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3 16:17:54

김은호(화가)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은호
金殷鎬
파일:external/www.cinecafe.kr/26864b4cb6793b22ae0e6667bf0bbc74.jpg
출생 1892년 6월 24일
경기도 인천부 부내면 학산리[1]
사망 1979년 2월 7일[2] (향년 86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아명 김양은(金良殷)
아호 이당(以堂)
일본식 이름 츠루야마 마사타카(鶴山殷鎬)

1. 개요2. 생애3. 특징4. 작품5. 여담

[clearfix]

1. 개요

구한말 최후의 어진 화사를 지낸 화가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2. 생애

고종 29년(1892) 6월 24일 경기도 인천부 부내면 학산리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측량을 공부했으나, 이왕직에서 운영하던 미술학교에서 미술을 배웠고, 결국 이왕직(조선 왕실)에서 일하게 되었다. 최후의 어진을 그렸다는 말도 이왕직 시기 순종의 어진과 세조 어진 이모본을 그린 것이다. 김은호가 어용화사로 발탁되었을 때 경술국적 윤덕영의 관복을 빌려 입고 궁중에 출입할 정도였다고...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신문을 배포하다가 6개월간 감옥에 투옥되기도 했으나, 일본에서 미술 공부를 하였다. 창씨개명을 하여 츠루야마 마사타카(鶴山殷鎬)라는 이름을 지었다. '츠루야마'라는 성은 아마도 고향 학산리에서 따왔을 것이다.
파일:gmchabongnab.jpg
金殷鎬(김은호) 畵伯(화백)의 力作(역작) 金釵献納(금차헌납)[3] 完成(완성)
二十日 금차회의 간부로부터 南總督(남총독)에게 進呈(진정)[4]

그의 친일 행적 중에서 〈금차봉납도〉가 가장 유명하다. 국방헌금 조달과 황군 원호에 앞장서기 위해 귀족이나 관료 부인 등이 주축을 이룬 여성단체 애국금차회가 결성식 날, 조선군 사령부 후카자와 중장에게 금비녀 11개, 금반지와 금기지개 각각 2개 , 은비녀 1개, 현금 889원 90전을 헌납하였다.〈금차봉납도〉는 이 광경을 기념하기 위하여 김은호가 두 달 동안 노력한 역작인데, 김복수[5]와 애국금차회 간부들이 총독 미나미 지로에게 증정했다. 총독부는 〈금차봉납도〉를 엽서로 인쇄하여 황군위문대에 보내기도 하고 원본은 총독부 건물 내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공간에 걸어두었다. 이 사실은 당시 기사(『매일신보』, 1937년 11월 21일자)에 실렸다.

광복 후에는 국전 추천작가 및 심사위원을 맡는 등 국내 미술계에서 상당한 위치에 있었다. 이 때문에 그의 제자이자 역시 친일활동을 한 김기창이 김은호의 뒤를 이은 것과 더해져서 상당기간 친일행적을 쉬쉬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1952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를 기념해 초상화를 그렸고, 이는 대관식 때 여왕에게 전달되었다. 그러니까 조선의 마지막 어진화사가 그린 어진의 주인공이 2022년까지 왕위에 있었다.

3. 특징

전통 화법에 일본 사생주의와 양화법의 화풍을 흡수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미인승무도>, <간성>, <세조 어진>, <원종 어진>, <순종 어진>, <논개>, <신사임당>, <자화상>, <율곡 이이>, <최제우>, <최시형>, <송병준>, <윤덕영>, <영선군 이준용>, <흥영군 이우 공>, <매란방>, <충무공 이순신>, <성춘향>, <예수>, <엘리자베스 2세> 등이 있다.

4. 작품

5. 여담



[1]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2] 제적등본상 출생일과 사망일. 출처는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펴낸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4부 3권 735~736쪽.[3] 금비녀(금차, 금채)를 헌납하는 것을 말한다. 신문에서는 '금차헌납'이라고 나오는데, '금차봉납'이나 '금차헌납'이나 뜻은 같다.[4] 나아가서 드린다는 뜻.[5] 친일파 윤덕영의 부인이다. 애국금차회의 회장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