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0:06:03

닛산 캐시카이/2세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닛산 캐시카이
파일:닛산 로고(2001-2020).svg
파일:2018 닛산 캐시카이.jpg
QASHQAI

1. 개요2. 상세
2.1. 대한민국 시장 출시2.2. N-모션 (2019)2.3. 차량 정비 관련
3. 제원4. 사건/사고
4.1. 비틀림 강성 문제4.2. 디젤게이트 연루 문제
5. 둘러보기

1. 개요

닛산 캐시카이의 2세대 모델이다.

2. 상세

파일:2014 닛산 캐시카이_(1).jpg
파일:2014 닛산 캐시카이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4 닛산 캐시카이_(3).jpg
파일:2014 닛산 캐시카이_(4).jpg
}}}}}}}}} ||
초기형

2013년 11월에 첫 공개 후 2014년 초부터 유럽, 아시아 시장에 시판을 시작한 2세대는 선대보다 크기가 커졌으나 여전히 경쟁 모델에 비해 컴팩트한 크기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판매하지 않고,[1] 대신에 같은 플랫폼을 쓰는 준중형 SUV인 엑스트레일을 판매한다. 호주에서는 듀얼리스 대신 캐시카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됐다.

엔진은 직렬 4기통 1.2L 터보, 1.6L 및 2.0L 가솔린과 1.6L 디젤[2]이 제공되고, 6단 수동변속기 또는 엑스트로닉 CVT가 맞물린다.
파일:2018 닛산 로그 스포트_(1).jpg
파일:2018 닛산 로그 스포트_(2).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18 닛산 로그 스포트_(3).jpg
파일:2018 닛산 로그 스포트_(4).jpg
파일:2018 닛산 로그 스포트_(5).jpg
파일:2018 닛산 로그 스포트_(6).jpg
}}}}}}}}} ||
SL AWD
로그 스포트

미국에는 2017년 1월에 열린 북미국제오토쇼를 통해 공개됐고, 캐시카이라는 이름 대신 '로그 스포트'라는 이름으로 출시됐다. 발음하기 어려워서 그렇다고 한다.

2015년형 기준 S, SL, 플래티넘 세가지 트림으로 판매됐으며, 한국닛산에서는 중간급인 SL 모델을 주력으로 밀었었다. 그래서인지 시승용 차량도 최상급이 아닌 SL 모델로 준비되어 있다. 그런데, SL 모델에는 내비게이션 조차 안 달려 있다는 문제가 있다. 어라운드 뷰 모니터같이 소비자에게 어필할 만한 기능들이 최상위 트림에만 달려 있는데 시승차에서 볼 수 없다보니, 제대로 소개되지 못해서 아쉽다는 평가다.
파일:2017 닛산 캐시카이_(1).jpg
파일:2017 닛산 캐시카이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7 닛산 캐시카이_(3).jpg
페이스리프트

2017년 3월 9일, 페이스리프트된 2018년형이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주된 변경사항으로 닛산에서 만든 반자율 주행 시스템인 '프로 파일럿'이 탑재되었다는 점이다. 고속도로 단일 차로에서 완벽한 자율 주행 능력을 제공한다고 한다. 엔진은 110마력 1.5L dCi로 기존 모델과 동일하다.
파일:2020 닛산 로그 스포트_(1).jpg
파일:2020 닛산 로그 스포트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0 닛산 로그 스포트_(3).jpg
SL AWD
로그 스포트 페이스리프트

미국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2019년 2월에 열린 시카고 오토쇼를 통해 공개됐다.

2.1. 대한민국 시장 출시

대한민국 시장 광고
대한민국 시장에는 2014년 11월 11일부터 131마력 l4 1.6L dCi 디젤 엔진과 엑스트로닉 체인 타입 CVT를 달고 정식 출시됐다. 캐시카이보다 체격이 낮은 쥬크처럼 전륜구동으로 나온다. 공인 연비는 복합 15.3km/L를 기록하였다.

