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10:58:36

나제동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눌지 마립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눌지 마립간/생애 · 나제동맹
관련 문서 황남대총 · 포항 냉수리 신라비
가계 가족관계
}}}}}}}}} ||

1. 개요2. 동맹 결의3. 5세기4. 6세기5. 551년 북진 (신라의 내통과 한강유역 탈환)6. 동맹 파탄 이후7. 유사 사례8. 관련 문서

1. 개요

나제동맹(羅濟同盟 / Silla-Baekje Alliance)은 삼국시대 서기 433년부터 서기 554년까지 121년 동안 지속된 신라백제의 대 고구려 군사 동맹이다. 다만 가장 길게 잡았을 때 433~554년이지만 그 시작과 중간, 끝에 대해선 이견이 있으며, 중간에 동맹이 약화되는 듯한 기록이 있기 때문에 학자에 따라선 제1차 나제동맹과 제2차 나제동맹으로 나눠 말하는 경우도 있다. 혹은 나제동맹 자체가 동맹의 정의에 제대로 부합하지 않는다고 아예 동맹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물론 '고구려의 침략을 막기 위해 백제와 신라가 힘을 합쳤다'까진 말 그대로 팩트였고, 동맹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측도 동맹 대신 대체용어가 필요하다는 식이다.

신라의 '라'와 백제의 '제'를 따와서 붙였으니 '라제동맹'이라고 해야 맞지만 두음법칙에 따라 '라'자가 '나'자가 된다.[1] 일각에서는 백제가 동맹을 주도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제라동맹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 동맹은 장수왕 시절 이후 한 세기 이상 전성기를 누리며 막강한 국력을 자랑하던 고구려에 대한 공동 대응에 목적이 있었다. 비록 세 나라가 있어 삼국시대라고 하지만 5~6세기 때는 다른 두 나라에 비해 고구려가 워낙 막강하여 신라와 백제 중 한 나라가 먼저 망하면 동맹군이 없는 다른 한 나라도 고구려에 의해 멸망당하는 것이 불보듯 뻔했기 때문에 이러한 동맹 관계는 양국에 필수불가결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때의 영불관계[2]옆나라 중국의 삼국시대 때의 촉오동맹[3], 현재의 중러관계[4]와도 꼭 닮아있다.

6세기에 이르러 백제와 신라에서 무령왕, 법흥왕과 같은 중흥 명군이 나와 두 나라의 국력이 회복, 신장되면서 고구려는 둘 중 하나조차도 압도하지는 못하게 되었고 나제동맹의 필요성도 점차 줄었다. 따라서 나제의 돈독한 관계도 자연히 느슨해져 지원군 파견도 끊기고, 국경선에 방어시설을 늘리거나 두 나라 사이에 있는 가야를 두고 신라, 백제 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사건도 벌어졌다. 그래도 여전히 한반도 중부까지 장악하던 고구려의 위세는 무시할 수 없었던지라 신라와 백제가 직접 맞붙는 상황은 자제하며 국력을 아끼고 고구려가 둘 중 한 나라로 침공해오면 일단은 함께 맞서 싸우는 형국이 지속된다. 나제동맹은 6세기 중반, 동맹군이 고구려를 무찌르고 북벌에 성공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2. 동맹 결의

427년 평양 천도로 남진정책을 추진하는 고구려장수왕에게 대항하기 위해 433년 신라의 눌지 마립간과 백제의 비유왕이 체결한 동맹이 시초이다. 백제의 성왕과 신라의 진흥왕관산성 전투에서 맞붙는 554년까지 근 120년이나 지속됐다. 다만 충주 고구려비의 내용에 따르면 449년까진 고구려와 신라가 형과 아우의 나라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나제동맹은 더 나중에 시작됐다는 설도 있다. 다만 충주 고구려비 자체가 건립년대 논란이 계속 진행중이고(해당 문서 참조) 433년에 맺은 건 고구려 몰래 밀약을 맺었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3. 5세기

파일:장수왕의 한반도 남부 침공 지도(수정).png
455년 10월 백제에 정변이 일어나 비유왕이 살해당하고, 그의 아들 개로왕도 이어지는 전쟁으로 제대로 왕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지속되자, 이 틈을 노려 456년 12월 고구려 장수왕이 백제를 공격해 왔다. 그러나 신라 눌지왕이 백제에 처음으로 군사를 파병하여 고구려군을 물리쳤다.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군사 4만으로 백제 정벌에 나서 백제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개로왕을 처형했을 때 신라 자비왕이 지원군 1만을 파병해 도와주었다. 신라 지원군 덕분에 개로왕의 아들 문주왕은 웅진으로 천도하여 나라를 이어갈 수 있었다.

