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8:07:26

대한민국 해군/군사특기

1. 개요2.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병대3. 현재 군사특기
3.1. 함정3.2. 항공3.3. 정보3.4. 정보통신3.5. 병기3.6. 보급3.7. 공병3.8. 조함3.9. 재정3.10. 정훈3.11. 군사경찰3.12. 의무3.13. 법무3.14. 군종3.15. 보병(해병대)3.16. 포병(해병대)3.17. 기갑(해병대)3.18. 항공(해병대)3.19. 정보(해병대)3.20. 정보통신(해병대)3.21. 군수(해병대)3.22. 공병(해병대)3.23. 재정(해병대)3.24. 정훈(해병대)3.25. 군사경찰(해병대)

1. 개요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사특기. 해군에서는 장교의 경우에는 병과라고 부르며, 부사관수병직별이라 부른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대한민국 해군 부사관 및 수병의 군사특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직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병대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21002111201.jpg

대한민국 해군에선 원래 장교의 특기는 병과라 불렀으며 부사관수병의 특기는 직별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군인사법이 개정되면서 군사특기라는 명칭으로 통합되었다. 직별별 최선임자는 직별장이라 하며 주로 CPO들이 맡는다. 하지만 작은 배나 작은 부대의 경우에는 하사중사가 직별장을 맡는 경우도 많으며 심지어 수병이 직별장인 경우도 가끔 있다. 각 직별들이 속하는 상급 특기 단위로 장교들의 병과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해병대미국 해병대의 시스템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법무, 군종, 의무 병과가 따로 없고 해군 소속 인원이 해병대에 배치되고 있다. 1973년까지 해병대 항공단도 따로 존재했지만 1973년해군 항공대(현 해군항공사령부)에 흡수되면서 없어졌다. 2008년에 다시 해병대 소속 회전익기 조종사가 탄생했고 항공병과가 창설되었다. 기갑병과는 2014년보병병과의 기갑특기로 흡수되었지만 2018년부터는 보병에서 다시 독립했다. 군수병과는 2014년보급병과와 수송병과가 통합되어 보급수송병과가 되었고, 2018년병기병과와 보급수송병과가 통합되어 군수병과가 되었다.

3. 현재 군사특기

아래는 군인사법(2024.02.01.) 제5조 제1항 제2호, 군인사법 시행령(2024.02.01.) 제2조의2 제1항 제2호를 기준으로 한 대한민국 해군의 병과다.

3.1. 함정

파일:해군 함정.jpg

3.2. 항공

파일:해군 항공 특기.jpg

3.3. 정보

파일:해군 정보 특기.jpg

3.4. 정보통신

파일:해군 정보통신 특기.jpg

3.5. 병기

파일:해군 병기 특기.jpg

3.6. 보급

파일:해군 보급 특기.jpg

3.7. 공병

파일:해군 공병 특기.jpg

3.8. 조함

파일:조함병과 병과마크.png

3.9. 재정

파일:해군 재정 특기.jpg

3.10. 정훈

파일:해군 정훈 특기.jpg

3.11. 군사경찰

파일:해군 군사경찰 병과 휘장.png

3.12. 의무

파일:해군 의무 특기.jpg

3.13. 법무

파일:해군 법무.jpg

3.14. 군종

파일:해군 군종.jpg

3.15. 보병(해병대)

3.16. 포병(해병대)

3.17. 기갑(해병대)

3.18. 항공(해병대)

3.19. 정보(해병대)

3.20. 정보통신(해병대)

3.21. 군수(해병대)

3.22. 공병(해병대)

3.23. 재정(해병대)

3.24. 정훈(해병대)

3.25. 군사경찰(해병대)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해병] [12] 특수병과는 아래에 있는 3개 병과들로, 미국 해군미국 해병대를 모델로 하는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해병대의 경우는 전원 해군 소속으로 해병대에 순환 배치된다.[13] 2013년, 전투 병과인 항해, 기관, 정보 병과를 함정 병과로 통합했다. # 이후 2017년, 정보 병과는 다시 분리시켰다. # 2013년 통합 이전 임관자는 함정(항해),함정(기관)으로 표시한다.[14] 대한민국 해군상근예비역승선근무예비역도 이 직별을 부여받는다.[15] 수병만 받을 수 있는 직별.[16] 2025년부로 수병 직별은 폐지될 예정이다.[17] 수병의 직별이었던 14 화생방병이랑 통합된 것으로 보인다.[18] 증기 터빈(외기, 직별번호 41),보일러(외연,직별번호 43)는 폐지되고, 가스 터빈(내기, 직별번호 40),디젤 엔진(내연, 직별번호 42)이 통합하였다.[19] 2025년 2월 마지막 특전병 입영 후, 폐지할 예정이다.[부사관] 부사관만 받을 수 있는 직별.[21] 세부적으로 조종, 전술(대잠초계기 동승), 항공일반(운항관제)가 있다.[수병] [부사관] [부사관] [부사관] [부사관] [부사관] [부사관] [부사관] [30] 2013년 통기(통신기밀)와 기정(기밀정보),해정(해양정보) 세 직별이 통합되었다. 2013년 이전에 임관한 부사관인 경우 괄호로 표시한다.[부사관] [32] 통신,전공,전산 직별이 통합하였다. 2025년 1월부로 수병 직별도 통합되었다.[부사관] [34] 2025년부로 수병 직별은 폐지될 예정이다.[부사관] [36] 2013년 병기와 유도 직별을 통합하였다. 수병의 경우 계속 병기병으로 불리다가 2023년부로 무장병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다 2025년 다시 병기와 유도로 분리할 예정이다.[부사관] [부사관] [수병] [40] 2025년 1월부로 대형수송이랑 일반수송이 통합되었다.[수병] [부사관] [부사관] [수병] [부사관] [46] 해병대 상근예비역도 이 특기를 부여받는다. 또한, 개인 과실 등의 이유로 후반기교육에서 중도탈락한 자도 이 특기로 재분류되어 후반기교육 없이 바로 자대 배치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5 (이전 역사)
문서의 r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