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0:52:59

서울 버스 N16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 심야A21
}}}}}}}}} ||
파일:서울N16양천.jpg
양천운수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양천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6.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16 노선도.svg파일:서울 N16 노선도 다크.svg
기점[1]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종점[2]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온수동종점)
종점
첫차 23:50 기점
첫차 00:00
막차 03:45 막차 03:45
배차간격 20~35분 (1일 12회)
운수사명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 / 양천운수 인가대수 12대[3]
노선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혜화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퇴계로5가 - 충무로역 - 명동역 - 남대문시장.회현역 - (→ 숭례문 → 시청앞 → 세종대로네거리(U턴) → 염천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 서울역서부 - 만리동고개 - 공덕역.공덕시장 - 마포역 - 마포대교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신도림동.구로역 - 구일역 - 동양미래대학교.구로성심병원 - 개봉역 - 오류동역 - 온수역 - 온수동종점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N16번 운행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횟수 도봉산역 출발 온수동 출발
1 23:50 00:00
2 00:10 00:20
3 00:30 00:40
4 00:50 01:00
5 01:10 01:20
6 01:30 01:40
7 02:05
8 02:25
9 02:45[4]
10 03:05
11 03:25
12 03:45
}}}}}}}}} ||

4.2.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6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온수동종점
17290
온수역
17185
온수역
17184
우신고등학교
17183
우신고등학교
17182
궁동청소년문화의집.구로검사소
17181
궁동청소년문화의집
17180
연세중앙교회
17179
연세중앙교회
17248
씨티월드
17173
오류지구대.신오류주유소
17174
오류동역
17171
오류동역
17172
오류1동주민센터.오류문화센터
17169
오류1동주민센터.오류문화센터
17170
경인중학교.개봉사거리
17012
경인중학교.개봉사거리
17011
개봉역.한마을아파트
17010
개봉역.영화아파트
17009
동양미래대학.구로성심병원
17008
동양미래대학.구로성심병원
17007
구일역.제일제당
17006
구일역.중앙유통상가
17005
신도림동.구로역
17004
신도림동.구로역
17003
신도림역
17002
신도림역
17001
문래동남성아파트
19001
문래동남성아파트
19002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19003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19004
영등포역
19005
영등포역
19006
한국경제인협회
19161
여의도공원1번출입구
19152
여의도환승센터(2번승강장)
19007
여의도환승센터(3번승강장)
19008
파크원타워.LG트윈타워
19284
-
마포역
14001
마포역
14002
공덕시장
14142
공덕역.공덕시장
14141
신덕성결교회
14143
신덕성결교회
14144
한겨레신문사
14146
한겨레신문사
14145
만리동고개
03227
만리동고개
02101
손기정체육공원
03228
손기정체육공원입구
02102
서울역서부
02105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서울역서부
02103
- 중림동교차로
02106
- 염천교
02116
- 삼성본관앞
02131
- 시청앞.덕수궁
02286
- 시청앞
02128
서울역버스환승센터
02005
숭례문
02122
남대문시장.회현역
02146
남대문시장.회현역
02145
명동역4번출구
02149
퇴계로2가.명동역7번출구
02234
퇴계로3가.한옥마을.한국의집
02152
퇴계로3가.한옥마을.한국의집
02151
충무로역2번출구.대한극장앞
02153
충무로역8번출구.대한극장앞
02154
퇴계로5가.충무초등학교
02207
퇴계로5가.중구청
02208
퇴계로6가
02205
퇴계로6가
02206
광희동
02171
광희동
02170
동대문역사문화공원
02174
동대문역사문화공원
02173
- 동대문
01214
충신동
01217
충신동
01215
이화동(이화장)
01277
이화동(이화장)
01225
방송통신대.이화장
01219
방송통신대.이화장
01222
혜화역2번출구.마로니에공원
01220
혜화역3번출구.서울대병원입구
01221
혜화역.동성중고(장면총리가옥)
01229
혜화역.서울연극센터(장면총리가옥)
01228
삼선교.한성대학교.조소앙활동터
08010
삼선교.한성대학교
08009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08008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08007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08006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08005
길음뉴타운
08004
길음뉴타운
08003
길음2동주민센터
08002
길음2동주민센터
08001
미아사거리역
09012
미아사거리역
09011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10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09
미아역.신일중고
09008
미아역.신일중고
09007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6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5
- 수유역
09003
수유역.강북구청
09004
수유역.강북구청
09013
수유3동우체국
09002
수유3동우체국
09001
우이1교앞
10018
우이1교앞
10017
쌍문역
10016
쌍문역
10015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10014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10013
도봉보건소.북한산아이파크아파트
10012
도봉보건소
10011
도봉소방서.방학역남부
10010
도봉소방서.방학역남부
10009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역북부
10020
신도봉시장.도봉구청.방학역북부
10019
신도봉사거리
10008
신도봉사거리
10007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0006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0005
도봉한신아파트
10004
도봉한신아파트
10003
도봉산역
10002
도봉산역
10001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10341 · 10340
}}}}}} ||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6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908명 -
2014년 981명 △ 73
2015년 895명 ▽ 86
2016년 890명 ▽ 5
2017년 1,109명 △ 219
2018년 1,184명 △ 75
2019년 1,365명 △ 181
2020년 1,046명 ▽ 319
2021년 749명 ▽ 297
2022년 1,050명 △ 301
2023년 1,514명 △ 464
2024년 1,841명 △ 327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6.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7_icon.svg 도봉산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0255b><colcolor=#fff> 왕복 경유 노선
편도 경유 노선
회차 노선
}}}}}}}}} ||

[1]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N16도봉) 출발점[2] 양천운수(N16온수) 출발점[3] 서울교통네트웍 4대 / 아진교통 2대(예비 1대) / 양천운수 6대[4] 이 시간 이후 출발 차량부터 구로역 05:00 첫차 등 전철 연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