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 1981 [[대명(드라마)| 대명 ]] | 1982 [[풍운(KBS)| 풍운 ]] | 1983 [[개국(드라마)| 개국 ]] | 1984 [[독립문(드라마)| 독립문 ]] |
1985 [[새벽(드라마)| 새벽 ]] | 1986~1987 [[노다지(드라마)| 노다지 ]] | 1987 [[이화(드라마)| 이화 ]]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 토지 ]] |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 역사는 흐른다 ]] | 1990 [[여명의 그날| 여명의 그날 ]] | 1991 [[왕도(드라마)| 왕도 ]]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 |
1992~1993 [[삼국기| 삼국기 ]] | 1993~1994 [[먼동| 먼동 ]] | 1995 [[김구(드라마)| 김구 ]] | 1995~1996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 ]] | |
1996~1998 [[용의 눈물| 용의 눈물 ]] | 1998~2000 [[왕과 비| 왕과 비 ]] | 2000~2002 [[태조 왕건| 태조 왕건 ]] | 2002~2003 [[제국의 아침| 제국의 아침 ]] | |
2003~2004 [[무인시대| 무인시대 ]]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 | 2006 [[서울 1945| 서울 1945 ]] | 2006~2007 [[대조영(드라마)| 대조영 ]] | |
2008 [[대왕 세종| 대왕 세종 ]] | 2009 [[천추태후(드라마)| 천추태후 ]]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 근초고왕 ]]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 광개토태왕 ]] | |
2012~2013 [[대왕의 꿈| 대왕의 꿈 ]] | 2014 [[정도전(드라마)| 정도전 ]] | 2015 [[징비록(드라마)| 징비록 ]] | 2016 [[장영실(드라마)| 장영실 ]] |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 태종 이방원 ]]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 고려 거란 전쟁 ]]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colbgcolor=#090806><colcolor=white>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
방송 시간 | 일요일 / 20:00 | |
방송 기간 | 1984년 1월 1일 ~ 1984년 12월 30일[1] | |
방송 횟수 | 44부작 | |
장르 | 대하사극 | |
제작 | KBS 자체제작 | |
채널 | KBS 1TV | |
제작진 | <colbgcolor=#090806><colcolor=white> 연출 | 장기오 → 이진욱 |
극본 | 이철향 | |
조연출 | 이녹영 | |
기술감독 | 이성재 | |
조명감독 | 정대식 | |
미술감독 | 최연호 | |
음악효과 | 임택수 | |
고증위원 | 박정식 | |
자문위원 | 김기웅, 이두현, 김동욱, 김정기, 이강칠 | |
편집 | 김남주, 김현우 | |
촬영 | 김근수, 박성광 | |
카메라 | 김기철 外 다수 | |
해설 | 유강진 | |
출연 | 임혁, 나영희, 임혁주, 박칠용, 이구순, 안옥희, 최지원, 윤유선, 강태기, 임동진, 서인석, 김영철, 하대경, 한진희, 이신재, 이원종 外 |
[clearfix]
1. 개요
1984년 1월 1일부터 1984년 12월 30일까지 방영된 4번째 KBS 대하드라마. 극본은 이철향, 연출은 초기에 장기오였다가 32회부터 이진욱으로 변경됐으며, 해설은 성우 유강진이 맡았다. 대하드라마 역사상 최초로 1부와 2부를 나누고 그 사이에 휴식기를 둔 작품이다.2. 특징
시대적 배경으로는 전전작 <풍운>의 이후 시대를 다루는데, 1부는 동학 농민 혁명부터 1905년 을사조약까지 다루며 정치사에 초점을 맞췄고, 2부는 통감부 설치부터 1919년 3.1운동까지의 얘기를 다루며 민족자강운동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1부 방영 당시에는 사건 전개가 중구난방스럽고 드라마적 요소가 부족해서 전작 <풍운> 및 <개국>과 달리 호평보다 혹평이 더 많았고, 32회 시점인 1984년 8월 5일에 2부 제작을 명분으로 일시 종영시켰다.다만 당시에는 '1부'임을 명확히 표기하지 않아 시청자나 방송계 사이에서 "일본을 의식했을지 모른다"는 식의 소문이 있었다. 이에 KBS 측은 "일제의 수탈 정치가 시청자들에게 패배 의식만 불러일으킬까봐 민족자강운동에 초점을 맞추게 됐다"는 식으로 밝혔다.(동아일보 기사)
방영 초기부터 1970년대 트로이카 중 하나인 정윤희가 배정자로, 인기 성우 양지운이 전봉준으로 각각 나와 화제를 불러일으킨 바 있으며(영레이디 기사), 한동안 자존심이 강했던 정윤희는 녹화 첫날 지각한 데다 박영효가 누군지 물었다는 이유로 장기오 PD에게 꾸지람을 들어 고분고분해졌다는 일화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 KBS 영상자료실 내에 전편이 보존돼 있긴 하나, 종영 후 유선방송이나 케이블 등지에서 재방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KBS 미디어에서 비싼 값을 지불하고 구매하는 데 그치다가 2022년 5월 19일부터 유튜브 KBS Drama Classic 채널을 통해 유료로 서비스했으나 2023년 11월 말 이후 전부 내렸다.