고구려 장수왕의 침공으로 개로왕이 참수되는 상황이 벌어지는데, 수도 위례성이 함락으로 웅진 천도 후 493년 동성왕소지왕은 혼인동맹을 맺어 종전의 동맹체제를 더욱 강화했다.

481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신라를 공격하자 백제가 원군을 파견해 고구려군을 막아내었다.

494년 신라 소지왕은 고구려로부터 빼앗긴 고토를 회복하기 위해 고구려를 침공하여 대동강을 넘어 살수(청천강)까지 진격했으나, 고구려군에게 패하고 오히려 쫓기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때 백제 동성왕의 지원병력 3천이 도착하여 위기를 모면한다. 그러자 고구려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백제를 공격했고, 이에 소지왕은 지원군을 보내어 고구려군을 격퇴했다.

4. 6세기

6세기에 접어들면서 백제와 신라는 국력이 신장되었다. 백제는 무령왕, 성왕 시대를 맞아 혼란을 극복하고 국력을 회복했다. 신라는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시대를 거치면서 강도 높은 내정개혁을 실시하여 중앙 집권화를 이루었고, 병부와 병부령을 설치하여 군통제권을 일원화하고 군사력을 더욱 증강시켰다.

6세기 들어 신라와 백제는 가야를 놓고 점차 마찰을 빚는 경우가 늘어났다. 또 백제 동성왕 말년 501년에는 만에 하나 신라가 쳐들어올 것을 대비해 국경선 근처인 탄현에 목책을 세워 방어선을 보강하기도 했다. 521년에는 백제가 중국 양나라에 사신을 보낼 때 신라 사신도 같이 데려가기도 했는데, 신라는 서해 바다에 항구가 없어서 바로 중국에 갈 수 없으니까 백제 땅을 통과하고 백제 배를 빌려서 같이 간 것이고 동맹국이니까 이렇게 할 수도 있었지만, 이 때 신라 사신이 중국어를 할 줄 모르는 것을 이용해 백제는 양나라에다 신라가 백제의 속국이라고 거짓말을 하기도 했다.[5]

그러나 고구려에 대해서 공동 대응한다는 나제동맹은 여전히 유효했다. 548년 백제의 독산성이 고구려의 급습으로 위기에 처하자 신라가 신속하게 원군을 보내어 고구려군을 대파(독성산성 전투)하는 등 대고구려 동맹 성격의 나제동맹은 아직도 굳건했다. 결국 나제동맹이란 것은 고구려라는 극강의 위험에 대해 공멸을 면하기 위한 임시방편인 성격의 것이었다.

5. 551년 북진 (신라의 내통과 한강유역 탈환)

551년 신라와 백제의 나제동맹은 고구려에 대한 대대적인 북진을 시작하여 한강 유역을 회복한다. 처음에 한강 하류는 백제가, 한강 상류는 신라가 차지했다. 그러나 552년 한강 유역 방어가 힘에 부친 백제가 스스로 한강 장악을 포기하면서 빈 공간을 신라가 장악했다. 553년 신라의 진흥왕이 북한강과 한강 유역 등까지 모두 차지하게 되었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성왕 문서 참고. 그러나 이후에 신라가 고구려와 밀약을 체결한 사실이 백제에게 알려진 이후로 백제는 신라를 칠 준비를 한다.[6] 나제동맹의 당위성은 고구려에 맞서 공동전선을 구축하는 것인데, 신라가 고구려와 밀약을 체결함으로써 나제동맹의 당위성은 훼손당했고 백제의 뒷통수를 친 격이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가 신라에게 고구려를 함께 치자고 했지만 거절당했다.
承聖三年九月百濟兵來侵於珎城, 掠取人男女三万九千馬八千匹而去. 先是百濟欲與新羅合兵謀伐髙麗, 真興曰 “國之興亡在天, 若天未猒髙麗則我何敢望焉.” 乃以此言通高麗, 高麗感其言與羅通好. 而百濟㤪之故來爾.
승성(承聖) 3년 9월 백제 병사가 진성(珎城)을 침범하여 남녀 3만 9천명과 말 8천 필을 빼앗아 갔다. 이보다 먼저 백제가 신라와 군사를 합하여 고구려를 치자고 하니 진흥왕이 말하기를 “나라가 흥하고 망함은 하늘에 달려 있는데 만약 하늘이 고구려를 미워하지 않는다면 내 어찌 바라겠느냐.” 하였다. 그리고 이 말을 고구려에 전하니 고구려는 이 말에 감동이 되어서 신라와 평화롭게 지냈다. 그러나 백제가 이것을 원망하여 침범을 한 것이다.

