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5:41:26

서울 버스 202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040
1권역 100 101 102 103 104
105 107 109 110 111
120 121 130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50 151 152
160 162 163 171 172
173
2권역 201 202 240 241 242
260 261 262 270 271
272 273
3권역 301 302 303 320 333
340 341 342 343 345
350 360 361 37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400 401 402 405 406
420 421 422 440 441
452 461 463 470 472
5권역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40 541
571
6권역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40 641 643
650 651 652 653 654
660 661 662 672 673
674
7권역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20 721 740 741
742 750 752 753 760
761 771 77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서울02 서울04 서울05 서울07
서울08 서울09 서울1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자율주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자율주행
상암A21 새벽A160
}}}}}}}}} ||
파일:서울 버스 202_1710.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번호 혼란 문제 : 202 vs 202
4.1.1. 남양주 버스 202번이 있는 상태에서 서울 버스 노선 번호 변경4.1.2. 서울특별시 행정에 대한 비판4.1.3. 경기도 202번으로 잘못 탔을 때 대처법
4.2. 기타 사건·사고4.3.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개요

태릉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1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0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02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202번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동(후암동종점)
종점행 첫차 04:00 기점행 첫차 05:25
막차 22:00 막차 23:30
평일배차 5~10분 주말배차 토요일 7~11분 / 공휴일 8~12분
운수사명 태릉교통 인가대수 36대[1]
노선 202번종점 - 신안인스빌아파트 - 화접초등학교.별내고등학교 - 별내리슈빌아파트 - 별사랑마을 - 별내동주민센터.쌍용예가APT - 미리내마을·한별초등학교 - 삼육대앞 - 태릉선수촌 - 서울여대.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서울시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신당역.중앙시장 -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 을지로3가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승강장) → 갈월동 → 남영우체국 → 용산중고교 → 후암동종점 → 후암시장 → 남대문경찰서 → 숭례문 → 이후 역순

3. 역사

4. 특징

4.1. 번호 혼란 문제 : 202 vs 202

4.1.1. 남양주 버스 202번이 있는 상태에서 서울 버스 노선 번호 변경

2005년 9월에 9101번 광역버스가 108번으로 전환되어 舊 108번이 202라는 번호를 받았는데[7], 정작 남양주시의 시내버스 중에 청량리역으로 향하는 202번 버스가 또 있어서 버스 잘못 탄 사람이 꽤나 많았다. 이 노선과 그 노선은 청량리[8]부터 중랑역 중앙차로 정류소까지 중복된다. 현재는 표준도색을 적용하여 많이 나아진 상황. 그래도 번호가 같아 헷갈릴 사람들은 충분히 헷갈리는 듯하다.[9]

당시 남양주에선 202번 외에 707번 또한 G버스 표준 도색 도입 전까지 서울시내버스 도색을 따라했다. 서울-경기 환승이 불가능했던 2007년까지만 해도 서울 버스인 줄 알고 해당 버스에 승차했다가 환승 인정이 안 돼서 돈은 돈대로 깨지고, 버스는 다른 곳으로 가니 당황한 사례도 제법 있었다. 게다가 707과 달리 이건 좌석버스가 아닌 일반버스라 청량리~중랑역 사이에서 최초승차한 사람이 그대로 낚여 퇴계원으로 모셔지는 경우가 많았다고... 남양주 202 역시나 어느 정도는 도색을 따라했다. 번호를 바꿀 때 이를 고려하여 200번이나 203번 등으로 바꾸지 않은 것이 아쉬울 따름.[10]

2021년 8월 2일부로 108번이 폐선되면서 이 노선의 번호를 다시 108번으로 복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간간히 나오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장담할 수 없다.

4.1.2. 서울특별시 행정에 대한 비판

2005년 이미 남양주 버스 202번이 있는 상태에서 108번 노선 번호를 202번으로 바꾼 것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의 행정 미숙이라는 의견들이 있다.

* 2020년대 기준으로는 이 노선이 202번으로서 운행해온 기간이 20년에 달하다보니 다들 익숙해진 상태이나, 지역 주민이 아닌 경우 여전히 불편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과감하게 번호를 변경하자는 의견이 존재한다. 실제로 2021년에 108번 번호를 사용하던 양주 - 동대문 노선이 폐선되며 번호가 비게 되었고 202번을 다시 108번으로 변경하자는 주장이 많아졌다. 하지만 서울시측 입장에서는 이제 와서 번호 변경을 하는 것이 고정 이용 주민들의 혼동을 유발하고 얼마전까지 사용하던 폐선된 번호를 재활용 하는 것은 폐선 노선을 이용하던 사람들에게 혼동을 주기 때문에 번호 변경이 쉬운 일이 아니다. 실제로 760번의 경우 2017년 이전에 파주 - 영등포를 운행하던 노선이 사용하는 번호였다가 노선이 없어졌고, 이후 2021년에 서울역 종점이던 707번이 영등포로 노선을 바꾸면서 760번으로 변경하였는데 과거 파주 760번을 이용하던 사람이 민원을 넣는 사례가 있었다고 한다.