가솔린 엔진만을 고집하는 일본산 SUV들과는 달리, 캐시카이는 영국에서 생산된 모델이라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다. 당시 대한민국에 수입되는 유럽차의 주 연료가 디젤이기 때문이기도 한데, 우연찮게도 당시 대한민국의 SUV가 디젤 천지라 가솔린 엔진이 주력인 로그, 무라노, 패스파인더와는 달리 이미지가 일치했다. 짧게 말하자면 한국닛산에서 유일하게 판매된 유럽산 차량이자 일본산 브랜드로서 유일한 디젤 SUV 차량인 셈이다.

한국닛산은 2014년에 총 4,411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는데, 그중 캐시카이는 12월 단 한 달 동안 341대를 팔아 치우며 저력을 과시했다. 구매자 수요는 많은데 영국에서 들여오는 수입 물량이 딸려서 영맨들이 물량 따내기 위해 전전긍긍한다는 이야기가 들릴 정도이다.

자동차 리뷰 전문 사이트인 오토뷰에서 평가했는데, 가격대비 가치 항목에서 플래티넘 모델이 별 5개 만점을 받았다. SL도 별 4.5개를 받는 등 전체적으로 좋은 평가가 나왔다. 특히 편의장비 항목에서 별 4.5개를 받으며, 다양한 운전자 편의 사항이 내장되었다는 점이 크게 호평받았다. 시승기보기, 평가보기

2015년 10월에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2015년 국내에 판매된 일본 차량 중에서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렉서스ES300h로 3,209대가 팔렸고, 2위는 캐시카이로 1,906대, 3위는 캠리로 1,895대가 팔렸다. 1위와의 격차는 크고, 3위에는 근소하게 앞서는 아슬아슬한 2위이긴 하지만, 비교적 안정적으로 대한민국 시장에 안착했다고 볼 수 있다.

유로6 규정에 맞추어 배출가스가 개선된 엔진을 탑재한 모델이 2015년 말에 출시되었다. 다만, 연비는 복합연비 기준으로 기존 15.3km/L에서 13.8km/L(도심 12.8, 고속도로 15.2)로 다소 낮아졌다.

2.2. N-모션 (2019)

2019년 2월 캐시카이 N-모션이란 이름으로 한정판 모델을 출시했다. 기존 모델과 다른 점은 CVT가 아닌 DCT를 채택되었다는 점이다. 수동이나 DCT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한다. 1.5 dCi 디젤 엔진 또는 1.3 가솔린 엔진 2가지 모델이 있다.

2.3. 차량 정비 관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닛산 캐시카이/2세대/관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제원

대한민국 사양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QASHQAI/2세대
<colbgcolor=#c0c0c0><colcolor=#000> 생산지
[[영국|]][[틀:국기|]][[틀:국기|]] 잉글랜드 타인위어주 선덜랜드
코드네임 J11
차량형태 5도어 준중형 SUV
승차인원 5명
전장 4,380mm
전폭 1,805mm
전고 1,590mm
축거 2,645mm
윤거(전) 1,565mm
윤거(후) 1,560mm
공차중량 1,575kg
연료탱크 용량 55L
타이어 크기 215/60R17
225/45R19
플랫폼 르노-닛산 CMF-C/D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토션빔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000> 엔진 엔진 형식 흡기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디젤
르노 R9M 직렬 4기통 싱글터보 1,598cc 131ps 32.6kgf·m CVT[3]

4. 사건/사고

4.1. 비틀림 강성 문제

해외 자동차 전문 테스트 기관에서 실험한 비틀림 강성 실험에서 트렁크 문이 닫히지 않는 무시무시한 만듦새를 보여주어 충격을 주었다. 8분 30초부터 보면 나온다. 참고로 스포티지 R도 멀쩡히 통과한 테스트다.

4.2. 디젤게이트 연루 문제

2016년 5월 16일, 환경부 조사 결과 배출가스를 불법으로 임의 조작한 것이 조사되어 판매가 전면 금지됐으며, 전량 리콜 조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폭스바겐과 동일하게 디젤게이트에 연루된 셈. 대상이 된 차량은 유로6 인증 모델로 2015년 11월 이후에 판매된 모델이며, 그전에 도입된 유로 5 기준 차량에 대해서는 조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사링크

같은날, 한국닛산은 즉시 환경부의 발표를 전면 반박하며 어떠한 차량에도 불법 조작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관련기사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한 기사는 링크 참조

