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4 18:42:08

데우스 엑스 마키나(웹툰)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16px;margin-bottom:-5px" PLAY툰 브랜드웹툰 연재종료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전체 네이버 웹툰 연재작
데우스 엑스 마키나
파일:데엑마시리즈.jpg
장르 일상, 판타지, 드라마
작가 꼬마비
연재처 네이버 웹툰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18. 12. 22. ~ 2019. 07. 13.
연재 주기
이용 등급 12세 이용가

1. 개요2. 등장인물3. 삽화
3.1. 1부3.2. 2부
4. 기타

[clearfix]

1. 개요

은 어디에나 있다.

웹툰 작가 꼬마비가 네이버에서 2018년 12월 12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일요일 웹툰. 2019년 3월 24일을 기점으로 2부가 시작됐고 2019년 7월 13일 완결되었다.

2.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9화에서 주인공이 자신을 질책하자 말없이 미소를 짓더니 손가락을 가리키는 제스쳐를 취하는데, 그러자 바로 다음화에서 처음부터 신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는 세상으로 바뀌어져 있는 것으로 결말이 난다. 이 만화 제목대로 한순간에 신으로서 모든 문제를 한번에 해결한 것이다. 2부 중반(19화)에 주인공의 꿈에 나타나 이런저런 기적을 보여주었는데도 주인공이 죽상을 하자 '이거 봐, 나는 너 한명한테도 못 맞춰주잖냐. 내가 너한테 왜 그러냐고? 너는 나한테 왜 그러냐?'고 말한 것을 보면 신도 자기 나름의 고민을 가졌고, 자신이 없었던 세상으로 이야기를 끝낸 것은 신 나름의 해답이라고 볼 수 있다.
}}}

3. 삽화

작가의 전작 S라인에서 함축적인 일러스트를 그린 것과 미결에서 실제 인물들을 한 화에 한 컷씩 그린 것처럼 이 작품에는 전체적인 화의 줄거리와 관련된 실제 신화 속 신이나 각종 종교에 관련된 인물들을 SD체와 함께 매 화 말미마다 한 컷씩 그려 넣는다.

3.1. 1부

2화 3화 4화
파일:2화염라.png 파일:3화오두귀.png 파일:4화달마.png
염라대왕[10]
봉녕사 현왕탱화의 염라대왕
오두귀 [11]
당사주책(唐四柱冊)의 오두귀(五頭鬼) 회화
달마 [12]
김명국의 달마도
5화 6화 7화
파일:5화예수.png 파일:6화케찰코아틀.png 파일:7화시바.png
예수[13]성화
카탈루냐 국립 미술관의 "Altar frontal from Baltarga"
케찰코아틀[14]
re-drawing of Quetzalcóatl-Ehécatl by Miguel Covarrubias
시바[15]
Nataraja의 형상
8화 9화 10화
파일:8화비너스.png 파일:9화천사.png 파일:10화호루스.png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Venus von Willendorf"
천사[16]
Isaiah 6:2 에 기반한 천사의 모습
호루스[17]
루브르 미술관의 "Horus cavalier"
11화
파일:11화아후라마즈다.png
아후라 마즈다[18]
symbol of Farr-e Kiyani(Faravahar)

1부가 마무리되는 회차인 12~13화에선 일러스트가 등장하지 않는다.

3.2. 2부

2부에 들어서는 신보다는 우상화된 존재,혹은 신을 비꼬는 존재의 일러스트가 늘어났다.
14화 15화 16화
파일:14화아사하라쇼코.png 파일:15화변호사.png 파일:16화석가.png
아사하라 쇼코
공중부양 사진[19]
타키모토 타로[20]
아사하라 쇼코의 공중부양을 따라하는 본인 트위터 프로필 사진[21]
석가모니[22]
가마쿠라 대불전 고토쿠인
17화 18화 19화
파일:17화월가소.png 파일:18화헤르메스.png 파일:19화헤르마프로디토스.png
월 스트리트의 소[23]
Charging Bull
헤르메스
Giambologna’s Flying Mercury[24]
헤르마프로디토스[25]
Lady Lever Art Gallery
20화 22화 23화
파일:20화미트라.png 파일:22화쿠마리.png 파일:23화치우.png
미트라[26]
Lion headed from the Villa Albani
쿠마리[27]
Photograph by G. Jontes
치우[28]
한나라 시기의 조각
24화 25화
파일:24화모아이.png 파일:25FMS.png
모아이 석상[29]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30]
신 일러스트가 등장하지 않는 에피소드에서는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그림이 나왔다.
* 21화 - 1부에서 등장한 모든 신들이 SD체로 등장.
* 26화 - 사람의 뇌, 그리고 작중 종교 토너먼트를 반영한 듯한 붉은 선.[31]
* 27화 - 1화에서 등장했던 코미디언이 나 좀 웃기지 말라고 폭소하는 모습.[스포일러]
* 28화 - 주인공과 똑같은 모습으로 나타난 신.
* 29화 - 주인공의 얼굴을 한 프로메테우스[33]...가 아니라 신의 손가락.[34]
* 30화(마지막화) - 신처럼 붉은 원이 뜬 사람들과 붉은 원만 뜬 검은 화면.[35]

