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9:11:11

단위인정

1. 개요2. 구조
2.1. 역사2.2. 선곡 레벨 제한2.3. 여담2.4. 단위 취득 난이도
3. 정형화
3.1. 보스곡3.2. 개전의 정형화3.3. 기타
4. 이야깃거리
4.1. 랜덤 선곡4.2. AC 10th Style의 싱글 8단 버그4.3. CS 7th Style의 숨겨진 싱글 8단, 9단4.4. CS Happy Sky의 숨겨진 7급4.5. CS DistorteD 더블 개전4.6. 더블 비기너 채보
5. 역대 시리즈별 단위인정6. 단위인정 합격 ID 수7. 다른 게임에서

1. 개요

段位認定

beatmania IIDX의 플레이 모드이자 시스템 중 하나로, 정해진 코스를 통과한 플레이어에게 해당하는 단위(段位)를 부여하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획득한 단위는 실력의 지표로 인정되며, 뚜렷한 목표를 제시하여 유저들의 도전 심리를 유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실력이 비슷한 유저들끼리 서로를 쉽게 식별하고 나아가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단순히 과시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게임 플레이에서도 특정 부분에 이점이 주어진다.

다른 유저와 직접적으로 경쟁하거나, 상대평가적인 시스템으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무조건 절대평가로 진행된다. 그래서 통과만 하면 OK다. 커뮤니티를 가보면 무리해서라도 단위를 취득하려는 유저들도 많이 볼 수 있다.

모드 셀렉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영문 모드명은 "CLASS". 이외에 "LEVEL ANALYZE"라는 문구도 있는데, LED 패널이나 코스 진입시, 단위 명패 등등 여기저기에 표시된다. 14 GOLD의 북미 로케테스트 버전에서는 Skill level이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2. 구조

단위는 7급(級)~1급, 초단(段)~10단, 중전(中伝), 개전(皆伝) 순으로 높아진다. 원하는 단위를 선택하여 정해진 코스(4곡)를 끝까지 연주하면 합격한다. 공정성을 위해 어시스트 옵션과 랜덤계열 옵션을 쓸 수 없다. 미러 옵션[a]과 노트 표시 영역 옵션은 사용 가능하다. 게이지는 서바이벌 게이지를 사용하며, 감소폭이 매우 자비로운 대신 스테이지를 넘어가도 게이지 잔량이 보존되기 때문에 꾸준한 게이지 관리가 필요하다.[2] 게이지 증감량은 beatmania IIDX/플레이 옵션을 참조.

각 신버전의 가동 개시 직후에는 8단까지만 선택할 수 있다. 일정 기간 후[3] 9, 10단이 개방되고, 다시 일정 기간 후[4] 중전과 개전이 개방된다. 10단 이하의 단위는 도전에 제한이 없지만, 중전, 개전은 각각 10단, 중전을 취득해야 선택할 수 있다.

2.1. 역사

2.2. 선곡 레벨 제한

Final Stage, Extra Stage는 단위 취득 여부, DJ VIP PASS 이용 여부와 무관하게 선곡 레벨 제한이 없다.

* 스탠다드 스타트로 가능한 조건
요구 조건 1st 2nd 비고
DJ VIP PASS
BLACK
12 V디스크를 100장 적립해 교환
8단 이상 10 11
7단 10 10
<colbgcolor=#64ff64,#1b7d42> 6단 9
5단 이하 8
  • 프리미엄 스타트로만 가능한 조건
요구 조건 1st 2nd 비고
DJ VIP PASS
PLATINUM
12 추가 결제 필요
극 개전 800회 이상 플레이
10단 이상 1000회 이상 플레이
8단 이상 11 11 100회 이상 플레이
8단 이하 10 11

하나의 버전이 서비스되는 동안 총 플레이 횟수가 800회 미만이거나, 스탠다드 스타트로만 플레이를 한다고 가정하면 8단부터 개전까지의 혜택은 동일하다.

DJ VIP PASS PLATINUM은 프리미엄 스타트로 모드를 진입한 후 DJ VIP PASS 선택 화면에서 추가 결제를 하고 이용할 수 있다. 추가 금액은 대체로 30~40엔 정도를 요구한다.

DJ VIP PASS BLACK에 필요한 V디스크는 각종 해금 이벤트, 프리미엄 스타트 특전, 프리미엄 프리 특전으로 적립이 가능하다. 100장 이상 적립할 경우 DJ VIP PASS 선택 화면에서 BLACK 선택이 활성화된다. 스탠다드 스타트에서도 이 경우에 한하여 DJ VIP PASS를 이용할 수 있다.

beatmania IIDX 31 EPOLIS부터 대부분의 레벨 제한 완화 조건이 프리미엄 스타트를 요구하도록 바뀌었다. 프리미엄 스타트는 PASELI 결제가 필요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일본 외 버전에서는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 때문에 훈장 획득이나 자기만족 외에, 한국 버전에서 9단 이상의 단위를 취득한다고 하여 유의미한 이득이 생기지는 않는다. 다만 한국 버전에서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일본 버전에서 프리미엄 스타트로 플레이하면 이전과 같이 레벨 제한 완화가 가능하다.

