하면서 역사소설 <무영탑>을 저술했다.

2.4. 말년

일제 말기 현진건의 삶은 비참한 모습 그 자체였다. 당시 일제를 위한 작품을 쓰지 않으면 취직이나 생계를 이어간다는 게 거의 불가능했던 시기였다. 그런 시대임에도 현진건은 일제와의 타협을 거부한 채 가난에 찌들어 살면서 문학인으로서의 지조를 지키면서 여생을 보냈다. 그는 1939년 동아일보사에 복직하여 학예부 부장을 지내면서 장편소설 <흑치상지>를 연재했으나, 내용이 사상적으로 불온하다는 일제의 강압으로 연재가 중단되었고, 끝내 미완성 작품으로 남게 되었다.

1940년에는 양계업 경영의 실패로 인해 부암동 자택을 팔고[21] 경성부 신설정(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으로 이사했다가, 1942년 다시 제기정(現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으로 이사하고 어려운 나날을 보내다가, 결국 1943년 4월 25일 자택에서 지병인 폐결핵장결핵으로 별세했다. 평소 그는 과음하는 것이 버릇이었는데, 1932년 형 현정건이 별세한 뒤 형을 추모하기 위해 <흑치상지>를 연재하려고 했던 것이 일제의 방해로 제지당했고, 이에 상심하여 이전보다 더욱 심한 폭음을 일삼은 것이 결국 지병을 악화시킨 것이다.

현진건의 이런 삶의 태도는 친일 문학가로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광복 후에도 그게 뭐가 잘못이냐며 뻔뻔한 모습을 보인 김동인이나 주요한과 대조된다. 그 밖에 먹고 살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친일 활동을 했던 이효석이나 채만식도 있긴 한데 그나마 이들은 이걸 후회하고 죄의식을 느꼈다.[22] 음악가 홍난파흥사단가를 작곡했다는 이유로 일본 경찰에 잡혀 복역했고, 결국 석방된 후 친일 활동을 하긴 했다.

유언에 따라 화장되고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서초리(現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매장되었으나 그 후 남서울 개발관계로 묘소가 사라져 유해는 한강에 뿌려졌다.

현진건은 친일 행각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23], 사생활도 깨끗했다. 이광수 이래 일제강점기의 문인들이 기생끼고 살거나, 두 집 살림은 기본적으로 벌인 사람이 태반인데 현진건은 아내에게만 충실했다. 현진건보다 두살 많은 금슬 좋던 아내 이순득은 현진건이 죽자 슬픔에 빠졌고 현진건이 죽고 1년만에 고향 대구에서 남편을 따라 죽고 말았다.

3. 문학적 가치

한국문학의 발전 양상을 살펴보면 고전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사이에 신소설을 쓴 이인직과 이해조가 있고, 본격적으로 근대소설을 도입한 이광수가 등장하며 그뒤를 이어 1920년대 활약한 이들이 김동인, 염상섭, 현진건이었다. 그리고 현진건은 그 3명 중에서 (행적은 무시하고) 문학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음은 물론이려니와 30~40년대 후배 소설가들보다도 세련되어 한 세기에 가까운 시간이 지난 지금도 읽을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대단한 점은 빈처 이후의 작품들이 모두 일정 수준 이상으로 작품의 질이 굉장히 균일하다는 점이다. 기복이 심해서 습작 수준의 작품이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같은 일본 작가들의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못한 작품이 많은 김동인, 삼대 이상의 작품을 못 써낸 염상섭보다 확실히 우위에 있다.

형과 형수 내외가 일제에 의해 죽거나 죽은 거나 다름없는 환경에다 일장기 말소 사건 등에서도 드러나듯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을 숨기지 않았던 소설가로 그의 소설들은 일제의 지배하에 놓인 식민지 조선에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들이 많다.

"빈처", "술 권하는 사회"등은 식민지 시대를 사는 지식인의 자화상을 묘사한 소설이라고 볼 수 있고 이제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한국을 대표하는 소설 "운수 좋은 날"등은 하층민들의 삶을 리얼하게 묘사했다는 평을 받는다. 한편으로 불국사 석가탑에 얽힌 아사달과 아사녀의 전설을 소재로 한 "무영탑"과, 백제 멸망 이후 백제의 재건을 위해 싸웠던 백제 장수 흑치상지의 이야기를 다룬 "흑치상지" 등 역사 장편소설들도 있다. 장편보다는 단편들이 더 많고 단편 소설들이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뭐니뭐니해도 현진건이 대한민국 문학사에 이바지한 것은 문장서사방식. 이광수의 작품들이 아직은 신소설에서 볼 수 있는 문장에 계몽사상을 주입하는 방식이지만, 현진건의 경우는 최초의 근대식 문장리얼리즘을 한국문학에 성공적으로 이식한 공로가 있다. 그의 문우들로부터는 조선의 안톤 체호프[24]라고 불리기도 했다.

