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1:57:54

플랫폼

디지털 플랫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디지털 플랫폼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승강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종류3. 온라인 플랫폼 사업
3.1. 왜 이렇게 많아졌나?
3.1.1. 장단점

1. 개요

Platform

디지털 플랫폼은 온라인에서 생산 · 소비 ·유통이 이루어지는 장소다.

2. 종류

플랫폼이라는 단어는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플랫폼이라고 칭해지는 것들의 목록이다.

3. 온라인 플랫폼 사업

공동 활용을 목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이해관계자들이 모이는 공간을 만드는 사업이다.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기를 원하거나, 혹은 그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기를 원하거나, 혹은 그냥 단순히 검색이나 조사·연구·지원·관리 등이 목적이거나, 어떤 목적을 가졌던간에 모두가 한 자리에 모이게 되는 공간을 구축하는 사업을 플랫폼 사업이라고 부른다.

이런 온라인 플랫폼은 한번 활성화되면 굳이 비용을 소모하여 광고하지 않아도 편리함에 이끌려 자연스럽게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면 이를 대상으로 한 기업이 모여 들기 때문에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가 점차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서비스 이용자수, 매출, 수익 이 함께 늘어나는 구조 이기에 비즈니스 모델로 아주 적합하며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이런 사업의 수익 구조는 사람과 기업을 모으고 이용자들을 타겟으로 하여 맞춤형 광고(ex 구글 애드센스, 카카오톡 비즈보드, 네이버 애드포스트)를 하거나 또는 수수료이다.

현대에 들어 웹 사이트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처럼 앉은 자리에서 한큐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기술이 뒷받침되면서 무형적 플랫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0년대 말부터 공유경제 등의 키워드가 화제가 되면서 사용빈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의 경우 국경의 장벽이 없고 잠재 고객이 수십 억 명이기 때문에 글로벌 경쟁력이 있을 경우 유튜브, TikTok,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처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플랫폼 사업으로 배달의민족과 같은 배달앱이 있다. 점유율이 압도적인 플랫폼 사업자는 매우 많은 이용자들에게 갑의 위치에 오르게 되므로 사회적 책임이 절실히 요구되며, 부당한 정책을 펼칠 경우 그만큼 사회적 저항도 커지게 되고 심하게는 저녁 뉴스에도 보도될 정도이다. 하루가 멀다하고 플랫폼 규제법이 국회의원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이유이다. 플랫폼은 독점이 쉽고 위험성은 크기 때문에 독점이 완료되지 않도록 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입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독점이 완성되지 않도록 정책을 실행해야 한다.

민간보다는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등에서 플랫폼을 직접 운영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보는 정책입안자들도 많지만, 오히려 지자체들마다 잘 쓰지도 않는 플랫폼 앱들을 중복 개발해서 예산은 예산대로 낭비되고 시민들에게도 외면받는다는 비판도 나온다.

코로나19 창궐 이후 비대면 경제활동이 활성화되면서 플랫폼 경제도 덩달아 활성화되었다. 때문에 택시조선업의 노동자들이 플랫폼 비지니스에 유입되었고, 많은 경우 이들이 원래 직장으로 돌아가지 않으면서 2022년 기준으로 해당 직종에서 구인난이 심화되고 있다.

현실적으로는 신사업, 정책, 신기술, 캠페인, 프로모션 등등을 제안하는 보고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마법의 단어다. 겉보기에는 그럴싸해 보이고 또 이런 단어가 높으신 분들에게 잘 통하는(…) 것도 사실인지라 말문 막힐 때마다 밥 먹듯이 쓰고 있다.

3.1. 왜 이렇게 많아졌나?

원인은 아주 간단하다.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이다.

당신이 사장이 되어 창업을 하려고 한다. 그런데 우리 나라는 땅덩이가 좁은 나라고 대부분의 업종은 이미 레드오션이며, 그리고 많은 사업분야는 창업 비용이 대단히 많이 소모된다. 예를 들어 건설업을 하고 싶다고 치자. 아주 작은 토목사에서 시작해서 대기업이 된 케이스도 있지만 그건 대한민국이 발전하기 전이라서 가능한 일이었고, 이미 선진국 반열에 든 현대의 대한민국에서 무일푼으로 건설사를 만들 수 있을까? 부지 구매 비용은 있을까? 일할 사람은 어떻게 구할 것인가?

플랫폼 사업은 신사업을 시작할 때 넘어야 할 진입장벽이 대단히 낮은 편이다. 가령, 숙박업소 플랫폼인 야놀자의 사례를 살펴보면 현재는 자체 호텔을 지어 숙박업을 직접 운영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여러 ① 숙박업소들의 데이터를 모아서 ② 사용자들이 편하게 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업체이다. 요점은 일련의 과정들이 돈이 안 드는 건 아니지만 기성 사업처럼 실물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기에, 비용 및 인력 지출이 굉장히 적고, 이는 아이디어를 가진 기획자와 개발을 담당할 IT 인력이 있다면 신규 사업 진입이 순식간에 이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1인 기업으로 시작하는 케이스도 많으며 괜히 스타트업의 절반 이상이 플랫폼 사업이나 O2O 같이 초소규모, 저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는 업종을 택하여 창업하는 것이 아니다.#

3.1.1. 장단점

플랫폼 사업의 장단점은 크게 플랫폼 사업자·소비자·상공인의 관점에서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독점 형태가 아닌 이상 이득이 되고, 사업자 입장에서는 저비용 창업이 쉽다는 이점이 있지만 어느 정도의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하는 사업이기에 일장일단이 있다. 반면 상공인 입장에서는 단 하나도 이득이 될 게 없는 최악의 사업이다.

[1] 메르세데스-벤츠의 경우도 C클래스부터 S클래스까지 모두 플랫폼을 공유하며, 현대차그룹도 모든 내연기관 승용 차량을 전륜구동 중소형 플랫폼, 전륜구동 중대형 플랫폼, 후륜구동 플랫폼 3종류로 간소화해서 적용하고 있다.[2] 그룹 내 엔트리 브랜드급인 폭스바겐부터 시작해서, 아우디 - 포르쉐 - 람보르기니 - 벤틀리까지 플랫폼과 부품을 공유한다.[3] 거대 플랫폼업체의 갑질을 규제하기 위한 법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