그 외에 31회 장면 중 일부가 <역사추리> 1995년 11월 18일 방영분에서 재활용된 바 있고, 출연진 중 임혁이 나온 <TV는 사랑을 싣고> 2021년 2월 17일 방영분에서도 일부 장면이 쓰이기도 했다.
3. 등장인물
출처는 이곳이다.3.1. 주인공
- 안영보 - 임혁
3.2. 대한제국 황실
- 고종 - 박칠용
- 순종 - 이구순
- 순헌황귀비 - 안옥희
- 순명효황후 - 최란
- 순정효황후 - 윤유선
- 영친왕 - 이종민
- 공홍식 - 공경구
- 김 서사 - 양영준
- 김 상궁 - 봉수연
- 장 상궁 - 김화경
- 박 상궁 - 사미자
- 내시 - 박상만
- 김종화 - 한현배
3.3. 대신/관료
- 친러수구당
- 기타
3.4. 민족자강/독립운동
- 독립협회
- 기타
3.5. 친일반민족행위자
- 이완용 - 김진해
- 박제순 - 장용
- 이근택 - 황범식
- 이지용 - 이승호
- 권중현 - 윤성국
- 송병준 - 한진희
- 이용구 - 김순철
- 이하영 - 김상훈
- 박영효 - 민지환
- 민영준 - 김상락
- 이종건 - 선동혁
- 이재극 - 최승철
- 배정자 - 정윤희
- 남정철 - 황민
- 최정덕 - 백준기
- 이용한 - 송종원
- 이만수 - 김수일
3.6. 일본 측 인물
- 가쓰라 다로 - 김기섭
- 이토 히로부미 - 김성원
- 이노우에 가오루 - 이정웅
- 미우라 고로 - 박규식
- 우치다 료헤이 - 이영
- 스기무라 후카시 - 신종섭
- 아다치 겐조 / 국새 찾는 일본인 - 안광진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박용식[5]
- 고무라 쥬타로 - 이종만
- 우치다 사다쓰지 - 박경득
- 시부사와 에이이치 - 한정국[6]
- 하야시 곤스케 - 최정훈
- 하세가와 요시미치 - 주현
- 가토 마스오 - 김진태
- 우치다 료헤이의 부하 - 박태서
- 스기무라 후카시의 비서 - 전병옥
- 고바야시 교관 - 정종준
- 미우라 - 이종우
3.7. 서양인
- 헨리 아펜젤러 - 데니스 크리스틴
- 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 - 클래리 D. 파커
- 손탁 - 게일 제닝스
- 알렉세이 스페예르 - 릭 크레빌
- 호러스 뉴턴 알렌 - 배우 미상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배우 미상
- 조지아나 파이팅 - 배우 미상
- 뮤리얼 암스트롱 - 배우 미상
-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파블로프 - 배우 미상
3.8. 동학농민운동
3.9. 의병/선비 등
- 최익현 - 이신재
- 고능선 - 박영목
3.10. 가상인물/기타
- 송월화 - 조옥희
- 노 부인 - 안영주
- 송영진 - 임혁주[7]
- 송천주 - 이순재
- 송문영 - 안대선
- 정인우 - 김기진[8]
- 장문호 - 남성식
- 오씨 - 박현정
- 옥란 - 이덕희
- 윤웅렬의 부인 - 홍영자
- 진옥 - 연운경
- 김인실 - 최선아
- 방기삼 - 송희남
- 문옥(고능선의 손녀) - 윤상미
- 춘월 - 남윤정
- 해월 - 김소유
- 순덕 - 김선덕
- 채옥 - 윤정호
- 순교 / 한수일 - 김기복[9]
