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14:43:29

로버트 엘스윗

로버트 엘스윗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촬영상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기예르모 나바로
(판의 미로)
로버트 엘스윗
(데어 윌 비 블러드)
안소니 도드 맨틀
(슬럼독 밀리어네어)

역대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촬영상 - 미니시리즈 및 TV 영화 부문
제75회
(2023년)
제76회
(2024년)
제77회
(2025년)
나탈리 킹스턴
(블랙 버드)
로버트 엘스윗
(리플리: 더 시리즈)

}}}||
<colbgcolor=#1D252E><colcolor=#fff> 로버트 엘스윗
Robert Elswit
파일:로버트 엘스윗.jpg
이름 로버트 크리스토퍼 엘스윗
Robert Christopher Elswit
출생 1950년 4월 22일 ([age(1950-04-22)]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촬영 감독
활동 1977년 ~ 현재
학력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BFA)
미국영화연구소 콘서바토리 (MFA)
배우자 아만다 엘스윗
링크 파일:IMDb 로고.svg

1. 개요2. 활동3. 촬영 작품
3.1. 영화3.2. TV
4. 여담5. 외부 링크

1. 개요

미국의 촬영 감독.

2. 활동

1970년대에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오웬 로이즈먼을 자신의 학창 시절 촬영 감독 영웅으로 꼽았다. 인터뷰에서 "오웬과 같은 경력을 가진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그는 당시 최고의 미국 코미디로 꼽히는 투씨, 최고의 절차적 경찰 영화인 프렌치 커넥션, 최고의 공포 영화인 엑소시스트, 최고의 드라마 두 편인 네트워크와 지하의 하이젝킹을 촬영했습니다. 로이즈먼은 훌륭한 감독들과 협업하여 각 영화에 고유한 시각적 스타일을 부여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대학 졸업 후, 그래픽 필름에서 대형 포맷 영화 제작자 레스터 노브로스 교수 밑에서 일하게 되었고, 스타트렉: 더 모션 픽처,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 레이더스, E.T. 같은 작품에서 미니어처와 인서트 촬영을 맡았다. 이 시기에 대해 인터뷰에서 "라운 상상력을 가진 숙련된 영화 제작자와 디자이너들과 함께 있고 그들이 일하는 것을 보는 것은 멋진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제 마음은 거기에 있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훌륭한 사고의 완전히 다른 세계였지만, 저는 사람들이 대화하는 것을 촬영하고 싶었습니다"라고 말했다.

80년대 초반부터 TV 시리즈의 촬영 감독으로 일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밥 그레이엄 감독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레이엄은 엘스윗에게 시대극 '8월의 끝'(1981)를 촬영해 달라고 부탁했고, 영화 촬영 데뷔작이 되었다. 1985년에는 롭 라이너가 로맨틱 코미디 영화 '사랑에 눈뜰 때'(1985)을 촬영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 영화는 박스오피스에서 큰 흥행을 기록했다. 이 작품이 커리어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한다. 이후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 촬영감독으로 발탁됐으며, 커티스 핸슨이나 토니 길로이, 댄 길로이 형제와 자주 협업했다. 007 시리즈,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 참여하기도 했다.

폴 토마스 앤더슨의 촬영 페르소나로 유명하다. 리노의 도박사를 시작으로 부기 나이트, 매그놀리아, 펀치 드렁크 러브, 데어 윌 비 블러드, 인히어런트 바이스의 촬영을 맡았다. 다만, 인히어런트 바이스 이후 PTA와 불화가 생겼으며, 이 작품 이후부터 협업하지 않고 있다. 엘스윗은 인터뷰에서 "맙소사, 더 이상 그게 뭔지 모르겠어요. 마치 나쁜 부부 같아요. 불쾌해요. 잘 모르겠어요. 아마도 다시 할 수 없겠죠. 그가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 달라요. 저는 다시 할 수 있을 거예요. ‘인히어런트 바이스’에서는 즐겁지 않았어요. 저와 폴이 잘 맞지 않아서 그랬고, 제가 폴만큼 미성숙할 수 있어요"라고 말했다.