백제는 배신감을 느꼈지만, 내색하지 않고[7], 왜에 몰래 사신을 보내 신라와 고구려가 밀약을 체결해 백제와 가야를 노리고 있다고 알리며, 군사를 요청한다.[8] 려라(麗羅)밀약이 체결 됨으로써 백제는 초조함을 느꼈으며, 가만히 있으면 고구려와 신라에게 눈 뜨고 코를 베일 것 같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혔기 때문에 먼저 행동에 나선다.

그리고 황초령비의 기록에 따르면 고구려가 신라의 강역 확정을 축하했다고 한다. 요동 방면에서 돌궐의 지속적인 침공을 받는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나제동맹군의 동시적인 침입을 받은 고구려가 평양성까지 털리는 사태를 막기 위해 나 말고 저기 꿀땅 먹으라고 신라의 중부지방 장악을 조장, 묵인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백제와 신라가 나제동맹을 깨고 자기들끼리 다투면 가장 이득인 건 고구려일텐데, 정작 고구려는 원 주인임에도 불구하고 관산성 전투에 이르는 한강 유역 쟁탈전의 일련의 과정에 개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9]

이런 와중에도 백제의 성왕은 혼인동맹으로 나제동맹을 지키려고 했으며, 신라군에 한강 유역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신라가 이를 묵살하자,[10] 얼마 뒤 성왕이 대가야와 를 끌여들여 신라를 공격하였다. 승성 3년(554년), 백제가 신라를 공격해 남녀 3만 9천 명과 말 8천여 필을 빼앗아가자(삼국유사), 분노한 신라는 백제와의 전면전에 나섰고 그나마 형식적으로 남았던 나제동맹은 완전히 파토났다.

끝내 신라의 진흥왕은 백제와 일대 격전을 벌였고, 그것이 관산성 전투성왕의 전사로 이어졌다. 백제의 성왕이 가다가 잡힌 경로가 전장이 아닌 경계라인이었고, 데리고 간 부하 수가 수십명 남짓이란 점, 매복해있던 신라군에 급습당했단 점에서 볼 때 당시 성왕은 신라와 전투를 하러 가던 길이 아니라 함께 참전했던 아들을 독려해 주려 가던 길이란 설이 제기되었다.

6. 동맹 파탄 이후

관산성 전투 패전 이후 백제편에 섰던 반파국은 562년 이사부가 이끄는 신라군에게 멸망했으며, 왜는 가야 멸망 이후로는 백제 멸망 이전까지 다시 신라와 부딪히지 않았다. 백제는 관산성 전투 이후로도 신라를 몇 차례 공격하다가 7세기 중반에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고구려와 여제(麗濟)동맹을 맺고 신라를 공동 압박했고, 660년 삼국통일전쟁에서 나당연합군에게 멸망하는 그 날까지 신라와 불구대천의 원수로 치열하게 전쟁을 벌였다.

신라는 전략적 요충지인 한강 유역을 확보하고 중국과 직접 왕래할 수 있는 서해안 항구를 얻어 향후 백제, 고구려 정벌의 기틀을 마련했지만 동시에 진평왕대부터 무열왕 시기까지 이어진 고구려, 백제와의 양면 전쟁으로 존망의 위기에서 사투를 벌였다.