4.1.3. 경기도 202번으로 잘못 탔을 때 대처법

4.2. 기타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18년 11월 17일에 오전 8시 15분경 떡전교사거리 부근에서 앞서가던 승용차와 화물차를 비롯해 10대 가량을 들이받았다. # 추돌 후에는 약 100m 가량을 돌진하여 중앙차로 정류장과 마주오던 버스(105번)와 충돌하였다. 사고 원인은 주행중인 오토바이와 신경전을 벌이다가 홧김에 엑셀레이터를 밟아 사고가 난 것으로 밝혀졌지만 엔진 결함 때문일 수도 있다고 한다.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02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4,665명 -
2014년 24,644명 ▽ 21
2015년 24,658명 △ 14
2016년 24,343명 ▽ 315
2017년 24,106명 ▽ 237
2018년 23,537명 ▽ 569
2019년 23,657명 △ 120
2020년 18,341명 ▽ 5,316
2021년 18,850명 △ 509
2022년 21,587명 △ 2,737
2023년 22,445명 △ 858
2024년 22,857명 △ 412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02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후암동종점
03204
용산중고
03203
용산중고
03205
후암시장
03201
남영우체국
03208
후암삼거리
02120
갈월동
03012
남대문경찰서
02218
서울역버스환승센터
02004
숭례문
02122
숭례문
02008
남대문시장앞.이회영활동터
02219
북창동.남대문시장
02127
롯데영프라자
02142
롯데백화점
02140
을지로입구.로얄호텔
02156
을지로2가.기업은행본점.서울노동청
02158
을지로2가.파인에비뉴
02159
-
을지로3가
02161
을지로3가
02160
을지로4가.베스트웨스턴국도
02163
을지로4가
02162
을지로5가.중부시장
02166
방산시장.을지로4가역6번출구
02165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02169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02172
광희동.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02235
-
충무아트센터.스포츠센터.중부소방서
02178
충무아트센터.스포츠센터.중부소방서
02177
신당역4번출구.서울중앙시장
02182
신당역1번출구.서울중앙시장
02181
성동고등학교
02184
성동고등학교
02183
신당파인힐하나유보라
02252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
04103
뉴타운아파트
04105
상왕십리역
04102
상왕십리역
04113
상왕십리역.텐즈힐아파트
04114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6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7
- e편한세상청계센트럴포레아파트
06310
동아제약앞
06183
동아제약앞
06184
서울시동부병원
06183
서울시동부병원
06182
제기동역.서울약령시
06023
제기동역.서울약령시
06024
청량리수산시장
06426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06022
청량리역환승센터(2번승강장)
06018
청량리역환승센타(4번승강장)
06015
- 청량리미주아파트.동대문세무서
06021
서울성심병원
06114
떡전교사거리.동대문노인복지관
06014
휘경동입구
06117
시조사삼거리
06013
삼육서울병원
06012
삼육서울병원
06011
중랑교
06010
중랑교
06009
중랑역.동부시장
07006
중랑역.동부시장
07005
중화동한신아파트
07110
국민은행중화동지점
07109
지하철7호선중화역
07108
지하철7호선중화역
07107
한국전력동대문중랑지사
07106
한국전력동대문중랑지사
07105
먹골역4번출구
07426
먹골역5번출구
07425
묵1동주민센터입구.먹골역
07214
묵1동주민센터입구.먹골역
07215
묵동공감대아파트
07202
-
묵동구길
07212
묵동구길
07213
주유소앞다운복지관
11114
태릉입구
11478
화랑대역1번출구
11118
화랑대역2번출구
11139
화랑대사거리
11140
화랑대사거리
11141
경춘선숲길.화랑대역공원
11142
경춘선숲길.화랑대역공원
11143
서울여대.육군사관학교행정안내소
11144
서울여대.육군사관학교행정안내소
11145
태릉국제사격장
11146
태릉국제사격장
11147
태릉
11148
태릉
11149
태릉선수촌
11150
태릉선수촌
11151
태릉국제스케이트장
11152
태릉국제스케이트장
11153
삼육대앞
11154
삼육대앞
11155
담터고개
11156
담터고개
39006
삼육대후문.논골.한화아파트
42100
삼육대후문.논골.포레나별내
42101
미리내마을4-2단지.한별초등학교
42420
미리내마을4-2단지.한별초등학교
49450
미리내마을4-4단지.쌍용예가
42418
쌍용예가.미리내마을4-4단지
42417
별내동주민센터앞.쌍용예가정문
42416
별내동주민센터앞.쌍용예가정문
42415
동익미라벨
42414
동익미라벨
42413
포스코더샵아파트.별사랑마을2-9단지
49436
포스코더샵아파트.별사랑마을2-9단지
49435
별사랑마을2-7단지
42410
별사랑마을2-7단지
42409
효성해링턴코트.별내커뮤니티센터
42445
효성해링턴코트.별내커뮤니티센터
42425
주을곡.남재공원
42408
주을곡.남재공원
42407
별내리슈빌아파트
42422
별내리슈빌아파트
42421
별내스위첸아파트.루이어닻별
42406
루이어닻별.별내스위첸아파트
42405
화접초등학교.별내고등학교
42404
화접초등학교.별내고등학교
42403
별빛마을3단지.신안인스빌정문
49894
별빛마을3단지.신안인스빌정문
49893
신안인스빌아파트
42402
신안인스빌아파트
42401
불암동
42066
불암동
42069
202번종점
42068ㆍ42067
}}}}}} ||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별내신도시 운행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colbgcolor=#003894> 남양주시
당고개역
잠실역
먹골역
202서울역
석계역
기타 행선지
48-1갈매
8300양주
3003포천
79구리/다산
2212중랑구
}}}}}}}}} ||