필름 촬영을 강력히 옹호하고 있다. 엘스윗은 자신의 촬영 방식에 대해 "고풍스러운 사고방식이지만, 저는 고풍스러운 사람입니다. 저는 항상 줌 렌즈와 반사식 카메라가 나오기 전에 만들어진 영화들을 생각합니다. 그 당시에는 필름이 매우 느렸고, 카메라가 많이 움직이지 않았지만, 어떻게든 역대 최고의 영화 중 일부를 만들어냈죠"라고 말했다. 미국촬영감독조합은 엘스윗에 대해 "전통주의자"라고 설명했고, "디지털 시대의 영화 제작에 대한 고전적인 접근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평했다.

3. 촬영 작품

3.1. 영화

<rowcolor=#ffffff> 개봉 연도 작품명 감독 비고
1981년 8월의 끝
(The End of August)
밥 그레이엄
1982년 왈츠 어크로스 텍사스
(Waltz Across Texas)
어니스트 데이
1983년 서머스펠
(Summerspell)
리나 샨클린
1985년 사랑에 눈뜰 때
(The Sure Thing)
롭 라이너
변칙 플레어
(Moving Violations)
닐 이스라엘
데저트 하츠
(Desert Hearts)
도나 다이히
1986년 트릭 오어 트릿츠
(Trick or Treat)
찰스 마틴 스미스
1987년 싸이렌트 보이스
(Amazing Grace and Chuck)
마이크 뉴웰
1988년 바탈리언 2
(Return of the Living Dead Part II)
켄 와이더혼
1989년 상아탑 정복 작전
(How I Got into College)
새비지 스티브 홀런드
분노의 캠퍼스
(Heart of Dixie)
마틴 데이비슨
1990년 뱃 인플루언스
(Bad Influence)
커티스 핸슨
1992년 요람을 흔드는 손
(The Hand That Rocks the Cradle)
나의 청춘 워터랜드
(Waterland)
스티븐 질렌할[1]
1993년 위험한 여인
(A Dangerous Woman)
1994년 리버 와일드
(The River Wild)
커티스 핸슨
1996년 리노의 도박사
(Hard Eight)
폴 토마스 앤더슨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촬영상 후보
졸업
(The Pallbearer)
맷 리브스
보이스
(Boys)
스테이시 코크란
1997년 부기 나이트
(Boogie Nights)
폴 토마스 앤더슨
007 네버 다이
(Tomorrow Never Dies)
로저 스포티스우드
1999년 8미리
(8mm)
조엘 슈마허
매그놀리아
(Magnolia)
폴 토마스 앤더슨
2000년 바운스
(Bounce)
돈 로스
2001년 하이스트
(Bounce)
데이빗 마멧
임포스터
(Impostor)
게리 플레더
2002년 펀치 드렁크 러브
(Punch-Drunk Love)
폴 토마스 앤더슨
2003년 비하인드 더 레드 도어
(Behind the Red Door)
마티아 카렐
갱스터 러버
(Gigli)
마틴 브레스트
런어웨이
(Runaway Jury)
게리 플레더
2005년 굿나잇 앤 굿럭
(Good Night, and Good Luck)
조지 클루니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시리아나
(Syriana)
스티븐 개건
2006년 아메리칸 드림즈
(American Dreamz)
폴 웨이츠
2007년 마이클 클레이튼
(Michael Clayton)
토니 길로이
데어 윌 비 블러드
(There Will Be Blood)
폴 토마스 앤더슨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
2008년 레드벨트
(Redbelt)
데이빗 마멧
욕망의 대지
(The Burning Plain)
기예르모 아리아가
2009년 더블 스파이
(Duplicity)
토니 길로이
초 민망한 능력자들
(The Men Who Stare at Goats)
그랜트 헤슬로브
2010년 타운
(The Town)
벤 애플렉
솔트
(Salt)
필립 노이스
2011년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Mission: Impossible – Ghost Protocol)
브래드 버드
2012년 본 레거시
(The Bourne Legacy)
토니 길로이
2014년 인히어런트 바이스
(Inherent Vice)
폴 토마스 앤더슨
나이트크롤러
(Inherent Vice)
댄 길로이
2015년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Mission: Impossible – Rogue Nation)
크리스토퍼 맥쿼리
2016년 골드
(Gold)
스티븐 개건
2017년 서버비콘
(Suburbicon)
조지 클루니
로만 J 이스라엘, 에스콰이어
(Roman J. Israel, Esq.)
댄 길로이
2018년 스카이스크래퍼
(Skyscraper)
로슨 마샬 터버
라이트 웬 유 겟 워크
(Write When You Get Work)
스테이시 코크런
2019년 벨벳 버즈소
(Velvet Buzzsaw)
댄 길로이
2020년 더 킹 오브 스태튼 아일랜드
(The King of Staten Island)
주드 아패토우
2021년 킹 리차드
(King Richard)
레이날도 마르쿠스 그린
2024년 밥 말리: 원 러브
(Bob Marley: One Love)
2025년 엘라 맥케이
(Ella McCay)
제임스 L. 브룩스

