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3:34:30

다대포진성 전투

다대포 전투에서 넘어옴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다대포진성 전투
多大浦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92년 (선조 25년) 5월 23일 ~ 24일
(음력 1592년 4월 13일 ~ 4월 14일)[1]
장소

조선 경상도 부산 다대포
원인 부산진 함락 후 일본의 다대포 진공
교전국 일본
(공세)
<rowcolor=black> 조선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고니시 유키나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소 요시토시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마쓰라 시게노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아리마 하루노부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오무라 요시아키
파일:고시치노기리몬.svg 고토 스미하루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윤흥신
파일:조선 어기.svg 윤흥제 †
병력 일본군: 18,700 명 조선군: 약 800 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방어군 전멸
결과 일본의 승리
영향 * 다대포 진성 함락
* 동래성 전투 발발

1. 개요2. 다대포 전투의 전개 및 결과3. 여담

[clearfix]

1. 개요

임진왜란 중인 1592년 4월 13일 일본군부산진 전투 끝에 부산을 함락하고 다대포와 서평포를 공격하였는데 다대포를 지키는 장수는 다대포 첨사[2]윤흥신이었다. 참고로 윤흥신은 중종 ~ 명종 때의 권신인 윤임의 아들로, 을사사화 때 아버지가 역적이 되어 멸족당할 때 너무 어려서 노비로 살 수 있었으며 수십년 뒤 선조가 윤임을 신원하면서 자신도 노비에서 풀려나 무신으로 관직 생활을 하였다.

2. 다대포 전투의 전개 및 결과

징비록이나 윤흥신 비문에 의하면 4월 13일[3]부터 서평진에서 일본군과 교전을 치러 처음에 격퇴하여 일본군의 침략을 지연시켰으나 4월 15일에 일본군이 대규모로 몰려오면서 전세가 뒤집어졌다. 윤흥신은 800명의 병력으로 열심히 싸웠지만 스무배가 넘는 적군을 당해낼 수가 없었고 결국 다대포가 함락되고 말았다.[4] 윤흥신은 일본군을 격퇴한 날 부하가 그에게 피하라고 했으나 이를 듣지 않고 다음날 나가 싸우면서 전사[5]하였으며 그의 이복동생 윤흥제[6]도 이복형을 따라 싸우다 전사하였다고 한다.

3. 여담

현재 다대1동 행정복지센터 옆에 제사를 올리는 '윤공단'이 있는데 그곳이 바로 윤흥신을 기리는 곳이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충렬사도 원래 송상현의 위패를 모시는 곳으로 '송공사'라고 불렸는데 나중에 충렬사로 개명되고 정발, 윤흥신의 위패도 같이 모시게 되었다. 다대포진성 전투와 첨사 윤흥신의 이야기가 세상에 알려지기까지는 무려 171년이 걸렸다. 영조 때 조선 통신사일본에 갔던 조엄이 우연하게 다대포진성 전투에 대한 기록을 접하고 조정에 알려 임진왜란 당시의 기록과 대조하면서 비로소 알려지게 되었다.


[1] 또는 4월 14일 ~ 4월 15일[2] 다대포의 첨사는 평안도 만포진과 더불어 정3품 당상관이 임명되는 두군데 중 한곳이다.[3] 또는 4월 14일부터 15일까지 치르는 전투였다고 한다.[4] 첫번째 공격은 격퇴했으나 두번째 공격에는 성안의 물자가 바닥나서 더는 싸울 수 없었다.[5] 전설에 따르면 윤흥신은 활을 쏘다가 화살이 떨어지자 숙소의 지붕에 올라가 기와를 던지며 저항하다가 전사했다고 한다.[6] 윤임의 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