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23:36:50

마에다 야마토

야마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골든글러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론 우즈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이케베 이와
한신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존 스콧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마츠모토 마사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기타무라 데루후미
한신
히라노 켄
주니치
마츠모토 마사시
요미우리
기타무라 데루후미
한신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마츠모토 마사시
요미우리
가게 요
타이요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가게 요
타이요
히라노 켄
주니치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가게 요
타이요
히라노 켄
주니치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가게 요
타이요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나가시마 키요유키
히로시마
가게 요
타이요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쿠리야마 히데키
야쿠르트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야나기다 코이치
야쿠르트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카메야마 쓰루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음중진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신조 츠요시
한신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쓰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히데노리
주니치
알렉스 오초아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스즈키 나오치로
요미우리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마츠모토 테츠야
요미우리
카메이 요시유키
요미우리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히로세 준
히로시마
아카마츠 마사토
히로시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라나미 쇼
DeNA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아라나미 쇼
DeNA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야마토
한신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쿠와하라 마사유키
DeNA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아키야마 쇼고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이케베 이와
롯데
히로세 슈코
난카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히로타 스미오
롯데
시마노 이쿠오
난카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히로타 스미오
롯데
버니 윌리엄스
한큐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히로타 스미오
롯데
오쿠마 다다요시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버니 윌리엄스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히라노 미쓰야스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다카사와 히데아키
롯데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가네모리 나가토키
세이부
에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야마모토 가즈노리
난카이
니시오카 요시히로
세이부
야마모리 마사후미
한큐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다카사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아라이 히로마사
긴테츠
다카사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모토니시 아츠히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니시무라 도쿠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타구치 소
오릭스
이데 타츠야
닛폰햄
이치로
오릭스
오무라 나오유키
긴테츠
오토모 진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다이에
오토모 진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타구치 소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타구치 소
오릭스
타니 요시치
오릭스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데 타츠야
닛폰햄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치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무라 나오유키
긴테츠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타니 요시치
오릭스
신조 츠요시
닛폰햄
무라마츠 아리히토
오릭스
타니 요시치
오릭스
신조 츠요시
닛폰햄
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사부로
롯데
신조 츠요시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사부로
롯데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사카구치 토모타카
오릭스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오카다 요시후미
롯데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양다이강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오카다 요시후미
롯데
양다이강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양다이강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기요타 이쿠히로
롯데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양다이강
닛폰햄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오기노 타카시
롯데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오오타 타이시
닛폰햄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오기노 타카시
롯데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타카베 아키토
롯데
후쿠다 슈헤이
오릭스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 ||
}}}}}}}}}}}} ||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66번
나카타니 진
(2002~2005)
야마토
(2006~2010)
타카하마 타쿠야
(2011)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0번
쇼다 타카히로
(2008~2010)
야마토
(2011~2017)
키나미 세이야
(2019~)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9번
쿠로바네 토시키
(2014~2017)
<colbgcolor=#009dec> 야마토
(2018~2024)
쿄다 요타
(2025~)
}}} ||
파일:M.Yamato.jpg
<colbgcolor=#fff><colcolor=#000> 야마토
大和 / Yamato
본명 마에다 야마토(前田大和)
생년월일 1987년 11월 5일 ([age(1987-11-05)]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신지 가고시마현 가노야시
신체 177cm, 72kg
출신학교 쇼난고교
포지션 유격수, 2루수, 중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5년 고교생 드래프트 4위
소속팀 한신 타이거스 (2006~2017)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18~2024)
응원가 한신 시절[1]
요코하마 시절[2]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기타

1. 개요

일본의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한신 타이거스 시절

입단 후 3년간은 2군에서 오랜 담금질을 거쳤고[3] 2009년에서야 1군 데뷔를 하게 된다. 2011년까지는 주로 내외야 대수비나 대주자로 기용되었지만 2012년부터 출전 기회가 대폭 늘어나면서 주전으로 정착. 아카호시 노리히로가 불의의 은퇴를 당한 후 혼돈의 시기를 달리던[4]한신 외야 속에서 뛰어난 수비력으로 중견수 자리를 차지하며 입지를 굳혔다.

2013년과 14년 2년간 규정타석을 도달하고 한신이 일본시리즈에 진출한 14년에는 외야수 골든글러브도 차지하는 등 수비력을 인정받으며 주전자리를 굳히는 듯 했으나 2015년부터 타격 부진에 빠지면서 주전 자리에서 밀려났고, 데뷔 초창기처럼 빠른 발과 내외야 어디든 지킬 수 있는 수비력을 활용해 대수비, 대주자 역할을 수행하는 일이 많아졌다. 2016년에도 15년과 별반 다르지 않은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으며 결국 타격 부진을 타파하기 위해 스위치 히터 전향을 시도한다.