[1] 2025년 04월 01일부터 청학리 방향이 아닌 별내역 경유로 변경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0255b><colcolor=#fff> 왕복 경유 노선
편도 경유 노선
회차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정부시
1143
8112
구리시
202
1155
2212
남양주시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 담: 담터고개만 정차.(남양주 방면 한정, 서울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3, 4권역 | 성남, 하남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성남시
333
343
345
440
3420
4432
하남시
341
370
3217
3316
초: 초이동 / 위:위례신도시 / 도:하남시위례도서관만 정차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안양시
152
500
5618
6515
군포시
441
502
의왕시
과천시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광명시
643
651
652
653
N61
5012
부천시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7권역 | 고양, 파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양시
171
271
571
701
706
708
720
740
741
750A
761
N37
7211
7711
7722
7723
8772
파주시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
서울동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틀:서울동행버스 참조.



[1] 토요일 30대 / 공휴일 27대 운행[2] 1155번은 별내 북부 외곽으로 살짝 지나간다.[3] 화랑대, 태릉입구역에 서며 석계역까지 간다.[4] 차고지 건너편에 군부대(별내동 예비군 훈련장으로도 쓰인다)가 있다.[5] 사단본부는 불암산입구 정류장 앞에 있었다. 버스 종점 앞에 있던 것은 포병연대.[6] 화랑대역에서 1155번은 23:35경, 82A/B번은 00:00경이면 별내 방향 막차가 끊긴다.[7] 본래 노선번호 기준대로라면 서울특별시에 진입하는 권역을 기준으로 하여 번호를 부여하기 때문에 노원구를 통해 진입하는 이 노선은 108번이 맞았다. 그러나 1권역 쪽 번호가 전부 차버리자, 예외를 적용하여 출발지는 2권역(남양주시)인 이 노선의 번호를 바꿔버린 것.[8] 정확히는 떡전교사거리. 남양주 202번이 현대코아에서 회차한 뒤에 환승센터를 쌩까고 미주상가에서 청량리역 승객을 태우기 때문에.[9] 그나마 운행 차량이 태릉교통은 저상버스, 경기운수는 좌석차량으로 다르지만, 버스 동호인이 아닌 이상 보통 그걸 신경 쓰는 일은 없으니 의미가 적다.[10] 2005년 당시 기준으로 200번은 번호로선 사라진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오히려 1225번과 통합했을 당시 사용할 기회가 있던 셈이었다. 203번은 2006년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9205번 폐선에 따른 시내구간 대체노선(신내동 - 서울역)에 사용되었다.[11] 그런 이유에서 당시 인천 - 서울 광역버스와 번호가 겹치던 9100, 9200, 9300, 9500, 9501번은 아예 쓰이지 못 했다. 그나마 예외는 9400번이며, 이것만 잠시 서울 광역버스 번호에 사용했었다.[12] 버스별로 목적지 인근 정류소 하차 후 도보 혹은 202번으로 환승.[13] 가장 편한 방법이다. 정류소에서 내려서 도보 없이 같은 곳에서 버스만 기다리면 된다.[14] 다만, 예외로 상봉역이나 망우역 같은 근거리에서 잘못 탄 걸 알아차려서 하차했을 경우 7호선 상봉역까지 걸어가서 전철 타는게 더 나을 수도 있으니 본인이 알아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이 경우 화랑대역 이북 구간을 갈 경우에는 7호선 먹골역에서 내려서 환승하면 된다.[A] 삼육서울병원 하차[B] 후암동 방면은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하차.[B] [18] 갈월동, 남영우체국 하차[B]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