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1. 노선 정보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73번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경복대학교)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석계역1번출구A) | ||
종점행 | 첫차 | 05:1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2:0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일 8회 | 주말배차 | 일 4회 | ||
운수사명 | 경기버스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경복대학교 - 닥내미 - 신도브래뉴아파트, 진접역 - 휴먼시아아파트 - 진접역4,5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 양지아파트 - 휴먼시아16단지 - 반도유보라아파트 - 진접하우스토리 - 청화빌라.장미.롯데캐슬@, 홈플러스 진접점 - 진접농협 - 봉현마을.광동중고등학교 - 내동마을.한신아파트 - 내각삼거리, 자연사박물관 - 원내곡 - 임송마을입구.임송삼거리 - 관사.일신건영.새마을금고 - 퇴계원농협 - (퇴계원터널 경유) - 별내농협.국궁장 - 별내역2번출구.이마트 별내점 - 쌍용예가.미리내마을4-4단지 - 삼육대앞 - 태릉국제사격장 - 경춘선숲길.화랑대역공원 - 화랑대역2번출구 - 태릉입구역 - 석계역1번출구A |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했다. |
2. 개요
경기버스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9km였다.3. 역사
- 현재의 73번은 2010년 3월 22일 7-3번과 8번이 통합되어 개통된 노선이었다.
===# 舊 7-3번 #===
2009~2010년 퇴계원 - 석계역 운행시절.
- 대진운수 시절부터 다니던 역사 깊은 노선으로, 7번의 석계역ᆞ태릉입구 방면 지선이었다. 유사 노선으로는 내각리, 내곡리 경유노선인 73번이 있었다.
- 초기의 7-3번은 오남리(어냄이) - 양지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석계역 이였는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장현을 경유하는 전통적 코스에서 사릉(용정리)로 넘어가는 코스로 이동패턴이 변화하자 7-3번도 2002년 전후로 7-5번을 따라서 광릉내 - 장현 - 오남읍 - 사릉 - 퇴계원역 - 석계역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결국 2009년 1월 31일 퇴계원 이북 구간이 단축되어 1156번과는 담터구간에서 7-3번은 직선도로를 경유하고, 퇴계원읍사무소까지 가지 않는 점을 빼고는 대부분 같은 노선이 된다. 다만 가스충전 문제[2], 인가댓수 부족이라는 문제가 있었고, 배차 간격은 1156번 보다 떨어졌다.
- 이용객이 적다보니 사실상 1156번 수요를 주워먹는 꼴이 되었고, 이후 2010년 3월, KD 인수 후에 중복노선 정리의 일환으로 8번과 통합하여 73번으로 변경된다.[3]
- 2010년 노선변경 당시엔 진접택지지구 및 경복대를 경유하여 광릉내까지 왔으나 2012년에 광릉내차고지에서 철수하면서 2012년부터는 광릉내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4] 경복대 - 광릉내 구간은 21번과 92번으로 대체 가능.
===# 舊 73번 #===
- 舊 73번은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담터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 노선으로 대진운수 시절부터 운행되던 노선이다. 현재의 73번과의 차이점은 진접택지지구 대신 광릉내로 운행하고 별내택지지구를 경유하지 않는다는 점. 당시 7-3번이 진건/오남을 경유하던 것과 달리 73번은 내곡리, 내각리를 경유하여 소요시간이 더 짧았다.
- 수도권 통합 요금이 시행된 이후로는 석계역은 다른 노선을 이용하여 퇴계원에서 1156번으로 환승하면 충분했기에 가뜩이나 존재감도 없던 노선이 비중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2009년 5월 23일, 당시 퇴계원 - 석계역을 운행하던 7-3번에 흡수되며 사라진다.
- 즉, 舊 73번은 현재의 73번과 사실상 같은 노선이지만, 舊 7-3번에 흡수되어 사라졌다가 7-3번과 8번이 통합되어 73번이 되면서 다시 부활한 셈.
===# 舊 8번, 78번, 78-1번, 80번 #===
8번 | 78번 |
- 78번은 현재의 92번과 유사한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동 - 구리여고 - 광나루역 - 강변역 노선. 1001번이 2005년 10월에 광릉내로 연장되기 전 까지 광릉내에서 유일한 강변역 방면 시내버스 노선.
- 하지만 1번과의 중복 등 으로 인해 수요는 저조하여 최소 30분 이상의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997년 6월, 구리농수산물시장 개장 당시에 교통편의를 제공하고자 78-1번이라는 구리농수산물시장을 추가로 경유하는 가지치기 노선도 있었다. 그러나 소리 없이 잊혀졌다.