스위치 히터로 전향하고 맞이한 2017년에는 다시 타율을 .280까지 끌어올리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비록 규정타석을 충족하진 못했으나 스위치 히터로 전향하면서 좌우 투수를 가리지 않는 준수한 타격을 선보였기에 의미있는 시즌을 보냈다. 시즌 종료 후 시즌 도중 취득했었던 국내 FA자격을 행사했고 요코하마와의 3년 계약에 합의했다.

2.2.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시절

입단 후 유격수로 주로 출전하게 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유격수였던 쿠라모토 토시히코의 수비가 매우 나빴기 때문. 스위치 히터로 괜찮은 타격까지 보여줬기에 구단이 거는 기대가 상당했지만 시즌 초반 타격 침체에 빠지는가 하면 수비에서도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여 쿠라모토랑 다를게 없다며 까이기도 했다. 결국 4월 8일자로 스위치 히터를 포기하고 다시 우타석에 전념하는 것을 선언했다.

이후 수비에서 안정감을 되찾고 8월에는 3할 후반대의 맹타를 휘두르며 1번 타자로 정착하는 등 어느 정도 반등에 성공하며 이적 후 첫 시즌을 마쳤다.

2019년에는 개인 1시즌 최다인 137경기 490타석에 들어섰지만 전년도보다 성적이 오히려 내려갔다. 하지만 의외로 나쁘지 않은 클러치 히팅과 그럭저럭 준수한 수비력을 바탕으로 팀에 기여한 시즌.

2020년에는 타격이 다시 좋아지며 호조를 보였지만 9월 자신이 친 파울타구에 왼 무릎 타박상을 입고 한동안 엔트리에서 말소되며 85경기 출전에 그쳤다. 타격에서 타율 .281 4홈런으로 개인 최고 성적을 내고 있었기에 아쉬웠던 시즌.

2021년에는 2루수 출전이 잦아지는가 하면 시바타 타츠히로와의 플래툰으로 유격수 자리를 번갈아 맡고 있다. 구단에서 밀어주는 유망주 모리 케이토의 유격수 출전 비중 또한 늘어나고 있어 점점 플래툰으로 굳어지기 시작한 시즌. 시즌 후 FA자격을 재취득 했지만 선언 후 잔류를 택하며 요코하마에 남게 되었다.

2022년에도 시바타와 모리의 플래툰으로 주로 출전하였으며 찬스에 강한 점을 살려 대타로도 종종 출전했다.

30대 중반이 된 2023년, 유격수를 맡아줘야 할 젊은 선수들이 부진하면서 중견급인 쿄다 요타와 플래툰으로 유격수 자리를 양분하고 있다. 이외에도 1루 대수비를 들어가는 모습도 나오고 있다.

2024년에도 대타로 중용되긴 하였지만 그다지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진 못했고, 결국 시즌 종료 직전 전력외통보를 받으며 요코하마와의 동행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방출 이후엔 TBS테레비와 야구해설자 계약을 맺으며 사실상 현역에서 은퇴했다.

3. 플레이 스타일

타격보단 수비에 특화된 선수이며 깡마른 체구에서 알 수 있듯 장타력은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 통산 타율도 2할 5푼대로 평범하고 최대 기대 타율은 2할 8푼 정도인 수준. 다만 요코하마 이적 후에는 한 시즌 최대 4홈런을 칠만큼 미약하게나마 장타력이 생겼다. 이외에는 좌투수에 강점이 있고 뜻밖의 클러치력을 종종 발휘하는 타자.

수비력은 골든글러브 1회 수상(2014, 외야수)이 전부지만 현장 평가가 상당히 좋았다. 수비의 명수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었을 정도로 출중한 수비력을 자랑했는데 한신 시절에는 중견수와 2루수를 주로 맡았고 요코하마 이적 후에는 유격수로 주로 출전하는 중. 센터라인의 중핵 포지션들을 고루고루 맡아온 경력에서 알 수 있듯 뛰어난 수비력을 가진 유틸리티 플레이어이다.