2.3. 여담

[SINGLE
dOUBLE
CLASS 7 ~ CLASS 1
1ST dAN ~ 10TH dAN
CHUdEN
KAIdEN
STAGE 1ST
2Nd
3Rd
FINAL
] 악곡의 전광판 표기 BEGINNER
NORMAL
HYPER
ANOTHER

2.4. 단위 취득 난이도

2022년 기준 단위인정 시스템이 나온 지도 20년이 되었고, 각 단위에 수록된 곡들도 어느정도 정형화가 되었다(밑의 정형화 문단 참조). 그래서 특정 단위를 취득하려면 스탠다드에서 어느 정도 실력이 돼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꽤 정확한 분석이 나오고 있는 중이다. 최근 시리즈의 싱글플레이 단위인정에서 7단 이상 단위의 보스곡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중전 이상부터는 그 전 단위의 보스곡과 비슷한 수준의 곡을 하드클리어 할 줄 알면 도전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고 본다. 예컨대 중전을 도전하려면 10단 보스곡 수준인 지력 B에 속한 곡을 하드클리어할 줄 알아야 무리가 없으며, 개전을 도전하려면 멘데스와 비슷한 지력 A 수준의 곡을 하드클리어할 줄 알아야 희망이 보인다. 그래서인지 일본에서도 지력 A에 속한 곡을 중전급 곡이라고 부르며, 해당 곡들을 클리어할 줄 안다면 개전에 도전해볼 실력이 됐다고 본다. 이것은 일종의 지원 자격과 같은 역할이지, 이정도면 단위를 딸 수 있다는 보증은 하지 못한다. 반대로 전단계 보스곡 수준을 하드 클리어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후한 단위인정 게이지 특성상 어떻게든 비벼서 통과하는 경우도 가끔 나온다. 어디까지나 대략적인 기준.

3. 정형화

꽤 오랫동안 단위인정 모드가 유지되면서 특정 단수에 특정 곡 혹은 특정 패턴의 곡들이 개근했으며, 그로 인해서 유명해진 곡들도 적지 않다. 그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3.1. 보스곡

단수 내에서 가장 어려운 곡으로, 다른 곡들보다 훨씬 어려운 난이도로 인해 난민 양산곡으로도 불릴 정도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보스곡은 주로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치된다. 하지만 3스테이지에 자주 나온 싱글 10단의 Colorful Cookie1~2스테이지에 배치되어 초장부터 혼을 빼버리는 더블 7단의 Wanna Party? 등과 같은 예외도 존재한다.

보스곡은 시리즈마다 바뀌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한 번 등장하면 잘 안 바뀌고 개근하는 특징이 있었다. 특히 초단~4단 정도의 어중간한 단위는 시리즈마다 한 곡 바뀌는 게 전부일 정도로 코스의 변화가 굉장히 적었을 정도. 그래서 꽤 자주 나왔던 보스곡들은 합격을 위한 공략법이 돌아다니기도 했지만, 29 CastHour 전후부터는 실력이 아닌 공략법으로 합격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서인지 웬만한 장기 집권 보스곡들을 거침없이 칼질하면서 보스곡의 장기 집권은 점점 옛말이 되어가는 추세이다.[36]

꽤 오랫동안 보스곡으로써 단위인정에 수록된 곡들은 아래와 같다. (INFINITAS 수록 관계없이 현시점 최신버전인 31 EPOLIS에서 제외된 패턴은 취소선)

※ 싱글
※ 더블
9단의 경우 난이도가 쉬웠던 초창기를 제외하면 다른 단위처럼 장기간동안 수록되었던 보스곡이 현재까지는 없으며, SINOBUZ까지 줄곧 나오던 ALBA -黎明-가 보스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그 다음작인 CANNON BALLERS부터 빠지게 되었고, 이후로도 어려운 곡들이 많이 거론되었지만 이들도 많이 나와봐야 2~3작품 연속에 그쳤다.