소설가인 상허 이태준과 대단히 친했고 그의 작품 중간 중간에 이태준을 연상하는 인물들이 나온다. 이태준의 토끼에서는 아예 주인공이 먼저 간 현진건을 추억하는 장면이 나올 정도였으니... 물론 이태준도 현진건과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야 하지만 1946년에 월북한 이유로 대한민국에서는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다가 이후 해금됐다.

4. 작품 목록

5. 현진건문학상

현진건문학상 항목 참조.

6. 여담

7. 둘러보기

한국의 현대문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ddd><colbgcolor=#87cefa,#010101><colcolor=#fff,#ddd> 연대 서정 갈래 서사 갈래
1910년대 상징주의 시 (김억) · 현대적 자유시 (주요한) 신소설 (이인직 · 이해조 · 최찬식)
1920년대
동인지 시대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시 (이상화) ·
김소월[1] · 한용운[2]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소설
(김동인)
자연주의 · 사실주의 소설
(염상섭 · 현진건)
신경향파 문학 국민 문학파
(신민요 운동 · 시조 부흥론)
신경향파 문학 국민 문학파
계급주의 문학 계급주의 문학
1930년대 시문학파[3] (모더니즘 시) · 생명파 · 전원파 모더니즘 소설[4] · 장편소설[5] · 농촌소설[6] · 역사소설[7]
1940년대
~ 광복
청록파 · 저항시 (이육사 · 윤동주 · 신석정) 국문학의 암흑기[8]
광복 ~
1950년대
이념시(연간조선시집) · 해방기념시집 · 순수시 귀향 소설 · 분단 문학
전쟁시 · 모더니즘 시 · 서정시 전쟁소설 · 분단 소설 · 귀향 소설
1960년대 현실 참여시 순수 서정시 참여문학 순수문학
1970년대 민중시 · 노동시 민중 소설 · 농민·어민 소설 · 노동 소설 ·
순수 소설 · 중간소설 · 대중소설
1980년대 민중시 · 서정시 · 해체시 노동 소설 · 연작소설 · 역사 장편 대하소설
1990년대
~ 현재
생태시 · 해체시 (도시시 · 일상시) · 메타시 · 디카시 일상 소설 · 다문화 문학 · 소수자 문학(퀴어, 페미니즘) 장르소설
{{{-2 {{{#!folding
[1] 전통적 운율·정서를 계승한 시인.[2] 조국 광복 염원·의지 및 부정적 현실 극복을 다룬 시인.[3] 정치적 이념을 배제한 순수 서정시를 추구한 유파. 특정 사상이나 계급주의적 관점을 강조하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에 반발하며 등장했으며, 시 동인지 《시 문학》을 중심으로 순수 서정시 운동을 주도했다. 김영랑, 박용철, 정지용, 신석정 등의 시인이 활동했다.[4] 부정적 현실을 지식인의 관점에서 비판한 소설이 많았다. 특히 의식의 흐름 기법이 많이 쓰였다. 대표적으로 이상날개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 있다.[5] 장편소설 중에서도 일제 강점기에 부정적 인물이 득세하던 현실을 반영한 소설이 이때 주목받았다. 대표적으로 채만식태평천하, 염상섭삼대가 있다.[6] 계몽주의에 기반한 농촌 계몽 소설, 향토적 삶을 다룬 향토적 농촌 소설, 식민지 지배와 통치 제도의 억압성과 부조리로 인한 농촌의 현실을 다룬 현실 비판적 농촌 소설이 있다.[7] 만주 사변 이후 더욱 극심해진 일제의 사상 통제와 검열을 피해, 역사적 사건을 다루어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8] 당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중일전쟁태평양 전쟁을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어 아예 한국어 사용 자체를 금지할 지경에 이른 관계로 주제 의식이 모호하고 불분명한 몇몇 단편들만 간신히 명맥을 이었다. 대표적으로 순수 소설인 황순원'별'이 1941년에 발표되었다. 이 시기에 학창시절을 보낸 전후세대(1920년대생) 작가들은 체계적인 한글 교육을 받지 못한 탓에 다른 세대와 비교도 안되는 굴곡진 인생 경험을 했음에도 이를 풀어내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전 세대와 60년대 부상한 한글세대(김승옥 등) 사이에 끼어버렸다.
고전문학 · 장르 문학 }}}}}}}}}



