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3 13:32:20

김원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축구선수 김원일에 대한 내용은 김원일(축구선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원일의 수상 내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제20회 현대문학상 수상
이제하
(1974)
김원일
바라암
잠시 눕는 풀
(1975)
김문수
(1976)
제16회 동인문학상 수상
오정희
이문열
(1982)
김원일
환멸을 찾아서
(1984)
정소성
(1985)
제14회 이상문학상 수상
김채원
(1989)
김원일
마음의 감옥
(1990)
조성기
(1991)
제2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박완서
(2001)
김원일
손풍금
(2002)
박현석
(200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파일:문화은관.jpg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2012
이름 김원일
분야 소설가
은관문화훈장(2등급)
}}} ||
<colbgcolor=#786e6f><colcolor=#fff>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원일
金源一 |Kim Won-il
'''
파일:external/img.segye.com/20160218003364_0.jpg
출생 1942년 3월 15일 ([age(1942-03-15)]세)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면
(現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현직 순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석좌교수
학력 대구농림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 / 졸업)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 / 학사)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 / 석사[1])
데뷔 『1961ㆍ알제리』 (1966)
최근작 『비단길』 (2016)

1. 개요2. 생애3. 주요 작품
3.1. 장편소설3.2. 단편소설3.3. 연작소설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소설가. 1942년 3월 15일 경상남도 김해군에서 태어났다. 대구농림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를 졸업하였다. 1966년 대구 매일신문의 매일문학상에 단편소설 '1961년 알제리아'가, 1967년 '현대문학'의 장편소설 공모에서 '어둠의 축제'가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어둠의 축제'가 당선되었을 당시 심사위원 중 한 사람이 바로 황순원이었는데, 공교롭게도 이후 김원일은 황순원문학상을 수상한다.

2. 생애


1986년 2월 18일 KBS2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초등학교 3학년 때 6.25 전쟁이 발발했으며, 이때 부친이 월북하면서 연좌제 때문에 고통스러운 가족사를 겪었다. 때문에 6.25 전쟁을 다룬 작품을 많이 썼고 또 작품세계의 주요한 테마로 자리잡고 있다. 단편 『어둠의 혼』, 『미망』, 장편 『노을』, 『불의 제전』, 『겨울 골짜기』, 『마당 깊은 집』 등이 대표적이다.

2002년에는 『마당 깊은 집』이 느낌표(MBC)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에 선정되어 인터뷰를 하기도 했는데, 가장 인상 깊은 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사서삼경이라고 대답하자 당시 MC였던 유재석김용만이 “저희는 사서삼경을 안 읽어봐서..”라고 반응했다. 그런데 그 말을 들은 김원일은 "에이, 장난치지 마세요"라고 말했고(...) 당황한 두 사람이 진짜로 안 읽어봤다고 해도 "두 분이서 나를 놀리는 것 같아"라고 말하며 믿지 않다가 정말로 안 읽어봤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황당해하며 "두 분 책 좀 읽으세요!"라고 훈계했다. 42년생이신 걸 감안하자

동생인 김원우 역시 소설가이며 형을 보고 소설가가 될 결심을 했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김원일이 전쟁과 관련된 가족사를 작품에 많이 담아낸 반면에 김원우는 거의 그러지 않았다.[2]

2009년부터 『김원일 소설전집』이 발간되고 있다.

3. 주요 작품

3.1. 장편소설

3.2. 단편소설

3.3. 연작소설



[1] 석사 학위 논문: 李光洙와 金東仁의 短篇小說 硏究 : 「無明」과 「笞刑」을 中心으로 (1984. 02.)[2] 후일 동생 김원우의 인터뷰에서 형인 김원일이 “어릴적 우리집 얘기 내가 다 써서 미안하다”라고 하며 웃으면서 사과한 적이 있었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었다. 김원일과 비슷하게 없이 살던 유년기에 대해 자주 작품으로 남긴 작가였으나 김원우의 경우에는 형에 비해 좀더 세태소설적인 작품이 많다[3] 6.25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중반의 대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며, 1990년 1월 MBC 월화드라마로 리메이크되었다. 제10회 이산문학상 수상작.[4] 원제는 '사랑아 길을 묻는다'[5] 원제는 '가족'[6] 원제는 '그곳에 이르는 먼 길'[7] 제2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8] 2016년 출간된 소설집의 표제작으로 이 해는 등단 50주년을 맞는 해이기도 했다.[9] '나는 누구인가', '나는 나를 안다', '나는 두려워요', '나는 존재하지 않았다'의 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0회 이수문학상과 제3회 이무영문학상 수상작.[10] 인혁당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팔공산', '두 동무', '여의남 평전', '청맹과니', '투명한 푸른 얼굴', '임을 위한 진혼곡'의 6편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