중전은 고정적인 보스곡 포지션이 없는 대신 SINOBUZ와 CastHour, RESIDENT에 나왔던 Flashes가 제일 어렵다고 평가되며, EX단위로 기준을 바꾸면 Holic, moon_child 같은 곡들이 강세를 보인다. 그 외에는 CastHour를 제외하고 SINOBUZ부터 배정된 Dynamite도 저주걸리기 쉬운 채보 특성과 겹쳐서 보스곡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3.2. 개전의 정형화

싱글 개전의 경우에는 처음 등장할 때부터 이 최종 보스곡으로 등장했고, 그 외에 곡들은 등장 초기였던 DistorteD와 GOLD의 경우 개전에 넣을 곡이 부족해서 헐화rage against usual,FIRE FIRE 등이 나오기도 했었다가[51], 15 DJ TROOPERS부터는 전작 원모어 엑스트라곡이나 해금 이벤트의 최종 해금곡 중에서 개전에 넣을만한 곡[52]嘆きの樹가 1~2스테이지[53], 3스테이지는 卑弥呼로 코스가 정형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21 SPADA에서 1~2스테이지 법칙이 바뀌었는데, 한탄수는 무조건 1스테이지에 들어가고 2스테이지에는 스크래치곡인 灼熱Beach Side Bunny가 등판하면서 수 많은 유저들의 화제를 일으켰다. 기어이 22 PENDUAL에서는 전작과 완전히 동일한 코스로 나오면서 유저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물론 스크래치에 약한 유저들의 원성이 상당했지만, 점차 스크래치력의 시험에 납득하는 유저들이 많아졌고, 제작진 역시 스크래치력 시험을 의도한 것인지 이후 버전에서도 작열비치를 2스테이지 자리에 넣고 있다.

23 copula부터는 한탄수가 perditus paradisus로 대체되며 개근을 뺏긴 것을 시작으로 1스테이지만 종종 바뀌면서 싱글 개전의 구조는 嘆きの樹와 같은 개전 난이도의 곡灼熱Beach Side Bunny卑弥呼가 되었다. 이후 24 SINOBUZ까지 p†p가 1스테이지였다가 25 CANNON BALLERS에서 한탄수가 다시 복귀하였으며, 세 작품 뒤인 28 BISTROVER에서는 EMERALDAS가 새로운 싱글 개전 1스테이지곡이 되었다.
더블 개전도 싱글과 비슷하게 첫 개전에 수록된 quasar가 지금까지도 최종 보스곡 역할을 맡고 있다. 다만 퀘이사는 13 DistorteD 당시 1스테이지였다는 것이 차이점.[54] 그 다음 작인 14 GOLD에서 헐화가 처음으로 등장했고, 당시 2스테이지였다가[55] 15 DJ TROOPERS에서 1스테이지로 위치가 바뀐 것이 21 SPADA까지 이어졌다. 그 동안에 2스테이지에는 싱글과 비슷하게 전작 원모어곡 또는 최종 해금곡 중에서 개전급 되는 패턴이 들어갔는데, 싱글과 달리 개전급에 못 미치는 패턴 뿐만 아니라 개전 수준을 능가하는 흉악 패턴들[56]도 나와서 같은 곡이 연이어 등장하는 사례가 일찍부터 있었다.[57]

이후 22 PENDUAL에서 1스테이지에 있던 헐화가 과거 더블 개전 수록곡이었던 Bad Maniacs로 대체되며 개근과 정형화가 깨졌다. 그리고 첫 등장 당시 전작 최종 해금곡이었던 天空の夜明け는 짤리지 않고 유지되었으며 이후의 더블 개전에서도 퀘이사 바로 앞 스테이지에 배정되는 더블 개전 준보스 역할로 격상했다. 다음작인 23 copula에서 더블 단위인정이 3스테이지에서 4스테이지로 개편되며 새로 생긴 자리에 헐화가 복귀하면서 헐화배매니천공퀘이사의 코스가 24 SINOBUZ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작품부터는 더블 개전이 개전급 패턴 두 개천공퀘이사로 정형화되고 이 중 1~2스테이지는 27 HERIOC VERSE와 RESIDENT를 제외하면[58] 둘 중 한 곡은 유지, 다른 한 곡은 교체하는 규칙이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싱글/더블 모두 개전의 곡 구성이 정형화되다 보니 지겹다는 의견이 만장일치에 가까워서 30 RESIDENT의 극 단위인정에서는 레젠다리아 난이도 위주로 모든 곡 구성을 엎어버린 우라 개전이 특수 코스로 추가되었다.[59]

3.3. 기타

4. 이야깃거리

4.1. 랜덤 선곡

단위인정이 도입된 이후 몇몇 시리즈에서는 한 단위에 4(3)곡 이상의 곡을 놓고 랜덤으로 곡이 선택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고단위의 랜덤선택은 실력측정보다는 운의 요소가 크게 작용하므로[72] 10th 이후로는 그러한 경향은 사라졌다. 하지만 싱글 5단의 경우에는 8th부터 랜덤 선곡이 이루어졌으나 별 차이가 없다고 판단했는지, 15 DJ TROOPERS까지도 랜덤선택이 이루어졌다.[73]

4.2. AC 10th Style의 싱글 8단 버그


일본 월드 게임 서커스에서 녹화한 영상.

