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6 15:26:26

레안드로 레몬디니

레안드로 레몬디니의 역임 직책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1923년 ~ 현재
초대
사미 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대
헌터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3대
토트
파일:헝가리 국기.svg
4대
패그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5대
도넬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6대
몰나르
파일:헝가리 국기.svg
7대
예날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8대
몰로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9대
아르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0대
몰로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1대
맥코믹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2대
에르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3대
우스올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4대
푸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5대
클르츠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6대
미하일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7대
바를리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8대
아르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대
세케이
파일:헝가리 국기.svg
20대
레몬디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1대
몰나르
파일:헝가리 국기.svg
22대
푸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3대
괴르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4대
스파이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25대
푸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6대
아르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7대
푸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8대
안다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9대
푸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30대
수바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1대
게기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2대
아르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3대
페트레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34대
외자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5대
안다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6대
튀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7대
키라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8대
수메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9대
데미르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0대
외자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1대
타르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2대
괵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3대
메실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44대
외자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5대
데니즐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6대
트르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7대
테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48대
피온테크
파일:독일 국기.svg
49대
테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0대
데니즐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1대
귀네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2대
카라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3대
야날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4대
테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5대
체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6대
히딩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57대
아브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8대
테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59대
루체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60대
귀네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61대
쿤츠
파일:독일 국기.svg
62대
몬텔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

파일:팔레르모 FC 로고(1947~1979).svg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1년 ~ 1964년
초대
콰란타
파일:UEFA ITA.png
2대
콜롬보
파일:UEFA ITA.png
3대
울트베조
파일:UEFA ITA.png
4대
네그리
파일:UEFA ITA.png
5대
코바리
파일:UEFA ITA.png
6대
베닌카사
파일:UEFA ITA.png
7대
레흐트블란
파일:UEFA ENG.png
8대
카르녤리
파일:UEFA AUT.png
9대
펠트만
파일:UEFA HUN.png
10대
차프카이
파일:UEFA HUN.png
11대
렐로비츠
파일:UEFA HUN.png
12대
베닌카사
파일:UEFA ITA.png
13대
차프카이
파일:UEFA HUN.png
14대
하요시
파일:UEFA HUN.png
15대
할모슈
파일:UEFA HUN.png
16대
네그리
파일:UEFA ITA.png
17대
바잔
파일:UEFA ITA.png
18대
크라판
파일:UEFA GER.png
19대
니조티
파일:UEFA ITA.png
20대
쿠트레라
파일:UEFA ITA.png
21대
파오토
파일:UEFA URU.png
22대
쿠트레라
파일:UEFA ITA.png
23대
로세타
파일:UEFA ITA.png
24대
바를리엔
파일:UEFA ITA.png
25대
비아니
파일:UEFA ITA.png
26대
갈리
파일:UEFA ITA.png
27대
마제티
파일:UEFA ITA.png
28대
보니초니
파일:UEFA ITA.png
29대
바너시
파일:UEFA HUN.png
30대
바를리엔
파일:UEFA ITA.png
31대
란차
파일:UEFA ITA.png
32대
하이덴
파일:UEFA AUT.png
33대
스카르파토
파일:UEFA ITA.png
34대
니콜로시
파일:UEFA ITA.png
35대
발론체리
파일:UEFA ITA.png
36대
스페로네
파일:UEFA ITA.png
37대
피치니니
파일:UEFA ITA.png
38대
리고티
파일:UEFA ITA.png
39대
푸리첼리
파일:UEFA URU.png
40대
코소벨
파일:UEFA ITA.png
41대
라바
파일:UEFA ITA.png
42대
코소벨
파일:UEFA ITA.png
43대
리고티
파일:UEFA ITA.png
44대
비츠팔레크
파일:UEFA CZE.png
45대
베르나사
파일:UEFA ARG.png
46대
로디
파일:UEFA ITA.png
47대
발디
파일:UEFA ITA.png
48대
모리스코
파일:UEFA ITA.png
49대
발디
파일:UEFA ITA.png
50대
로디
파일:UEFA ITA.png
51대
발디
파일:UEFA ITA.png
52대
레몬디니
파일:UEFA ITA.png
53대
몬테스
파일:UEFA ARG.png
54대
레몬디니
파일:UEFA ITA.png
55대
발리코
파일:UEFA ITA.png
56대
발디
파일:UEFA ITA.png
57대
몬테스
파일:UEFA ARG.png
58대
셰케이
파일:UEFA HUN.png
59대
말라골리
파일:UEFA ITA.png
60대
셰케이
파일:UEFA HUN.png
팔레르모 FC 감독(61대~120대) ▶
팔레르모 FC 감독(121대 이후) ▶
}}}}}}}}}}}}}}} ||
파일:Leandro Remondini.jpg
이름 레안드로 레몬디니
(Leandro Remondini)
생년월일 1917년 11월 17일
사망년월일 1979년 1월 9일 (향년 61세)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출신지 이탈리아 왕국 베로나
포지션 하프백
신체조건 171cm | 72kg
소속팀 엘라스 베로나 FC (1935-1937)
AC 밀란 (1937-1942)
모데나 FC (1942-1943)
바레세 칼초 (1943-1944)
카살레 FBC (1945-1946)
모데나 FC (1946-1947)
SS 라치오 (1947-1950)
SSC 나폴리 (1950-1951)
루케세 1905 (1951-1952)
국가대표 1경기 (1950)
감독 포자 칼초 (1954-1955)
알타이 SK (1956-1957)
튀르키예 대표팀 (1957-1959)
베식타스 JK (1957-1958)
알타이 SK (1959)
갈라타사라이 SK (1959-1960)
AS 삼베네데테세 (1960)
US 팔레르모 (1961-1962)
트라파니 칼초 (1962-1963)
US 카탄차로 1929 (1963-1965)
모데나 FC (1965-1967)
US 리보르노 1915 (1967-1969)
모데나 FC (1969-1971)
모데나 FC (1971-1972)
타란토 FC (1972)
AC 페루자 칼초 (1974)
ACR 메시나 (1974-1975)