3.2. TV

<rowcolor=#ffffff> 방영 연도 작품명 감독 비고
1980년 CBS 라이브러리
(CBS Library)
세스 핀스커
샘 웨이스
에피소드 "The Incredible Book Escape"
1982년 올 서머 인 어 데이
(All Summer in a Day)
에드 카플란 TV 영화
1983년 타이거 타운
(Tiger Town)
알란 샤피로 TV 영화
1984년 어 싱글 라이트
(A Single Light)
칼 엡스틴 TV 영화
1985년 CBS 스쿨브레이크 스페셜
(CBS Schoolbreak Special)
마이클 토시유키 우노 에피소드 "The War Between the Classes"
1986년 타임스퀘어의 아이들
(The Children of Times Square)
커티스 핸슨 TV 영화
1987년 어 디퍼런트 어페어
(A Different Affair)
노엘 노섹 TV 영화
롱 곤
(Long Gone)
마틴 데이비슨 TV 영화
사라진 엠버
(Into the Homeland)
레슬리 링카 글래터 TV 영화
1989년 드림 스트리트
(Dream Street)
마크 로스너 에피소드 "Pilot"
1990년 어 킬링 인 어 스몰 타운
(A Killing in a Small Town)
스티븐 질렌할 TV 영화
스틸 매그놀리아
(Steel Magnolias)
토마스 슈메인 TV 영화
배반의 묘략
(Opposites Attract)
노엘 노섹 TV 영화
1991년 감옥 속의 여인들
(Prison Stories: Women on the Inside)
도나 디치
조안 미클린 실버
TV 영화
아버지가 자란 여름
(The Summer My Father Grew Up)
마이클 터크너 TV 영화
패리스 트라웃
(Paris Trout)
스티븐 질렌할 TV 영화
비디엇스
(Vidiots)
하워드 스톰 TV 영화
1992년 휴먼 타겟
(Human Target)
맥스 태시 에피소드 "Pilot"
살인 사건: 캐롤린 워머스 스토리
(A Murderous Affair: The Carolyn Warmus Story)
마틴 데이비슨 TV 영화
1997년 프린스 스트리트
(Prince Street)
로저 스포티스우드 에피소드 "Pilot"
2016년 더 나이트 오브
(Prince Street)
스티븐 제일리언 에피소드 "The Beach"
2024년 리플리: 더 시리즈
(Ripley)
미니시리즈
전화 촬영

4. 여담

5. 외부 링크


[1] 제이크 질렌할의 아버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