단위인정에서 일어난 유명한 버그가 있는데, 아케이드판 10th Style 가동 당시 싱글 8단 수록곡이 모두 어나더로 나와서 많은 8단 도전자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트렸다. 왜 충격과 공포인지는 아래 8~10단 곡 목록과 병기한 난이도를 보자.
CS 단위인정 8단 단위인정 8단 단위인정 9단 단위인정 10단
곡명 난이도 곡명 하이퍼 어나더 곡명 난이도 곡명 난이도
雪月花(H) 10 moon_child 10 12 EXE 10 Spica 11
No.13(H) 10 雪月花 10 12 Innocent Walls 12 One More Lovely 12
Daisuke 10 one or eight 10 12 sync 10 moon_child 12
rainbow rainbow 11 No.13 10 11 quasar 11 No.13 11
합계 41 합계 40 47 합계 43 합계 46

원래 4곡 모두 하이퍼(7KEYS)여야 하는데 어나더로 잘못 설정되어 AC 10th 8단은 그 당시 9단을 뛰어넘는 역사상 최흉의 8단으로 남게 되었다.[75] moon_child와 No.13은 같은 작품의 10단에도 들어가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No.13은 SIRIUS 9단에 수록되었고 moon_child는 DJT~RA 9단 보스, 설월화는 LC 9단 보스를 맡는다. 그리고 문차일드가 인피니타스 9단 보스로 복귀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9단 보스곡이 8단에 두 곡이나 들어갔으니 충공깽이 아닐 수가 없다. 만약 전부 하이퍼 채보로 적용하면 다른 작품들의 8단 평균 레벨들과 비교해 봐도 4스테이지로 고정되는 어떤 곡을 제외하면 비슷한 편이다.[76] EXPERT 모드에서 하이퍼 채보로 플레이한 영상

덧붙여서 설월화와 No.13은 원래 해금 어나더라 beat#2때 9단, 10단과 함께 해금되어야 하지만, 8단에 떡하니 두 곡의 어나더가 들어가있었기 때문에 beat#1 시점부터 정체가 까발려졌다.

하지만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그대로 인정했다.버그가 아니고 "8단 코스는 어나더로 진행하는게 맞다."고 선언한 것. 그 결과 10th의 8단 합격자 수는 9th의 1/3에도 미치지 못한 692명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후 SINOBUZCLASSIC CLASS에서 이 코스가 그대로 싱글 8단 코스로 재현되었다. 제작진들도 이 8단이 인상깊게 남은 듯 하다.

다행히도 BISTROVER 이후 추가된 극 단위 대상으로는 들어가지 않았다. 하이퍼로 내려서 넣어도 됐을텐데

구 시리즈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플레이 하우스 에리나라는 오락실에서는 진짜 8단이 한다는 조건[77]으로 10th style 8단 챌린지 도전자 모집 공지를 올렸다.

4.3. CS 7th Style의 숨겨진 싱글 8단, 9단

급수 선택화면에서 SELECT 버튼을 누른채로 싱글 8단이나 9단을 선택할 경우 원래와는 다른 코스가 나오게 된다.
우라 싱글 8단
곡명 난이도 BPM 노트수
Love Me Do ANOTHER 167 1058
era(nostalmix) ANOTHER 90~180 786
A 7KEYS 93~191 1111
MAX 300 7KEYS 12~300 982
우라 싱글 9단
곡명 난이도 BPM 노트수
DXY! ANOTHER 148 1158
traces ANOTHER 152 1083
革命 ANOTHER 83~148 1183
5.1.1. ANOTHER 101 786

4.4. CS Happy Sky의 숨겨진 7급

Scripted Connection⇒ 문서를 참조.

4.5. CS DistorteD 더블 개전

많은 더블 유저들이 가장 어려운 더블 개전이 뭐냐는 질문을 받는다면 가장 먼저 튀어나오는 답이 CS DD의 개전일 거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곡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Stage곡명레벨노트 수
1stquell -the seventh slave- 12 1752
2ndQUANTUM TELEPORTATION 12 1999
Finalquasar 12 1562

이 곡들은 공통적으로 Q로 시작하는 곡이기에 함께 묶어서 QQQ로 불리게 되었는데, 일본 현지에선 3Q라 부른다. 일본어로 Thank You랑 발음이 같다. 니코니코 대백과에서의 해당 문서의 첫 문장은 "3Q는, G59(지옥)이다."이며 읽는 방법은 삐-(...).