다만 요코하마 이적 후에는 수비 능력이 서서히 떨어지는 중이다. 그럼에도 이적 후 2년간은 주전 유격수로 100경기 이상을 소화했는데 이는 요코하마 유격수들[5] 의 수비력이 얼마나 못 미더웠는지를 보여주는 꼴이나 다름 없었다. 2020년 들어서는 2루수 출전 비중도 다시 늘어나고 있는데 이제 나이도 30중반을 향해 가기 때문에 팀에서 밀어주는 코어 유망주 모리 케이토가 주전으로 정착하기 전까지 내야 준주전으로 활동하게 될 전망이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NPB)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06 한신 1군 기록 없음
2007
2008
2009 66 72 11 3 0 0 1 12 3 3 7 .177 .215 .226 .441
2010 62 50 12 0 1 0 4 19 8 4 8 .273 .327 .318 .645
2011 47 62 12 1 1 0 6 13 5 3 6 .235 .263 .294 .557
2012 128 349 80 13 3 0 26 29 17 15 46 .257 .300 .318 .618
2013 104 454 105 12 3 0 21 51 19 27 40 .273 .334 .320 .654
2014 121 481 105 17 1 1 24 54 0 24 80 .257 .310 .332 .643
2015 123 293 56 5 0 0 12 25 5 12 35 .225 .272 .245 .517
2016 111 259 53 16 1 1 20 24 3 12 53 .231 .270 .323 .593
2017 100 252 65 6 0 1 16 25 2 18 37 .280 .331 .319 .650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8 DeNA 113 435 96 24 3 2 27 54 10 24 73 .244 .293 .335 .628
2019 137 490 104 17 2 0 37 42 3 34 75 .237 .300 .285 .585
2020 85 225 56 7 1 4 23 23 3 20 28 .281 .342 .387 .729
2021 106 294 68 13 0 2 26 18 1 19 44 .252 .300 .322 .622
2022 91 277 64 13 0 1 18 22 1 10 47 .247 .277 .309 .586
2023 88 230 50 4 0 0 18 12 1 14 23 .235 .282 .254 .535
2024 42 94 20 1 0 0 3 4 1 5 12 .247 .289 .259 .548
NPB 통산
(19시즌)
1524 4317 957 152 16 12 282 427 93 248 586 .251 .301 .309 .610

5. 기타


[1] (行け 猛虎戦士 大和)
(유케 모우코 센시 야마토)
(가자 맹호전사 야마토)
誰しものこの夢のため
다레시모노 코노유메노타메
누구나 이 꿈을 위해
闘え大和 お前の使命
타타카에야마토 오마에노시메이
싸워라 야마토 너의 사명이다
[2] 敵はすぐ目の前だ 大いなる闘志燃やせ
테키와스구메노마에다 오오이나루토오시모야세
적은 곧 눈앞이다 큰 투지를 불태워라
響け和の魂 輝ける未来へ
히비케와노타마시이 카가야케루미라이에
울려퍼져라 화의 영혼 빛나는 미래로
[3] 이 시기에 등록명을 '야마토'로 변경하게 된다.[4] 아카호시의 이탈 이후 대체자로 데려온 맷 머튼은 타격은 끝내줬지만 중견수를 볼 수비력은 아니었고, 연속출장기록을 갱신해나가던 카네모토 토모아키가 도저히 외야수비를 볼 수 없게 되자 좌익수행. 2013년에는 메이저에서 돌아온 후쿠도메 고스케가 우익수 자리를 차지하며 젊은 외야수들인 후지카와 슌스케, 시바타 코헤이, 이토 하야타 등과 야마토가 중견수 쟁탈전을 벌였다.[5] 프랜차이즈 스타 이시이 타쿠로가 팀을 떠난 뒤 요코하마는 '통한의 미스' 이시카와 타케히로, '쿠라모토 앞 안타' 쿠라모토 토시히코 등 서글픈 수비력을 가진 선수들이 2010년대까지 주전 유격수 자리를 맡았다. 라쿠텐에서 데려온 와타나베 나오토나 우치무라 켄스케처럼 센터 내야수 영입을 안한 건 아니지만 이쪽도 기대에 미치는 활약을 하지는 못했으며 야마자키 노리하루, 시라사키 히로유키 등 당시의 유격수 유망주들은 공수주에 있어 중대한 결점들이 있어 이들을 밀어내지 못했고 야마토 영입을 전후해 다 정리되었다. 그나마 좋은 평가를 받았던게 후지타 카즈야 였는데 이쪽은 트레이드로 요코하마를 떠난 뒤 라쿠텐에 가서야 2루수로 기량이 만개.