4. 기타



[1] 힘을 사용할때마다 손가락을 가리키는 제스쳐를 취한다.[2] 신이 10명의 단체를 지정한건 사실이지만, 사실 토너먼트라고 했던건 언론의 입장이지 신은 그저 자결한 두명을 제한 것 밖에 없다. 다만 이후 토너먼트가 지속되면서 살육전이 아니라 토론으로 진행된 싸움에서는 권능으로 두 종교 대표의 추악한 실체를 자기 입으로 불게 만드는 등 간섭을 하는걸 보면, 토너먼트를 부정하지는 않는듯.[3] 주인공이 요청하면 신이 직접 주인공 앞에 나타나 이야기를 하는 방식.[4] 14화 말미에서 죽은 고녀의 가발이었음이 밝혀진다.[5] 초등학교때부터 온갖 욕은 다 들어서인지 주인공이 홧김에 개새끼라고 욕했을때는 별 대수롭지 않게 들었다. 본인이 말하길 초등학교때 가장 심하게 들었다는 욕이 달팽이, 즉 자웅동체라는 비난이였다.[6] 아버지가 화장실에서 변을 보다가 뇌졸중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화장실이란 장소와 배변활동 자체에 거부감이 있는 듯 하다.[7] 13화에서 여성형의 고녀와 남성형의 고녀가 같은 상황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과 텅 빈 영정사진의 검은 띠가 사람 인(人)자를 연상케 하는 것과 같은 연출로 고녀는 남자도 여자도 아닌 하나의 사람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8] 동남아의 어느 아이가 아픈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열심히 일을 해왔으나 결국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고, 신은 그의 앞에 나타나 부활의 은총을 베풀었지만 신이 살린 것은 어머니가 아닌 아이가 잡던 개구리들이었다. 이후 어머니를 살리지 않은 신에게 악담을 쏟아내던 아이를 신을 두려워 하던 사람들이 때려죽였다고 한다.[9] 만약 이때 좀 더 대화를 했었더라면 둘은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친구가 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10] 악인들을 심판하는 신의 모습.[11] 오두귀는 사람의 행동에 따라 심판 혹은 은총을 내린다. 일정한 주기로 심판과 은총을 내리는 작중 신의 모습이다.[12] 달마는 공덕은 없다는 말을 남긴 바 있다. 4화에서 소년이 개구리를 잡은 행동은 소년의 입장에서는 선할지 몰라도 개구리를 잡아 죽였다는 점에서 악하다고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모호함을 달마를 통해 나타낸 듯하다.[13] 신이 기적을 일으커 종교와 관련된 모든 것을 없애고 이것이 '신의 시간'이라 불린다. 예수의 탄생을 기점으로 기원전과 기원후가 나뉘었다는 사실과 닮았다.[14] 케찰코아틀은 인간들에게 기술을 전수했다는 이유로 쫓겨난다. 단장에 의해 본인들이 알아낸 신에 대한 정보를 함구해야 하는 주인공과 고녀의 모습.[15] 시바는 파괴의 신이자 창조의 신이기도 하다. 기사단의 단장이 한때 유명한 종교인이었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생각해 보면, 등장만으로 기존 종교를 소멸시키고 새로운 종교를 만들어낸 신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16] 지금의 모습과 다른 과거의 천사 일러스트를 사용한 것은 작중 내용에서 기사단 단장이 본인의 믿음과 실제 신의 행동 사이에서 느끼는 괴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7] 호루스는 신에게 대적한 세베크를 쓰러뜨린다. 신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기사단 전체를 죽이려 하는 단장 앞에 신이 나타나면서 심판이 이루어질 것임을 암시하는 것.[18] 아후라 마즈다는 절대적인 유일신이다. 