앞의 두 곡의 난이도가 터무니없이 어려워서 일부를 제외하면 매 개전마다 최종 보스곡의 자리를 지켜온[78] quasar가 제일 할 만한 곡으로 취급받을 정도로 난이도가 타 개전에 비해 많이 어려웠기에 최악의 더블 개전으로 두고두고 회자된다. 그래서 니코동 같은 곳에서 생방송으로 CS DD에 도전하던 사람들은 QUANTUM TELEPORTATION를 클리어한 시점에서부터 시청자들한테 개전 축하 메시지를 받았다.

quasar는 개전이 생기기 전부터 계속 수록되어 있었고, quell은 SIRIUS 때, QUANTUM은 Lincle 때 수록되어 아케이드에서도 제작진들이 마음만 먹으면 이 코스를 그대로 실을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까지는 그러지 않고 있다. 그리고 copula부터는 더블 플레이의 단위인정도 4곡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복각을 해도 한 곡을 더 추가해야 하니 가능성이 없어보였지만... SINOBUZCLASSIC CLASS에서 그대로 재현되었다. 하지만 이전에 AC SIRIUS 때 퀀텀 대신 헐화가 들어가는 방식으로(헐화-퀠-퀘이사) 비슷하게 재현된 적은 있었다. 하지만 이 구성이 의도된 것인지는 불분명.

copula에서 익스퍼트 코스로 재현한 사람도 있었다. 단, 4스테까지 있어서 마지막 스테이지는 하드게이지 최강으로 알려진 冥을 넣은 것 같다.

4.6. 더블 비기너 채보

원래 더블 플레이는 비기너 없이 노멀부터 시작하지만, 일부 CS 버전의 급위 코스에는 단위인정 전용으로 노멀보다 쉽게 만들어 비기너의 이름을 붙인 채보가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시리즈별 단위인정

beatmania IIDX 역대 단위인정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아케이드
7th style 8th style 9th style 10th style IIDX RED
HAPPY SKY DistorteD GOLD DJ TROOPERS EMPRESS
SIRIUS Resort Anthem Lincle tricoro SPADA
PENDUAL copula SINOBUZ
(클래식 코스)
CANNON BALLERS
(클래식 코스)
Rootage
HEROIC VERSE BISTROVER CastHour RESIDENT EPOLIS
가정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11px -11px; word-break: keep-all" INFINITAS
(개편 전 단위)
ULTIMATE MOBILE
}}} ||
}}}}}}}}} ||

나무위키에 별도 항목이 없는 시리즈는 역대 AC 단위인정 목록역대 CS 단위인정 목록을 참조해보자.

6. 단위인정 합격 ID 수

단위인정 합격자 수를 보면 플레이어 수와 그 수치의 변동 경향을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다.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카드를 쓰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정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버전 취득 ID 수 전작 대비 변동폭
DistorteD 62,302개 -
GOLD 76,010개 △ 13,708
DJ TROOPERS 84,990개 △ 8,980
EMPRESS 86,901개 △ 1,911
SIRIUS 82,121개 ▽ 4,780
Resort Anthem 79,178개 ▽ 2,943
Lincle 83,479개 △ 4,301
tricoro 98,478개 △ 14,999
SPADA 90,515개 ▽ 7,963
PENDUAL 89,597개 ▽ 918
copula 76,490개 ▽ 13,107
SINOBUZ 73,677개 ▽ 2,813
CANNON BALLERS 63,942개 ▽ 9,735
Rootage 61,086개 ▽ 2,856
HEROIC VERSE 59,456개 ▽ 1,630
BISTROVER 53,221개 ▽ 6,235
CastHour 51,757개 ▽ 1,464
RESIDENT 51,002개 ▽ 755
급(級)/단(段) EMPRESS Lincle SPADA PENDUAL copula SINOBUZ CB Rootage HV BISTROVER CastHour RESIDENT
7급(七級) 2287 2792 1620 2115 1111 960 670 674 757 824 640 655
6급(六級) 2324 2438 1247 1955 1435 1255 784 718 685 650 462 349
5급(五級) 1215 1269 2467 1186 774 687 468 549 549 317 574 615
4급(四級) 909 890 2298 2397 1409 1186 753 636 570 348 355 310
3급(三級) 1261 964 1737 1344 955 759 575 470 486 546 391 402
2급(二級) 1842 1317 1675 1336 970 753 639 520 356 308 456 699
1급(一級) 1904 1460 1476 1194 757 581 400 454 554 713 662 508
초단(初段) 3700 2899 2321 2082 1627 1457 1125 1093 1125 590 835 667
2단(二段) 2849 1800 1704 1565 1146 1009 789 773 799 644 710 551
3단(三段) 3046 2170 3237 3182 2167 1883 1523 1495 1300 1166 1098 1279
4단(四段) 2813 2233 2310 1174 1086 1007 928 1043 1023 781 683 1131
5단(五段) 4170 5114 4954 5769 6162 4451 3450 3402 3065 2670 2498 2318
6단(六段) 17950 13624 14413 12608 9617 10906 9415 7603 7298 5889 5857 5892
7단(七段) 8989 8400 8937 9767 8403 7851 5853 5928 5953 5162 4185 3488
8단(八段) 10701 8060 14148 12874 11223 11572 11901 10324 12100 11519 10000 10000
9단(九段) 7730 13019 8096 7481 7749 7422 5241 5475 4367 4146 5038 4521
10단(十段) 11078 11926 13722 16300 7859 7421 6849 7621 6403 5038 4914 7363
중전(中伝) 6808 6965 7214 7017 6842 6979 7000 4718
개전(皆伝) 2133 3104 4153 5280 5232 5552 5365 5291 5224 4931 5399 5536
총합(総合) 86901 83479 90515 89609 76490 73677 63942 61086 59456 53221 51757 51002
8단 합격자 수가 많은데 원인은 8단 유저가 두텁다기보다는 가동 초기의 단위 제한+레벨 제한 해제 목적의 단위 취득으로 인한 9단 이상의 유저들의 8단 취득과 개전급 실력자가 단위인정에 미련이 없어서 8단을 따놓고 개전을 취득하지 않는 경우 복수계정 등 다양하다.[79] 두번째 이유 때문에 개전 합격자 수도 실제 유저 분포와 100% 일치하진 않는다. 이런 유저들은 취득 단위는 8단 이하인데 아레나는 A1이다. 급 취득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현상이 보이는데 이는 신규 유입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걱정하는 유저들이 꽤 있다. 근래 들어 단위인정 합격자 계정 수가 약 5만명인데 8단 이상만 약 3만명이기 때문이다.