6월 7일, 환경부가 캐시카이에 배출가스 조작(임의설정)을 발견했다며 이미 판매된 캐시카이 차량 824대에 대한 인증을 취소하고, 한국닛산에 리콜명령, 신차 판매정지, 과징금 3억 4,000만원 부과 등의 행정처분을 내렸다. 이에 한국닛산은 6월 23일 서울행정법원에 환경부가 캐시카이에 내린 행정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다만, 과징금은 납부했다. 관련기사

7월 6일, 법원이 과징금을 제외한 행정처분 취소 소송을 일부 받아들이면서 일단 판매 정지를 비롯한 행정처분은 풀렸고, 환경부는 항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다만, 위와 같은 판매 정지가 풀릴 것과 별개로, 한국닛산에서 자체적으로 판매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닛산의 차량 카탈로그에도 빠져 있는 상태이다. 한 언론에서는 판매를 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한국닛산이 환경부와 대립각을 세우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인피니티 Q30인피니티 QX60이 소음 및 배기가스 등의 인증이 지연되고 있어서 출시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캐시카이를 판매해서 환경부를 자극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2017년 4월 한국닛산은 이에 관련하여 리콜을 진행하겠다는 리콜계획서를 환경부에 제출했다고 한다.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라고 한다. 관련기사. 그런데, 이 소식이 나온지 얼마 안되어서 2017년 4월 28일 부터 한국에 출시된 캐시카이 전 차종에 대한 리콜 통지가 배포되었는데, 디젤 게이트와는 무관한 리콜이라고 한다. 리콜 사유는 '부품 추가장착 및 브레이크호스 손상 발견 시 부품교체'라고 한다.

2018년 7월경에 디젤 게이트 관련 리콜이 진행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2019년 3월 '배출가스 인증서 조작' 혐의로 한국닛산에게 1500만원의 벌금형이 선고되었으며, 실무자는 집행 유예[4], 그외 관계자들에게는 벌금형이 내려졌다. 관련기사

2020년 5월 유로 5 기준 차량에도 유로 6 기준 차량과 동일한 조작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환경부로부터 9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되었다. 참고로, 벤츠에게는 무려 776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되었다. 관련기사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dc143c><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dc143c>
파일:닛산 로고.svg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373a3c,#ddd><rowcolor=#373a3c,#ddd>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데이즈 · 데이즈 하이웨이 스타 · 룩스, 룩스 하이웨이 스타 ·
NV100 클리퍼 · NT100 클리퍼 · 사쿠라
하이퍼미니 · 피노 · 모코 · 오티 · 킥스 · 클리퍼 리오 · 픽소
소형차 마치/마이크라 · 노트 · 티다 · 베르사 · 알메라 블루버드(1,2세대) · 서니 · Be-1 · S-카고 · 파오 · 피가로 · 마이크라 C+C · 체리 · 플래티나 · 아프리오 · 무지카 1000 · 마치 박스 ·
로렐 스피릿 · 바이올렛 · 스탄자 · 오스터 · 라티오 · 체리 캡
준중형차 센트라 · 실피 · 리프 · AD · 란니아 랭글리 · 리베르타 빌라 · 프레세아 · 서니/서니 캘리포니아 ·
블루버드 실피 · 루시노 · 알메라 클래식 · 츠루 · 오스틴 A40 소머셋 · 오스틴 A50 케임브리지 · 윙로드 · 펄사 · 서니 트럭
중형차 알티마 · 스카이라인 블루버드(3~10세대) · 핀타라 · 산타나 · 로렐 ·
세피로/세피로 왜건 · 프리메라 · 레퍼드(1,2세대) · 르네사 · 스테이지아 ·
크루 · 티아나 · 아베니르 · 엑스퍼트
준대형차 - 글로리아 · 세드릭 · 레퍼드(3,4세대) · 70형 · 푸가 · 맥시마
대형차 - 프레지던트 · 시마 · 인피니티 Q45
스포츠카 페어레이디 Z 닷선 스포츠 · 실비아(실에이티) · 180SX · 가젤 · 서니 RZ-1 · NX 쿠페 ·
오텍 자가토 스텔비오 AZ1 · 스카이라인 GT-R · EXA · 미드4
슈퍼카 GT-R R390 GT1공도용, 비매품
레이스카 - GT-R LM 니스모 · ZEOD RC · 델타윙 · R391 · R390 GT1 · 스카이라인 슈퍼 실루엣 · 사우루스 주니어 · R383 · R382 · R381 · 프린스 R380 · 스카이라인 터보 C · GTP ZX-터보 · R85V · R86V · R87E · R88C · R89C · R90CP · R90CK · R90CP · R90CK · R91CP · R91CK · R92CP · P35
소형 SUV 매그나이트 · 쥬크 · 킥스 라신 · 테라노(3세대)
준중형 SUV 캐시카이 · 로그 · 엑스트레일 · 아리야 미스트랄/테라노 II · 듀알리스
중형 SUV 무라노 · 테라 테라노(1,2세대) · 엑스테라 ·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준대형 SUV 패스파인더 테라노 레글루스
대형 SUV 패트롤 · 아르마다 -
MPV 세레나 · 엘그란드 · 리비나/그랜드 리비나/리비나 제니스 큐브 · 프레리/리버티 · 퀘스트 · 티노 · 프레사쥬 · 바사라 · 라페스타
LAV 타운스타 큐비스타
LCV / 상용밴 NV200/NV200 바네트 · NV300 · NV350/NV350 캐러밴 · NV400 호미 · 바네트 · 로코 · 아틀라스 맥스 · 프리마스타 · 인터스타 · NV1500/NV2500 HD/NV3500 HD
픽업트럭 타이탄 · 나바라/프론티어/NP300 · NP200 주니어 · 유트
트럭 아틀라스/NT450 아틀라스 · NT400 캡스타 180 · 캡올 · 호머 · C80 · 클리퍼 · 아틀레온 · NT500
버스 - 에코/시빌리언
구급차 파라메딕 -
의전차량 - 프린스 로얄
파일:닛산 NMC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티 로고.svg · 파일:Infiniti_IPL_Logo.jpg
닷선의 차량
}}}}}}}}} ||