1. 개요2. 생애
2.1. 선수 생활2.2. 감독2.3. 이후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4. 뒷이야기5. 수상
5.1. 선수
5.1.1. 클럽
5.2. 감독

1. 개요

이탈리아의 전 축구 감독.

2. 생애[1]

2.1. 선수 생활

2.1.1. 클럽

레몬디니는 1935년 고향팀 엘라스 베로나 FC에서 데뷔했고 1937년에 AC 밀란으로 이적하면서 세리에 A에서 뛰게 되었다. 그러나 밀란은 1942년에 레몬디니를 모데나 FC로 보내버렸고 전쟁으로 리그가 중단된 기간에 레몬디니는 바레세 칼초로 재이적하게 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레몬디니는 카살레 FBC를 거쳐 다시 모데나에서 뛰었는데 모데나는 이 시즌에 세리에 A 3위이자 최소 실점팀으로 현재까지 팀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레몬디니는 1947년부터 SS 라치오의 선수가 되어 라치오에서 3시즌을 보낸 후 세리에 A에 다시 승격한 SSC 나폴리에서 1년을 보냈다. 그는 루케세 1905에서 1시즌을 뛰고 은퇴했다.

2.1.2. 국가대표

레몬디니는 1950년 월드컵에서 이탈리아 대표팀두번째 경기였던 파라과이전에 출전했다.

당시 32세의 레몬디니는 이탈리아 대표팀의 최고령 선수였고 이것이 레몬디니의 선수 경력에서 유일한 A매치 경기였다. 이탈리아는 파라과이에 2:0으로 이겼지만 이탈리아는 결선 리그 진출에 실패했다.

2.2. 감독

레몬디니는 선수 은퇴 이후 튀르키예에서 감독직을 시작했고 알타이 SK, 베식타슈 JK, 갈라타사라이 SK, 튀르키예 대표팀을 맡았다.

1960년에 이탈리아로 돌아온 레몬디니는 주로 세리에 B세리에 C 팀을 맡았으며 모데나 FC에선 아직까지 가장 많은 경기를 지휘한 감독으로 남아있다.

2.3. 이후

레몬디니는 1979년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

레몬디니는 주로 하프백으로 뛰었지만 수비 포지션이라면 어디든 맡을 수 있는 다재다능한 선수였다.

4. 뒷이야기

5. 수상

5.1. 선수

5.1.1. 클럽

5.2. 감독


[1] 출처: 위키피디아, 11v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