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중국 | 일본 | ||||
유럽 |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몰도바 | 아르메니아 | 조지아 | ||||
아제르바이잔 | 트란스니스트리아 | 압하지야 | 남오세티야 | 가가우지아 |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네덜란드 | 벨기에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그리스 | ||||
튀르키예 | 키프로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 ||||||||
체첸·인구시 | 아디게야 | 북오세티야 | 카라차이·발카르 | 다게스탄 | ||||
아시아 | ||||||||
대만 | 몽골 | 위구르 | 티베트 | 미얀마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
아프가니스탄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
예멘 | 이스라엘 | 아랍에미리트 | 쿠르드 | 바레인 | ||||
이집트 | 알제리 | 튀니지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쿠바 | ||||
도미니카 공화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페루 | 가이아나 |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소말리아 | 모잠비크 | 마다가스카르 | 기니 | ||||
말리 | 부르키나파소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앙골라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 독일·러시아·폴란드 |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 유럽 연합 | 아프리카 | ||||
남북러 | 북중러 | 미중러 | 한중러 | 한러일 | ||||
과거의 대외관계 | ||||||||
조선 | 청나라 |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 일본 제국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유럽 | |||||||
대한민국 | 헝가리 | 이탈리아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몬테네그로 | 러시아 | 오스트리아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다자관계 | ||||||||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 }}}}}}}}} |
| |
러시아 | 크로아티아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와 크로아티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소련 해체,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에 수교했고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크로아티아 왕국은 1091년 이래 헝가리 왕국과 동군연합이었고 1526년 이래 합스부르크 제국(1804년부터 오스트리아 제국, 1868년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 들어 크로아티아인은 헝가리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헝가리인들로부터 위협을 받았고, 이에 반발한 크로아티아 지식층은 민족주의 차원에서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정의하기 위해 분투노력했다. 일부 크로아티아인 지식층은 범슬라브주의에 경도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견제하려는 차원에서 범슬라브주의를 내세우고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 등 정교회를 믿는 슬라브족들을 지원하였다. 물론 크로아티아인들은 정교회가 아니라 주로 가톨릭을 믿었기에 세르비아이나 불가리아만큼 러시아 문화와 큰 접점이 있던 것은 아니었지만, 당장 자신들을 억압하는 오스트리아 제국이나 헝가리 왕국을 견제해준다는 점을 이유로 크로아티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범슬라브주의에 입각한 친러 감정을 가지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2.2. 20세기
양국은 91년 소련 해체,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발발 이후인 1992년 5월 25일부로 수교했다. 소련 해체가 갑자기 하지만 나름 평화롭게 이루어진 것과는 반대로 유고슬라비아 해체는 수년 간의 전쟁과 제노사이드를 거치며 진행되었다.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에서 갑자기 독립하는 과정에서 크로아티아군은 무기와 군수물자 등등이 턱없이 부족하였고,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동안 크로아티아군은 세르비아군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던 상황이었다. 러시아는 소련 해체 이후 군축으로 필요없어진 군수물자 상당량을 크로아티아 측에 판매 혹은 양도하였다. 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했던 것이다. 크로아티아 언론에 의하면 1992년부터 1997년까지 러시아에서 150여대의 비행기가 군수물자를 싣고 크로아티아를 오고갔다. 독립 이후 크로아티아군은 MiG-21을 주력 공군기로 굴렸는데,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물려받은 것은 아니고 독립 직후 러시아에서 떨이로 사온 것이다.양국은 90년대 체제 변혁 과정에서 모두 심각한 경제난과 인력 유출을 경험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2.3. 21세기
2000년대 이후, 양국의 교류와 협력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가 2013년에 유럽연합에 가입한 뒤에도 양국의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러시아 기업들이 크로아티아에 많이 진출했다. 그리고 러시아인들이 크로아티아에 이주 및 정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러시아의 전 체스선수 가리 카스파로프는 2014년에 푸틴 정권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크로아티아로 귀화했다.양국은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러시아어는 크로아티아에서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기 시작하면서 양국은 큰 피해를 입었다. 2021년 2월 17일, 크로아티아측은 유럽연합의 승인 이전에 스푸트니크 V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11월, 크로아티아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맞을려는 러시아인들이 늘어났다.#1#2
2020년 11월 16일, 양국의 외교장관이 회담을 가지며 합의문을 교환했다.#
2023년 1월 30일, 조란 밀라노비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지원을 비판하고 러시아가 패하지 않는다고 발언하자 논란이 일어났다.#
3. 갈등
양국은 교류와 협력이 존재하지만, 일부 갈등이 존재한다. 2018년에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나자 크로아티아는 유럽연합과 미국과 협력하면서 러시아 외교관 추방 정책에 참가했다.#크로아티아는 친서방 국가에 러시아가 세르비아를 밀어주는 경향이 있고 90년대에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에 훈련받은 크로아티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의 훈련을 실시하는 등 크로아티아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에 갈등이 존재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자 크로아티아측은 러시아를 비판했다. 그리고 양국간에 갈등이 생겨났다. 크로아티아의 플렌코비치 총리는 자그레브에서 추락한 러시아 드론과 관련해 명백한 위협이라고 밝혔다.#(러시아어)
7월 22일, 러시아 정부가 그리스, 덴마크,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등 5개국을 비우호국으로 추가시켰다.#
4. 대사관
자그레브에 주 크로아티아 러시아 대사관, 모스크바에 주 러시아 크로아티아 대사관이 존재한다.크로아티아는 러시아 외교관을 추방한다고 밝혔다.# 러시아도 맞추방을 가졌다.#
5. 여담
2007년 11월 20일, 러시아 갑부가 크로아티아 축구 대표팀에게 영국을 이기면 벤츠를 선물한다고 발언한 적이 있었다.#6. 관련 문서
- 러시아/외교 / 유럽연합-러시아 관계
- 크로아티아/외교
- 유럽 평의회
- 러시아/경제
- 크로아티아/경제
- 러시아인 / 크로아티아인 /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 러시아어 / 크로아티아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동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