[1] 빈 것에 의지한다는 뜻이다.[2] 찬성공파(구 천녕 현씨) 25세 건(健) 항렬.[3] #[4] 시인 이상화와 같은 날 사망하였다. 같은 도시에서 태어나 같은 날에 사망하였고 둘 다 일제말기에 붓을 꺾고 친일을 하려하지 않은 점에서 굉장히 비슷한 삶을 살았다고 평하는 사람들도 있다.[5] 제기동 137-61번지에 그가 살던 집터가 남아 있다.#[6] 현진건이 이 소설을 발표할 당시에 '사회'란 단어는 막 생겨나기 시작한 신조어였다. society라는 단어를 일본에서 번역한 것이 '사회(社會)'.[7] 신라의 달밤, 비나리는 고모령, 굳세어라 금순아 등을 부른 가수.[8] 족보명 현경운(玄敬運), 이명 현경운(玄慶運, 玄炅運).[9] 이재연(李在淵)의 딸이다.[10] 초명 현영운(玄映運).[11] 1885년 박문국 주사(主事)#1888년 종6품 부사과(副司果) → 1893년 일본관 차비관(日本館差備官) → 1894년 외무아문 주사(外務衙門主事) → 1895년 번역관(繙譯官)·법부 법률기초위원(法部法律起草委員) → 1898년 궁내부 참리관(宮內府參理官) → 1900년 시종원 시종(侍從院侍從)·궁내부 번역과 번역관(宮內府繙譯課繙譯官)·예식원 번역관(禮式院繙譯官), 칠원군수(漆原郡守) → 1901년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 → 1902년 칭경시 예식사무위원(稱慶時禮式事務委員) → 1903년 철도원 회계과장(鐵道院會計課長), 1904년 궁내부 교정위원(宮內府校正委員)·철도원 감독(鐵道院監督)·일본특파대사 영접위원(日本特派大使迎接委員)·군부 협판(軍部協辦)·특명전권공사(特命全權公使)[26]·육군 보병 참령(陸軍步兵參領)·경향각대군물급문부조사위원장(京鄕各隊軍物及文簿調査委員長)·육군 참장(陸軍參將)·종2품 가의대부(嘉義大夫)·겸임 군기창 제리(兼任軍器廠提理)·원수부 검사국 총장(元帥府檢査局摠長)·군제의정관(軍制議定官)·참모부 1국장(參謀部一局長)[27]·겸임 군기창 관리(兼任軍器廠管理) → 1905년 농상공부 협판(農商工部協辦)·농상공부 대신 서리(農商工部大臣署理) → 1906년 봉상사 제조(奉常司提調) → 1907년 태복사 장(太僕司長) 등을 역임했다.[12] 사실 현영운은 출세길에 있어서 다만 승승장구만 했던 것은 아니다. 1892년 11월 오이시 마사미(大石正已)가 조선 주재 변리공사에 임명되어 당시 고종을 알현했었는데, 안경을 쓰고 대전에 들어가려고 했다. 이때 현영운은 일본관 차비관(日本館差備官)으로서 그를 만류하려 했으나 역부족이었고 결국 사달이 나고 말았다.# 이에 조정에서는 일본 정부에 임금에 대한 불경을 범했다며 공식적인 항의를 했고, 현영운은 1893년 3월 19일 '거행할 때에 무엄한 일이 많았다'며 유배형을 받기에 이른다.# 이후 전라도 진도도호부(현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접도리) 금갑도(金甲島:현 접도接島)에 유배된 현영운은 그해 12월 28일 풀려났다.#[13] 왜학훈도(倭學訓導)를 지낸 역관 출신이라고도 한다.#[14] 호는 읍민(揖民)으로 1887년생이라는 설과 1893년생이라는 설이 있다.[15] 현정건의 아내인 윤덕경은 현정건이 사망하고 41일 만에 음독자결하여 1933년 당시 신문에서 '결연 20년에 동거는 반 년'이라는 제목으로 보도되기도 하였다.[16] 이길우(李吉雨)의 딸이다. 이길우는 1891년(고종 28) 식년시 진사시에 3등 86위로 입격하였다.#[17] 현 화동사범대학. 피천득, 주요섭 등이 졸업한 대학이기도 하다. 최근 중국의 고유명사를 중국 만다린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다보니 '후장대학교'(...)라고 소개되기도 한다.[18] 관립일어학교를 수료하고, 1892년 정9품 부사용(副司勇)을 시작으로 관직에 진출했다. 