7. 다른 게임에서

단위인정은 일종의 단급제도 중 하나일 뿐이라 크게 복잡하지 않은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도입된 리듬 게임이 그렇게 많지 않은데, 많지 않은 곡 수가 곡 별로 레벨이 매겨져 있어서 단순히 해당 곡 레벨 클리어만으로 실력을 판단하거나, 일종의 Elo 레이팅 제도를 도입하여 단위인정 외에도 실력을 판단할 수 있게 제작된 경우가 있기 때문. 특히 단위인정은 무슨 곡이 들어가냐에 따라 클리어 난이도가 요동치기 때문에 레이팅 제도가 도입된 게임은 오히려 단위인정이 찬밥 신세가 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는 클리어에 따른 칭호가 부여되지는 않으나, 특수한 클리어 조건으로 인해 비공식적으로 실력 확인 용도로 인정받는 사례이다.


[a] DP의 경우 1P 2P MIRROR + FLIP의 형태로만 가능[2] 증가량은 다른 서바이벌 게이지와 같으나, GOOD만 내도 회복이 가능하고 감소량은 이지 게이지보다 적다. 그래서 이지 게이지로 보더 클리어를 할 정도라도 이지 게이지의 변화량이 비교적 안정적이면 단위 게이지가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3] 가동 개시 시점에서 약 4~5주 뒤.[4] 9, 10단 개방 시점에서 약 7~8주 뒤.[5] 마찬가지로 코스 선택을 하는 익스퍼트 모드를 포함해서 기기 설정에 따라 최대 60초[6] 1級 > 一級[7] 7th은 10단까지 모두 해금되어있다.[8] 지금의 DDR 단위인정이 이 방식이다.[9] IIDX RED 가정용이 DistoreD 가동 이후 몇개월 후에 발매 되었다.[10] 게스트는 8단 이하만 플레이 할 수 있다.[11] 전용 채보는 프리 모드(아케이드) 선곡 및 하이 스코어에 기록이 불가능하며, 스코어 그래프가 나오지 않는다. GOLD CS에서 사용한 채보들은, 16 EMPRESS CS 이후에 통상으로 수록되었다.[12] 후속작 영상이긴 하지만 달성률 100% + 불합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13] 전작까지는 "인터넷 랭킹 등록 > 세이브 데이터 저장 > 단위인정 리절트"순으로 나왔다.[14] EXPERT가 삭제되면서 같이 삭제된걸로 추정.[a] [16] 2014년 12월 22일부터는 "시간의 모래시계"을 통해, 미러 배치를 키거나, 끄는 옵션이 생겼다. 다만, "시간의 모래시계"는 과금제 아이템이다.[17] 보통 연속 5시즌[18] 중국판 트리코로의 경우 嫡传(적전)으로 번역되어 있다.[19] 처음으로 따지자면, 9th style이다. 7th style은 캐릭터 자체가 등장하지 않았고, 8th style은 지르치가 등장한다.[20] 단, 29 CastHour부터는 일본에서만 출력되고, 그 외 지역에서는 출력되지 않는다.[21] 4단은 어떻게든 R5까지 가는데 3단의 thunder에 막히는 경우[22] Don't be afraid myself(GOLD 5단), snow storm(tricoro 5단)은 6단 합격자를 힘들게 할 정도로 어렵다.[23] THE SAFARIGET ON BEAT (WILD STYLE)의 개인차를 이용한 상위 단위 취득 혹은 THE SAFARI와 gigadelic의 개인차를 이용한 상위단위 취득.
개인차에 따라 8단 합격자가 rainbow rainbow에서 막히는 경우(GOLD 7단).
[24] 혹은 익스퍼트 코스를 2회 이상 클리어.[25] DistorteD 한정. DJ TROOPERS은 한 곡은 곡이 끝나는 시점에서 SUDDEN+ green을 573으로 맞추고 클리어 포함.[26] 7th style~[27] 대강 레벨 10 상급에 해당한다. 2~3번째 곡도 레벨 10 중~중상급 정도다.[28] IIDX RED~CANNON BALLERS, INFINITAS[29] Rootage~BISTROVER[30] gigadelic 때는 레벨 11 상급 ~ 레벨 12 최하급 정도로 판정되는 수준이었으며, S!ck 이 내려간 이후에는 레벨 11 중상급곡이 주로 등장한다.[31] The Sampling Paradise, Scripted Connection⇒ A mix, SAY BAY, 少年A, Todestrieb 예외적으로 Rootage에서는 중급곡이 들어갔다.