7. 유사 사례

세 나라가 존재했고 소설 삼국지로 유명한 중국사삼국시대에도 북쪽의 조위의 우월한 국력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남서쪽의 촉한과 남동쪽의 손오가 협력한 것은 한국사의 나제동맹과 구도와 전개가 비슷한 부분이 많다. 차이점은 도중에 불화가 생겨 동맹이 깨지고 이릉대전을 벌이긴 했지만 결국 위나라에 대응하기 위해선 상대적으로 작고 약한 두 나라가 싸우지 않고 공동 대응하는 게 이득이었기 때문에 유비 사후 거의 바로 다시 촉오동맹을 복원한다. 나제동맹처럼 서로 직접적으로 파병해 도와주는 구도는 아니었지만 서로 싸움을 자제하고 북벌을 해도 타이밍을 맞추는 식으로 합을 맞추었고 위나라는 양쪽을 방어하기 위해 사마의, 진태 같은 유능한 신하들을 동에 번쩍 서에 번쩍 굴려가며 꽤나 골치를 썩혀야 했다. 사실 국력으로 따지면 위가 촉이나 오보다 훨씬 강했지만 삼국의 균형이 계속 이어진 건 촉오동맹 덕이 컸다.

삼국시대가 신라의 삼국통일로 끝나면서 한반도 내 동맹은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이후 나제동맹과 같은 강력한 동맹 관계는 수백 년이 지나 고려와 신라가 920년도에 동맹을 맺게 되면서 약 370년 후에 다시 나타나게 된다.[11] 경순왕 때 사로국만 남은 신라가 워낙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적어도 이 시기의 신라는 경북 동부는 직접 지배, 경남 동부는 간접 지배하며 영토 국가로서의 면모는 유지하던 때라 당연히 이 군사동맹은 기대했던 효과를 나타냈다. 모양새로만 보면 3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광개토대왕~장수왕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연상시켰다. 차이가 있다면 전고려가 점거했던 경북 서북부는 신라가 스스로 고구려군의 존재를 용인하며 불러들인 결과인 반면, 고려는 물론 신라에겐 동의도 받지 않고 점거했다가 사후승인 받았다 정도. 이 동맹은 견훤이 불과 7년만에 서라벌 함락으로 파훼하면서 공산 전투라는 결정적 이벤트로 당대인과 후세인에게 강력한 이미지를 남겼기에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적어도 이 7년 동안 견훤이 겪어야했던 고생은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다. 경애왕이 그토록 잔인한 최후를 맞아야 했던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었다. 고려와 신라의 짧은 동맹 이후 한반도는 분열 없는 오랜 단일 왕조 시기에 진입하며 한반도 내 동맹은 자취를 감추게 된다.

8. 관련 문서



[1] 나당동맹, 나당전쟁에서도 마찬가지다.[2]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등 추축국에 공동 대응.[3] 에 공동 대응.[4] 미국에 공동 대응.[5] 신라는 서해바다와 거리가 멀어 중국과 직접 교류하기 어렵다보니, 중국에 사신을 보낸 건 부견전진에 사신을 보낸 이후 140년만이었다.[6] 밀약의 대가로 신라는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 점유를 인정받았고, 함흥평야를 할양받았다,[7] 내색하거나 신라측에게 따졌다면 고구려와 신라 양측에서 공격당할 수 있는 명분을 주기 때문에 최대한 저자세를 취하며 밀약을 모르는 척했다고 추정하는 게 합리적이다[8] (흠명 13년) 552년 5월 8일[9] 하지만 개입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못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나제동맹의 한강 점령 시기는 비록 장수왕이 승하한지 반 세기 정도 밖에 안 지났으나 마지막 전성기를 이끈 안장왕의 승하 후 안원왕-양원왕으로 이어지는 혼란기를 겪고 있었다. 왕위 계승과 귀족들의 정치싸움으로 인해 수도 평양과 황해도의 한성 지역을 방어할 군사력은 됐을지 몰라도 한강 지역까지 영토를 유지할 역량은 안되었던 것. 무엇보다도 당시 고구려는 북방의 신흥 강자로 떠오른 돌궐의 침입을 막아야 했다.[10] 진흥왕의 방심을 유도했다는 주장도 있음[11] 흔히들 나당동맹에 대항한 여제동맹이 있었다고 생각하지만 여제동맹은 신라에 대한 보복에 그 목적을 두었을 뿐 안보를 같이 하는 개념이 아니다. 이마저도 640~650년대에 적의 적은 나의 친구 정도 선으로나마 잠깐 유효했다. 고구려-수 전쟁에서도 무왕의 경우 말뿐이지만 수나라 편을 들었고 고구려가 이 소식을 입수해 백제에 보복할 정도였고 삼국시대 내내 여제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