사람들의 각기 다른 기도가 난무하는 와중 유일하게 고녀만이 신의 은총을 받은 상황을 나타낸다.[19] 옴진리교 측은 포교할 때 아사하라 쇼코의 신통력을 증명하는 뜻으로 그가 공중부양을 할 수 있다며 해당 사진을 이용했는데, 이는 실제 공중부양이 아닌 단순히 양반다릴 한 상태에서 허벅지로 바닥을 내리치며 점프하는 재주를 순간적으로 포착한 사진이었다. 기사단의 단장이지만 정작 정말로 신을 필요로 하는 아주머니를 외면한 주인공의 모습을 나타낸다.[20] 옴진리교 피해자들의 변호사.[21] 반(反)옴진리교 활동을 하던 그는 아사하라 쇼코의 거짓말을 분쇄하기 위해, 아무나 연습하면 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걸 증명하려 해당 사진을 공개했다. 해당 회차에서 신이 주인공에게 외면받은 아주머니를 대변해 주인공을 꾸짖은 것을 나타낸 듯 하다.[22] 대부분의 종교가 신을 섬기다보니 종종 사람들이 석가모니를 불교의 신으로 착각하곤 하는데, 석가모니는 깨달음을 얻은 사람이다. 다른 종교가 신적인 존재를 섬기는데 비해, 불교는 어디까지나 선구자인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본받는 쪽에 가깝다. 꿈에서 신을 만나 깨달음을 얻은 인간이 된 주인공의 모습이다.[23] 미국 금융가에 있는 동상. 이 황소상의 뿔을 만지면 부를 얻는다는 속설이 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결국 세상은 돈이라는 말을 상징한다.[24] 고녀를 주제로 한 8화의 일러스트가 아프로디테였는데, 아프로디테와 헤르메스 사이의 자식이 다음 화의 일러스트, 헤르마프로디토스이다.[25] 헤르메스의 아들이자 신화에서 등장한 최초의 인터섹스. 18화와 19화가 고녀를 비롯한 인터섹스의 고충을 다루는 것을 반영했다.[26] 미트라는 11화에 등장한 유일신 아후라 마즈다를 보조한다. 같은 인터섹스로서 고녀를 유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었던 반장을 나타냈다.[27] 네팔에서 화신으로 선발되어 숭배받는 여자아이를 칭하는 개념. 피를 불경한 것으로 여기기에 월경을 하면 쿠마리에서 은퇴하고 새로운 쿠마리를 뽑는다. 기자에게 자신이 신을 꿈에서 만난다는 것을 주인공이 고백하며 신의 대리인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모습.[28] 중국의 군신. 작중에서 신의 등장으로 종교단체끼리의 서로 죽고 죽이는 싸움이 시작되었음을 암시한다.[29] 모아이 석상도 일단 신을 본뜬거라고는 하지만, 해당 일러스트의 상징성은 다르다.참고로 모아이는 이스터 섬의 파멸을 불러온 석상으로도 알려져있다. 신이 등장하자 자살, 테러 등 죽고 죽이는 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작중 전개를 표현한다.[30] 대놓고 종교를 풍자하기 위해 무신론자들이 만든 개념. 하지만 어느새 유명세를 타고 신자도 늘면서 정식 종교로 인정받았다.[31] 신은 결국 사람이 만들어낸 개념이며, 모든 종교(작중 토너먼트에 참가된 10개의 종교가 이를 상징)도 하나에서 시작되었음을 의미.[스포일러] 다음 화에서 이 코미디언의 정체가 주인공이라는게 밝혀진다.[33] 작중에서 주인공의 얼굴을 한 신화 그림으로 끝내는가 싶었지만 페이크였고, 이후 내용이 이어진다.[34] 이 에피소드부터 썸네일에 신의 모습이 사라지고 비어있는 바다만 남는다.[35] 우리 모두가 신이다라는 의미로 추정. 검은 화면은 독자의 얼굴이 비추어지며 붉은 원이 머리에 있는 신과 같아진다.[36] 객관적 사실이 아니다. '종교성'을 '종교가 가지는 성질'이라고 정의할 때, '종교=신을 숭배함'이라고는 단정짓기 어렵기 때문. 대표적인 예가 대다수 국가의 헌법 상 종교로, 이 관점에서 '종교'가 무엇인가 자체에 대해서 수많은 의견이 존재한다.[37] 댓글에서의 썸네일 변경에 대한 첫 언급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