[32] Colorful Cookie, reunion, 不沈艦CANDY, The Limbo, Broken Sword, AA -rebuild-, BEAT PRISONER 이후 BEAT PRISONER가 등장해서 중상급곡으로 변경되었다.[33] copula~HEROIC VERSE[34] BISTROVER~CastHour[35] DistorteD~[36] 대신에 초단 이상의 과거 장기집권 보스곡들은 라이트닝 모드 전용 컨텐츠인 단위인정 극에 자주 등장하고 있다.[37] 역대 최강 7급에 기여한 Tangerine Stream SPH는 1회 수록이며 트릴이 레벨 대비 미친 듯이 어려운 5.1.1.은 7th style부터 20 tricoro까지 개근했지만 초반만 어려운 것을 고려하여 제외하였다.[38] 6급도 7급과 마찬가지로 특출나게 튀는 곡은 없지만 역대 6급 중 D.A.N.C.E.!I Was The One(SPH),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이 그나마 튄다. 이 중 난이도는 불렙인 D.A.N.C.E.!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지만 수록횟수가 많지 않고 가장 많이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받은 We are Disっ娘よっつ打ち命도 I Was The One에 비하면 수록횟수가 적다.[39] 8th style 단위인정은 4급에 수록되었다.[40] Final Stage 배정은 9th style부터. DJ TROOPERS에서는 3급으로 승격되었으나 이후 퇴출됨.[41] 초심자들의 손을 꼬이게 만드는 흑백 동시치기로 악명 높은 불렙곡이다. 27 HEROIC VERSE가 돼서야 4에서 5로 올랐는데 여전히 불렙이라는 말을 듣는다.[42] 10th style, 11 IIDX RED까지는 3 스테이지, 12 HAPPY SKY 이후는 마지막 스테이지[43] 마지막 스테이지는 15 DJ TROOPERS 부터[44] 난이도로만 따지면 thunder도 3단의 보스곡에 해당하지만 과하게 어려운 난이도 때문인지 4단으로 빠진 뒤 제외되었다. 그래서 CaptivAte 〜裁き〜보다 수록횟수가 적고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된 적이 없다.[45] 10th style, 11 IIDX RED까지는 3 스테이지, 12 HAPPY SKY 이후는 마지막 스테이지[46] 19 Lincle에서만 2 스테이지, 나머지에서는 마지막 스테이지[47] 6단은 평준화가 비교적 잘 되어있는 단위라 독보적인 보스곡은 없는 편이지만 언급된 bloomin' feeling을 제외하면 Distress, DXY!, Colors (radio edit), rottel-the-Mercury 등이 꼽힌다. 이 중 Colors (radio edit)는 초기 개근곡이었지만 마지막 스테이지에 배정된 횟수가 적다.[48] 18 Resort Anthem부터 22 PENDUAL까지는 1 스테이지, 나머지에서는 2 스테이지.[49] 13 DistorteD에서는 1 스테이지, 14 GOLD부터 마지막 스테이지.[50] Almagest가 대신 들어갔다.[51] 레이지는 DistorteD, 파이어파이어는 GOLD에서만 나왔다. 레이지는 이중계단 하나만은 당시 개전에 넣기에는 충분했으나 나머지 구간이 당시 10단보다 조금 높은 정도라서 난이도에 맞지 않았고, FIRE FIRE는 9단주제에 건방지게 개전에 나와서 허접한 수준이다보니 한 작품만에 강판됐고, 헐화는 그나마 난이도가 있어서 DJ TROOPERS까지는 나왔었다.[52] 전반적인 난이도가 뒤쳐지거나, 개인차가 심한 패턴은 넣지 않았고, 둘 모두 넣지 못하면 다른 곡을 넣었다. 그 사례로는 15 DJ TROOPERS의 경우 본작 최종해금곡이 대신 나왔고, 17 SIRIUS의 경우에는 전작 최종 해금곡이 이미 개전에 있었으며, 남은 자리는 전작에서 추가된 다른 개전급 패턴이 아닌 본작 해금곡 중 13 CS DD 개전에 들어갔었던 quell이 들어갔었다.[53] 둘 중 어려운 쪽이 2스테이지에 들어갔다.[54] 13 DistorteD 당시 마지막 스테이지는 GENOCIDE.[55] 14 GOLD 당시 1스테이지는 Logic Board.