- 제중원 병실 여인 / 김화사 - 노영화
- 김 소사 - 김혜숙
- 유생 / 경무관 - 박승규
- 양 서방 / 강 서방 - 이두섭
- 마사에 - 윤미라
- 초홍 - 이한나
- 난홍 - 이기선
- 난홍의 하녀 - 권명숙
- 삼순(부인상점 점원) - 장혜숙
- 황 서방 - 박정웅
- 윤 참판(이 진사) - 이원종[10]
- 이 진사 - 송석호
- 이경선 - 박영목[11]
- 김순영 - 박용식[12]
- 한선회 - 김상락
- 교동댁 - 박현정
- 부인회 회원들 - 강양례, 이현정
- 민영환의 하인 / 이토 히로부미 영접 관리 1 - 최헌철
- 일진회 회원들 - 송종원, 김동우, 이항수
- 제중원 간호사들 - 김령, 강덕미
- 이덕순 / 치하포 사건 목격자 2 / 보부상 / 김재호 / 박 총각 / 관리 / 독립협회 회원 / 안영보를 잡은 장정 / 군교 / 김홍륙을 목격한 행인 1 / 일진회 회원 / 초홍의 하인 / 국새 찾는 일본인 / 일본군 헌병 / 평의원 사령 - 신원균
- 김홍륙과 대화하는 사내 / 국새를 뺏긴 대한제국 관리 / 이근택의 부위 - 이원발
- 김홍륙 독차사건 취조 순검 - 김환상
- 사내 - 김영배
- 치하포 사건 목격자 1 / 한선회 역모사건 당시 장정 - 차양희[13]
- 장정 - 이강수[14]
- 독립신문 판매원 - 김동우
- 독립신문 배달 우체부 - 한현배
- 전재식 - 태민영
- 가토 마쓰오의 비서관 - 전병옥
- 대한제국 대신 - 최승철
- 경무관 - 김종구
- 경무사 - 고광우
- 오일복 - 조정국
- 일본인 부인 / 여주인 - 신수강
- 김윤식(유학생) - 황순선[15]
- 병사 - 김진오
- 이승만 수감 당시 간수 / 윤치호 집 청지기 / 김홍륙을 목격한 행인 2 / 송 진사 집을 찾은 일본군 병사 2 / 이토 히로부미 인터뷰 기자 1 - 최동균
- 이토 히로부미 인터뷰 기자 2 - 김영기
- 일진회 회원 / 송 진사 집을 찾은 일본군 병사 1 - 이배국
- 국새 찾는 일본인들 - 송동섭, 안광진
- 피투성이 남자를 업은 사내 - 김영배
- 검사 - 김시원
- 이토 히로부미 영접 관리 2 / 안영보와 대화하는 사내 - 최상일
- 안창호를 회유하는 사내 - 김윤형
- 학생 - 김영선
4. 기타
- 오프닝 속 삽화는 유명 만화가 겸 풍속화가 신동우 화백이 그렸다.
[1] 8월 5일에 1부를 끝낸 후, 9월 16일 2부 방영 전까지 공백기가 있었다.[2] 어윤중과 중복배역.[3] 김윤식과 중복배역.[4] 이규완과 중복배역.[5] 조희연과 중복배역.[6] 김낙헌과 중복배역.[7] 안중근과 중복배역.[8] 한재익과 중복배역.[9] 박천봉과 중복배역.[10] 심상훈과 중복배역.[11] 고능선과 중복배역.[12] 조희연, 야마가타와 중복배역.[13] 이양섭과 중복배역.[14] 전봉준 부하와 중복배역.[15] 임혁과는 연극배우 시절부터 친했던 후배로, 해당 드라마에 나온 후 한동안 사업에 전념하다가 망하자 10여년 간 경비지도사 일을 한 바 있다. 전술한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선배 임혁과 재회한 바 있다.(머니투데이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