파일:닛산 NMC 로고 화이트.svg
파일:니스모 로고 화이트.svg 파일:Autech_logo.svg.png
닛산 모터스포츠 & 커스터마이징
니스 오테크
차량 목록


[ nismo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000><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1f2023><colcolor=white> 소형차 노트 오라 마치
소형 SUV -쥬크
준중형차 -센트라 · 펄사 · 리프
중형차 스카이라인-
스포츠카 페어레이디 Z / Z350Z · 370Z · 실비아 · 스카이라인 GT-R
슈퍼카 GT-R-
준중형 SUV 아리야-
대형 SUV 패트롤중동형-
MPV -세레나

[ nismo s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000><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1f2023><colcolor=white> 소형차 -마치 · 노트
준중형차 -센트라 · 펄사
스포츠카 -350Z · 370Z · 스카이라인 GT-R

[ AUTECH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373a3c,#dddddd><rowbgcolor=#000><rowcolor=#ffffff><width=20%> 차급 ||<width=50%>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1f2023><colcolor=white> 소형차 노트티다[J] · 큐브 라이더[J] · 노트 라이더 & 액시스[J]
준중형차 -펄사 · 블루버드 실피[J] · 루시노[J]
중형차 -스테이지아 · 스카이라인 · 티아나 액시스[J] · 프리메라[J]
준대형차 -세드릭
스포츠카 -오테크 자가토 스텔비오 AZ1 · 실비아 · 스카이라인 GT-R 40주년 · 페어레이디 Z[J]
준중형 SUV 엑스트레일[J]듀알리스[J]
준대형 SUV -테라노 레글루스[J]
소형 픽업트럭 -닷선 트럭[J]
MPV 엘그란드[J]세레나[J] · 윙로드[J] · 리비나
각주 [ 펼치기 · 접기 ]

[J] 일본 내수형[J] [J] [J] [J] [J] [J] [J] [J] [J] [J] [J] [J] [J] [J]




[1] 2017년 1월부터는 북미 수출용이긴 하지만 일본에서도 생산된다.[2] 르노 R9M형으로 벤츠 C200d에 동일한 엔진이 사용된다. 반대로 인피니티 Q50은 벤츠의 OM651형 엔진을 사용한다.[3] 닛산 Xtronic[4] 징역 6월, 집행 유예 2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