[56] 대표적인 사례가 각각 17 SIRIUS, 18 Resort Anthem의 최종 해금곡인 Almagestperditus†paradisus이다. 덤으로 Almagest는 당시 처음 나온 차지 노트를 적극 활용한 패턴이라 개인차의 여지도 있었다.[57] 15 DJ TROOPERS ~ 16 EMPRESS의 MENDES, 18 Resort Anthem ~ 19 Lincle의 Bad Maniacs, 20 tricoro ~ 21 SPADA의 天空の夜明け. 17 SIRIUS는 예외적으로 quell -the seventh slave-가 들어갔는데, 16 EMPRESS의 최종 해금곡 卑弥呼가 너무 어렵다 싶었는진 몰라도 본작 해금곡 중 하나였던 퀠을 넣었는데, 문제는 퀠이 그 흉악 패턴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탈개전 패턴이라 상당히 말이 많았다.[58] 1~2스테이지가 모두 바뀌었다.[59] 단위인정 극 개전에 가정용 IIDX를 섞어 넣기에는 가정용 IIDX도 13부터 개전이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에 더 늦게 등장한 중전을 제외한 다른 단위와 달리 단위인정 극으로 빙글빙글 돌릴 경우의 수가 적다는 점도 있다.[60] 8th까지 SPN, 이후 SPH[61] 1스테이지 고정은 13 DistorteD부터[62] blooming feeling이 나오기 전까지 6단의 보스곡을 담당했었다.[63] 7급 생성 전까지 5급 수록[64] 26부터 5급으로 강등[65] 14 GOLD 한정으로 초단에 수록[66] 15 DJ TROOPERS 한정으로 3단에 수록[67] 8th부터 13 DISTORTED까지 6단 수록[68] 7th style 한정으로 9단에 수록[69] 22 PENDUAL 에선 2스테이지, 나머지는 1스테이지.[70] 23 copula 때 8단에 부활했었다.[71] 22 PENDUAL은 Bad Maniacs에게, 26 Rootage는 Mare Nectaris에게, 27 HEROIC VERSE는 GENOCIDE에게 자리를 내줬다.[72] 특히 가정용 8th, 9th의 싱글 9단은 곡이 너무 많이 배정되어 있어 속칭 로또인정이라고까지 불렸다. 곡도 많은데 BPM 폭까지 다양해서 아케이드 버전처럼 처음 배속이 끝까지 가는 시스템으로는 무리라고 생각했는지, 이 두 작품에서는 곡별로 자신이 원하는 배속을 미리 지정하는 시스템을 넣었다.[73] 실제로는 5개의 5단 수록곡 중 Don't be afraid myself나 G2, ZERO-ONE 같이 까다로운 곡도 들어가곤 했다. 4단과 6단 사이의 적당한 난이도를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서 이렇게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수록곡이 나오냐에 따라 6단 합격자가 잡히는 경우가 나오기도 했다. 랜덤선곡이 사라진 이후에도 5단 난이도의 적정선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인상이 강하다. 그래서 5단은 그렇게 높은 단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역대 단위 중 난이도 등락이 가장 심한 단위로 꼽힌다.[74] 더블 4단, 5단은 3번째 스테이지만 랜덤선곡[75] 2023년 시점으로 봐도 무난한 9단 라인업과 유사한 급이다. 반대로 하이퍼로 설정되어버린 더블 10단은 물단위가 되었다.[76] No. 13 하이퍼는 어나더처럼 초반만 어렵고 나머지는 위닝런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단위인정 난이도가 애매하다.[77] 실력이 9단 이상인데 여러가지 이유로 8단에 머물러 있는 가짜 8단은 제외.[78] DistorteD AC에선 첫 곡으로, GOLD CSTROOPERS CS에선 개전에 들어가지 않았다.[79] 한국에서는 플레이 카운트에 의한 레벨 제한 완전해제가 불가능하다.[80] 얼티밋 게이지만큼은 아니더라도 잘 안 찬다. 통상 옵션의 서바이벌 게이지보다 좀 더 짠 걸 4배로 늘린 느낌.[81] 특정 4곡을 S랭크 이상 클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