이후 1895년 외국어학교 부교관(外國語學校副敎官), 1899년 번역관(繙譯官)·궁내부 참리관(宮內府參理官), 1900년 예식원 참리관(禮式院參理官), 1902년 칭경시 예식사무위원(稱慶時禮式事務委員), 1903년 탁지부 협판(度支部協辦)·공사관 참서관(公使館參書官)[28], 1904년 일본보빙대사 수원(日本報聘大使隨員)·군부 포공국 포병과장(軍部砲工局砲兵課長)·보병 정위(步兵正尉), 1907년 육군 공병 정위(陸軍工兵正尉)·군법회의 판사(軍法會議判事)#, 1908년 성벽처리위원(城壁處理委員), 1909년 근위보병대대 중대장(近衛步兵大隊中隊長)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이후 슬하에 자식 없이 1919년 6월 19일 별세했다.[19] 예명 현철(玄哲).[20] 물론 현진건 본인은 희생화를 처음 기고할 때는 투르게네프의 작품에도 은근히 비길 만한 작품이라고 생각하며 내심 기뻐했지만, 문학평론가 황석우(黃錫禹)는 희생화를 두고 "이건 소설도 뭣도 아니고, 작자가 뭘 쓰려고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소설도 아니고 독백도 아닌 것이 뭔가 예술적 형식을 갖추지 못한 일개 무명의 산문이다."라고 아주 철저하게 밟아버렸고, 현진건은 '당장에 황석우라는 놈을 찾아가서 때려죽여도 분이 풀릴 것 같지 않았'을 정도로 분개했고 다시 "당신이 일개 무명의 산문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소설은 투르게네프도 이미 몇 편을 썼다"고 항의했지만,(정확히 말하면, 자신의 작품 "희생화"가 소설의 형식을 갖추지 못한 무명 산문이라는 황석우의 비판에 대해 '이 글이 소설이 아니고 무명 산문이면 내가 문학의 신영역을 개척했다는 이야기이니 과찬인데, 사실 이런 글은 투르게네프도 쓴 적 있다'는 식의 비꼬기였다) 시간이 흐른 이후 몇 편 글을 더 쓰면서 작가로써의 경륜이 조금 쌓인 뒤에 다시 희생화를 읽어보고서 '이제와서 보니 좀 부끄럽긴 하더라'(...그냥 좀 부족하더라도 아니고, 이제 다시 읽으니 진짜 소설의 형식을 못 갖춘 무명 산문이라고 겸허하게 인정했다!)고 인정했다. 참고로 현진건이 희생화를 발표했을 때의 나이는 20살이었다.[21] 부암동의 현진건 집은 폐가처럼 방치된 채 2003년까지 남아 있었지만 집주인이 새벽에 기습철거하듯 헐어 버렸다.## 서울시는 1994년과 1999년 등 두 차례에 걸쳐 이곳을 시 지방문화재로 지정할 것을 검토했지만 "건물 자체는 보존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문화재로 지정하지 않고 ‘현진건 집터’라는 표석만 설치했고, 2015년에 인근 안평대군의 집과 함께 34억 원에 낙찰되었다. # 지금도 빈터로 방치되고 있는 듯.[22] 이효석은 "조선총독부에 근무하면서 호강을 부리던 놈이 객기로 그만둔 것은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으나, 먹고 살고자 다시 왜놈에게 아첨을 하는 글을 쓰는 건 두고두고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오."라고 지인들에게 토로했다는 증언이 있고, 채만식은 해방 이후에 민족의 죄인이라는 중편을 써서 자신의 친일 행적을 고백했다.[23] 굳이 들추자면 1940년 『춘추』라는 잡지에 소설 「선화공주」를 연재했는데 이 잡지가 동아일보 기자 출신으로 친일인명사전에도 수록된 양재하가 만든 잡지였다. 다만 4월 호부터 쓰기 시작했다가 어떤 이유에서인지 9월 호에서 중단했고, 미완성으로 남아있는 걸 읽어봐도 딱히 반민족적이거나 일제의 군국주의 정책을 찬양하는 내용이라고 할 만한 것도 없어서 이걸 친일이라고 몰기도 민망하다.[24] 체호프도 결핵으로 사망했다. 그리고 현진건과 비슷한 나이에 사망했다. 현진건은 43세. 체호프는 44세.[25] 석가탑의 아사달·아사녀 설화에 관한 소설. '아사녀(阿斯女)'는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서 언급되는 이름이지만, '아사달'은 현진건이 이 소설에서 창작하여 붙인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