- 이후 2004년, 7-8번의 장현 - 돌다리 구간 보조와 경쟁관계에 있던 1번을 견제하기 위해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장자대로 - 토평동(구 5번 종점) 구간의 8번을 신설하였다.
- 8번의 개통이후 7-8번과 8번의 운행횟수가 1번과 맞먹게 되어 해당구간에서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노선이 대부분 중복되던 78번은 운휴, 운행재개를 반복하고 중간에 노선번호도 80번으로 변경되기도 했다.
- 중간에 역으로 8번이 80번에 흡수되기도 하며 부침이 잦다가, 최종적으로 2009년 1월 31일부터 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인창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장자대로 - 토평동(대원여객) 노선의 8번으로 정착되었다.
- 2010년 3월, 진접택지지구 버스노선 신설 및 중복노선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1번과 대부분의 구간이 겹치던 이 노선은 당시 퇴계원 - 석계역 구간을 운행하던 7-3번과 통합되어 현재의 73번 노선(진접택지지구 - 장현 - 내각리 - 퇴계원 - 석계역)으로 재편되며 사라졌다. 동시에 92번이 진벌리(현재는 광릉내)로 연장되면서 8번, 80번(구 78번)을 사실상 대체하게 됐다.
3.1. 통합 이후
- 이후 무난하게 다니다가 2015년 10월 11일에 별내신도시와 퇴계원을 잇는 퇴계원터널이 개통되면서 별내농협, 별내역(이마트) ,별내상업지구, 메가볼시티, 삼육대 후문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1 이에 따라 갈매사거리, 금강로는 경유하지 않으며, 한별초등학교 정류장에서 자매노선인 74번과 갈라지게 되었다.
- 2018년 1월에 74번 증차를 위해서 1대가 감차되었고, 2018년 12월에 34번 증차로 2대가 더 줄어 인가와 달리 실제로는 12대로 운행한다. 이후 땡큐버스 신설로 감차를 더 거듭해 9대만 남았었다.(디젤 3대, 가스 6대)
- 2020년 10월에 1대가 감차되었다.
- 2022년 3월에 3-1번 증차를 위해서 2대가 감차되었다.
- 2023년 6월 30일부로 115번 개통을 위해 폐지됐다. 해당 노선의 인가를 이용해 석계역 방면 노선을 개통했으며, 번호 및 운행 구간 조정의 형식을 통해서 변경된다.
4. 특징
- 2018년까지만 하더라도 일평균 이용객이 무려 1만 4천 명에 달할 정도로 별내, 퇴계원, 장현, 진접 등에서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던 노선이었고, 그만큼 배차도 상당히 좋았다. 그러나 2019년 이후로 땡큐90번 신설을 위해 차량들이 차출되어 점점 배차간격이 길어지더니 코로나 사태와 진접선 개통 여파까지 겹치면서 차량이 대량으로 감차되었고 10~20분이었던 배차간격은 100~200분 이상이 되어버렸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으로 1일 운행횟수가 적어졌다 보니 수요도 90% 가까이 증발하였고, 결국 2023년 115번 노선이 개통되면서 6월 말에 폐선되었다.
- 배차간격이 10~20분이던 리즈 시절에는 진접지구 및 장현/내각리에서 주곡중, 광동중•고등학교로 통학하는 수요가 꽤 많았다. 석계역 방면 한정으로 삼육대, 삼육중•고등학교의 수요도 많았던 편. 퇴계원에서는 1156번과 경쟁하기도 했다.[5]
경복대학교 방향 | 석계역1번출구A 방향 |
남양주시방면 (진벌리 경복대) | 석계역방면 |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했다.
- 진벌리차고지에서 휴식 및 가스충전을 하지만 승차할 수 없었다. 경복대가 기점이기 때문이었다.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철도역만 기재.[1] 양지리로 단축되었다가 아무래도 업체가 다르다보니 관리상 이유로 2007년에 광릉내로 다시 환원되기도 하였다.[2] 이건 1156도 같았다. 대신 회송거리에 있어서도 1156 보다 더 길었지만(1156은 태릉교통 본사, 7-3은 오남읍 양지리).[3] 같은 날에 사릉에서 타절하던 92번은 퇴계원역, 진관리, 사릉한신, 용정리 경유가 삭제되고 퇴계원다리 이북은 기존의 8번이 다니던 코스대로 다니게 된다. 그리고 1-5번이 그 코스를 받아서 다니게 되었다.[4] 직행좌석버스와 92번의 차고지로 삼기 위해서 이후 광릉내차고지를 KD 운송그룹이 매입하기는 했지만 73번은 환원되지 않았다.[5] 또한 이 노선의 급행버전인 74번도 있었으나, 하루에 12회밖에 운행을 안했던 탓인지 존재감이 별로 없어 결국 2020년에 폐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